분류 전체보기 3233

則天皇의 崩/穀雨節 末候戴勝降於桑(뻐꾸기 뽕나무에 내린다) 桐花風1日(陰3/19)戊申

《唐紀23 中宗 神龍 元年》〈乙丑, 705年〉 ②. 2월 4일에 국호를 唐으로 회복(684~705까지 周)시켰다. 교묘와 사직, 능침, 백과, 기치, 복색, 그리고 문자는 모두 이전의 옛일과 같게 하였다. 다시 신도를 동도로 하고, 북도를 병주로 하였으며, 노군을 헌원황제로 하였다. ②. 甲寅,復國號曰唐。〈天授元年,武后更國號曰周,今復舊。〉郊廟、社稷、陵寢、百官、旗幟、服色、文字皆如永淳以前故事。〈幟,昌志翻。〉復以神都爲東都,〈光宅元年,改東都曰神都。復,扶又翻,又如字。〉北都爲幷州,〈天授元年以幷州爲北都。幷,卑經翻。〉老君爲玄元皇帝。〈高宗乾封元年上老子尊號曰玄元皇帝;武后革命,改曰老君。 ⑱. 술사인 정보사와 상의봉어 섭정능은 모두 요망함을 가지고 황상의 믿음과 중히 여김을 얻었는데, 여름, 4월에 묵칙(墨勅:황제가 친필로 ..

카테고리 없음 2021.04.29

태후의 양위와 중종의 등극 /穀雨節 中候鳴鳩拂其羽 酴釄風5日(陰3/18)丁未

《唐紀23 中宗 神龍 元年》〈乙丑, 705年〉 ②. 상략.... ②. 太后疾甚,麟臺監張易之、春官侍郎張昌宗居中用事,張柬之、崔玄暐與中臺右丞敬暉、〈光宅元年,改尚書左、右丞爲文昌左、右丞,長安三年,又改爲中臺左、右丞。〉司刑少卿桓彥範、相王府司馬袁恕己謀誅之。柬之謂右羽林衞大將軍李多祚曰:「將軍今日富貴,誰所致也?」多祚泣曰:「大帝也。」柬之曰:「今大帝之子爲二豎所危,將軍不思報大帝之德乎!」多祚曰:「苟利國家,惟相公處分,〈處,昌呂翻。分,扶問翻。〉不敢顧身及妻子。」因指天地以自誓。遂與定謀。 初,柬之與荊府長史閺鄕楊元琰相代,〈荊州都督府長史,故曰荊府。閺鄕在漢弘農湖縣界,隋分置縣,屬洛州,唐屬虢州。二人相代,當在久視元年。閺,音旻。〉同泛江,至中流,語及太后革命事,元琰慨然有匡復之志。及柬之爲相,引元琰爲右羽林將軍,謂曰:「君頗記江中之言乎?今日非輕授也。」柬之又用彥範..

카테고리 없음 2021.04.29

凡物反常皆爲妖:정상이 아니면 요망한 것/穀雨節 中候鳴鳩拂其羽 酴釄風5日(陰3/18)丁未

《唐紀22 則天后(624~705) 久視 元年》〈庚子, 700年〉 ⑮. 당시 짐승을 잡지 못하게 한 금법이 풀리지 않아서 봉각중서사인인 전절 사람 최융이 말씀을 올렸다. "고기를 베어 삶아 제물로 쓰고, 금수를 사냥하는 것은 성인의 드러난 전례이니, 없애거나 청폐하거나 빠뜨릴 수가 없습니다. 또 강남에서는 물고기를 먹고, 하서에서는 고기를 먹는데 하루라도 없을 수사 없으니, 부유한 사람은 아직 고치지를 않고 있으며 가난한 사람은 견디기 어렵습니다. ⑮. 時屠禁尚未解,〈禁屠見二百五卷長壽元年。〉鳳閣舍人全節崔融上言,〈鳳閣,中書。全節縣,屬齊州,漢、晉之東平陸縣地;後魏曰平陵,屬濟南郡。貞觀十七年,齊王祐反,平陵人不從,更名全節。上,時掌翻。〉以爲「割烹犧牲,弋獵禽獸,聖人著之典禮,不可廢闕。又,江南食魚,河西食肉,一日不可無;富者未..

