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233

油衣以瓦爲之,必不漏: 우의를 기와로 만들면 새지 않는다./驚蟄節中候倉庚鳴(oriole;꾀꼬리 운다)棣棠花(산앵두)風2日(陰1/28)戊午

《唐紀15 太宗 貞觀 23年》 (己酉, 649) ⑳. 10월, 4일에 황상이 대리경 당림에게 갇혀있는 죄수의 수를 물었더니, 대답하였다. "현재의 죄수는 50여 명인데 오직 두 사람만이 사형수입니다." 황상이 기뻐하였다. ⑳. 乙亥,上問大理卿唐臨繫囚之數,對曰︰「見囚五十餘人,〈見,賢遍翻。〉唯二人應死。」上悅。 황상이 일찍이 갇혀 있는 죄수를 처리하였는데, 전에 경이 처리한 사람들은 대부분 부르짖으면서 억울하다고 말하였지만 당림이 처리한 사람들은 홀로 아무 말이 없었다. 황상이 그 연고를 이상하게 생각하여 물었다. 上嘗錄繫囚,前卿所處者多號呼稱冤,臨所處者獨無言。上怪問其故。 죄수가 말하였다. "당경이 처리한 것은 본래 스스로 억울할 것이 없었습니다." 황상이 탄식하기를 오래 하다가 말하였다. "옥사를 처리하는 사..

카테고리 없음 2021.03.11

이세민의 사망(649年 陰4月24日)과 이치의 즉위(고종 6.1)/驚蟄節中候倉庚鳴(oriole;꾀꼬리 운다)棣棠花(산앵두)風2日(陰1/28)戊午

《唐紀15 太宗 貞觀 23年》 (己酉, 649) ⑩. 황상은 이질이 심하여 고생을 하였는데, 태자가 밤낮으로 옆을 떠나지 않고 혹 여러 날 먹지를 않았으며, 머리카락은 흰색으로 변하였다. 황상이 눈물을 흘리며 말하였다. "네가 능히 효성스럽고 사랑하기를 이와 같이 하니 나는 죽어도 무엇이 한스럽겠는가?" ⑩. 上苦利增劇,太子晝夜不離側,〈離,力智翻。〉或累日不食,髮有變白者。上泣曰︰「汝能孝愛如此,吾死何恨!」 4월 24일에 병이 심하여져서 장손무기를 불러서 함풍전으로 들어오게 하였다. 황상이 누워서 손을 이끌어 장손무기의 턱을 어루만지니 장손무기는 곡을 하는데 슬픔을 이기지 못하였으며, 황상은 끝내 말을 할 수가 없었고 이어서 장손무기로 하여금 나가게 하였다. 26일에 다시 장손무기와 저수량을 불러서 침실로 들..

카테고리 없음 2021.03.11

營州?/驚蟄節中候倉庚鳴(oriole;꾀꼬리 운다)棣棠花(산앵두)風2日(陰1/28)戊午

《唐紀14 太宗 貞觀 22年》 (戊申, 648) ②. 4월 9일에 거란의 욕흘주 곡거가 무리를 인솔하고 속으로 귀부하여서 그 땅에 玄州(今 徐水)를 설치하고 곡거를 자사로 삼아서 營州(今 保定)도독부에 예속하게 하였다. ②. 己未,契丹辱紇主曲據帥衆內附,〈奚、契丹酋領皆稱爲辱紇主。契,欺訖翻,又音喫。帥,讀曰率。〉以其地置玄州,以曲據爲刺史,隸營州都督府。 ③. 14일에 烏胡의 진장인 고신감이 군사를 거느리고 바다로 가서 고리를 쳤는데, 고리의 보병과 기병 5천을 만나서 易山에서 싸워서 그들을 격파하였다. 그날 밤에 고리의 1만여 명이 고신감의 배를 습격하였는데, 고신감이 매복을 두었다가 또 격파하고 돌아왔다. ③. 甲子,烏胡鎭將古神感〈烏胡鎭當置於海中烏胡島。自登州東北海行,過大謝島、龜歆島、淤島而後至烏湖島;又三百里北渡烏..

카테고리 없음 2021.03.10

竭力爲善: 힘을 다하여 최선을 다하다./驚蟄節中候倉庚鳴(oriole;꾀꼬리 운다)棣棠花(산앵두)風1日(陰1/27)丁巳

《唐紀14 太宗 貞觀 22年》 (戊申, 648) ①. 봄, 정월 8일에 황상은 《帝範》12편을 지어서 태자에게 내려 주었는데, 《君體군체》、《建親건친》、《求賢구현》、《審官심관》、《納諫납간》、《去讒거참》、《戒盈계영》、《崇儉숭검》、《賞罰상벌》、《務農무농》、《閱武열무》、《崇文숭문》이었으며,또말하였다. ①. 春,正月,己丑,上作《帝範》十二篇以賜太子,曰《君體》、《建親》、《求賢