카테고리 없음 2021.04.29

狄仁傑[Dí Rénjié ] 사망(630~700)/穀雨節 中候鳴鳩拂其羽 酴釄風5日(陰3/18)丁未

《唐紀22 則天后(624~705) 久視 元年》〈庚子, 700年〉 ⑨. 태후가 내사인 양문혜공 적인걸을 믿고 중히 여겼는데, 신하들은 따라가지 못하였고, 항상 그를 '國老[guólǎo]'라고 이르며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 적인걸은 대면하여서 조정의 일을 끄집어내어 다투기를 좋아하였지만 태후는 매번 뜻을 굽히고 그를 따랐다. 일찍이 태후가 좇아서 놀러 나갔는데, 바람을 만나서 적인걸의 건이 떨어지고 말이 놀라서 멈출 수 없자 태후가 태자에게 명하여 쫓아가서 말의 재갈을 잡게하고 그것을 잡아매게 하였다. 적인걸이 여러 차례 늙고 병이 들었다는 것으로 解骨하기를 빌었지만 태후가 허락하지 않았다. ⑨. 太后信重內史梁文惠公狄仁傑,羣臣莫及,常謂之國老而不名。仁傑好面引廷爭,〈好,呼到翻。爭,讀曰諍。〉太后每屈意從之。嘗從太后..

카테고리 없음 2021.04.28

苟利於國,豈爲身謀/穀雨節 中候鳴鳩拂其羽 酴釄(도미)風4日(陰3/17)丙午

《唐紀22 則天后 久視 元年》〈庚子, 700年〉 ⑬. 6월. 애초에, 거란 장수인 이해고는 노끈으로 된 올가미를 씌워 잡거나 말을 타고 활 쏘는 것과 긴 창을 들고 춤추는 것을 잘하여, 매번 진을 무너뜨리기를 송골매가 까마귀 무리로 들어가는 듯이 하면서 향하는 곳마다 쓰러뜨리고 멸망시켰다. ⑬. 初,契丹將李楷固,善用䌈索及騎射、舞槊,每陷陳,如鶻入烏羣,所向披靡。〈將,卽亮翻。騎,奇寄翻。槊,色角翻。陳,讀曰陣,披,普彼翻。〉 황장의 전투(696.8)에서 장현우와 마인절 모두가 올가미에 씌워지는 바가 되었다. 또 낙무정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역시거란의 장수가 되어 여러 차례 당의 병사를 패배시켰다. 손만영이 죽게 되자 두 사람이 모두 와서 항복하였다. 유사가 뒤늦게 온 것을 꾸짖으며 주문을 올려 족주할 것을 청하였..

카테고리 없음 2021.04.27

槿堂體本(4/26)/穀雨節 中候鳴鳩拂其羽 酴釄(도미)風3日(陰3/16)乙巳

槿堂體本(4/26) ☞.力微休負重, 言輕莫勸人.《增廣賢文》 힘이 약하거면 무거운 것을 지지 말고, 말이 경솔하거든 남에게 조언하지 말라. ☞.壬戌之秋, 7月旣望, 蘇子.《赤壁賦·東坡》 ☞.賖臨軍軓雅雖賴題. ☞.所就者大, 則必有所忍.《賈誼論·東坡》 非才之难,所以自用者实难。惜乎!贾生,王者之佐,而不能自用其才也。 夫君子之所取者远,则必有所待;所就者大,则必有所忍。古之贤人,皆负可致之才,而卒不能行其万一者,未必皆其时君之罪,或者其自取也。 愚观贾生之论,如其所言,虽三代何以远过?得君如汉文,犹且以不用死。然则是天下无尧、舜,终不可有所为耶?仲尼圣人,历试于天下,苟非大无道之国,皆欲勉强扶持,庶几一日得行其道。将之荆,先之以冉有,申之以子夏。君子之欲得其君,如此其勤也。孟子去齐,三宿而后出昼,犹曰:“王其庶几召我。”君子之不忍弃其君,如此其厚也。公孙丑问曰:..

카테고리 없음 2021.04.26

夫人猶水也,壅之則爲泉,疏之則爲川,通塞隨流。/穀雨節 中候鳴鳩拂其羽 酴釄(도미)風3日(陰3/16)乙巳

《唐紀22 則天后 聖曆 元年》〈戊戌, 698年〉 ⑯. 황사 이단이 굳게 여릉왕 이철에게 자리를 넘길 것을 청하여 태후가 이를 허락하였다. 9월 15일에 여릉왕 이철을 황태자로 삼고 다시 이름을 顯으로 회복시켰다. 천하에 사면령을 내렸다. ⑯. 皇嗣固請遜位於廬陵王,太后許之。壬申(9/15),立廬陵王哲爲皇太子,復名顯。〈嗣,祥吏翻。復,扶又翻,又音如字。〉赦天下。 17일에 명하여 태자를 하북도원수로 삼아 돌궐을 토벌하도록 하였다. 이보다 먼저 사람을 불러 모으는데. 한 달 남짓하였지만 1천 명을 채우지 못하였다가, 태자가 원수가 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부름에 호응하는 사람들이 구름같이 모이니, 얼마 되지 않아서 수사 5만을 채웠다. 甲戌,命太子爲河北道元帥以討突厥。〈行軍元帥起於周、隋,至唐唯親王及太子爲元帥。帥,所類翻..

카테고리 없음 2021.04.26

櫛風沐雨[zhìfēngmùyǔ]: 갖은 고생/穀雨節 中候鳴鳩拂其羽 酴釄(도미)風2日(陰3/15)甲辰

《唐紀22 則天后 聖曆 元年》〈戊戌, 698年〉 ④. 무승사와 무삼사는 태자가 되기를 구하여 자주 사람을 보내 태후에게 유세하도록 하였다. "옛날부터 천자가 다른 성으로 후계자를 삼았던 적이 없었습니다." 태후의 뜻이 결정되지 않았다. 적인걸이 매번 조용히 태후에게 말하였다. ④. 武承嗣、三思營求爲太子,數使人說太后曰:「自古天子未有以異姓爲嗣者。」太后意未決。狄仁傑每從容言於太后曰: "문황제(태종)께서 바람으로 머리를 빗고, 비로 목욕을 하며, 몸소 창끝과 화살촉을 무릅쓰고 천하를 평정하여 이를 자손에게 전하였습니다. 대제(고종)께서는 두 아드님을 폐하께 의탁하셨습니다. 「文皇帝櫛風沐雨,親冒鋒?,以定天下,傳之子孫。〈數,所角翻。說,輸芮翻。從,千容翻。太宗諡文皇帝。〉大帝以二子託陛下。〈高宗諡天皇大帝。二子,謂廬陵王及皇嗣..

카테고리 없음 2021.04.25

狄仁傑의 以逸待勞 전략/穀雨節 中候鳴鳩拂其羽 酴釄(도미: 찔레꽃 일종)風1日(陰3/14)癸卯

《唐紀22 則天后 神功 元年》〈丁酉, 697年〉 ㉕. 겨울, 윤10월 21일에 유주도독 적인걸을 난대시랑으로 삼았고, 사형경 두경검을 봉각시랑으로 삼았으며, 아울러서 동평장사로 삼았다. 적인걸이 상소하였다. ㉕. 冬,閏十月,甲寅,以幽州都督狄仁傑爲鸞臺侍郎,司刑卿杜景儉爲鳳閣侍郎,並同平章事。 仁傑上疏〈上,時掌翻。〉以爲: "하늘이 4夷를 낳아 모두 선왕의 영토 밖에 있게 하였으니, 그러므로 동쪽은 滄海(渤海 당시 해안선은 서수까지였다.)가 막고 있고, 서쪽은 流沙(사막)가 가로막고, 북쪽은 커다란 사막이 가로지르고, 남쪽은 오령이 가로막고 있으니, 이는 하늘이 이적을 제한하며, 안팎을 갈라놓은 것입니다. 「天生四夷,皆在先王封略之外,故東拒滄海,西阻流沙,北橫大漠,南阻五嶺,此天所以限夷狄而隔中外也。 전적에 기록되면서부..

카테고리 없음 2021.04.25

獄持와 宿囚/穀雨節 初候萍始生牧丹風5日(陰3/13)壬寅

《唐紀21 則天后 長壽 元年》〈壬辰, 692年〉 ⑰. 하관시랑 이소덕이 몰래 태후에게 말하였다. "위왕 무승사의 권세가 너무 무겁습니다." 태후가 말하였다. "나의 조카이니 그래서 심복으로 일을 맡겼다." 이소덕이 말하였다. "조카가 고모에 대한 그 가까움은 아들이 아버지에 대한 것과 어떠합니까? 아들에도 오히려 그 아버지를 簒弑(찬시: 황제의 자리를 빼앗기 위하여 그들을 죽임)한 자가 있는데, 하물며 조카인데서야! 지금 무승사는 이미 폐하의 조카여서 친왕이 되었고, 또 재상이 되어 권력은 임금과 같게 되었으니, 신은 폐하께서 오랫동안 천위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없게 될까 두렵습니다." ⑰. 夏官侍郎李昭德密言於太后曰:「魏王承嗣權太重。」〈夏官,兵部。嗣,祥吏翻。〉太后曰:「吾姪也,故委以腹心。」昭德曰:「姪之於姑..

카테고리 없음 2021.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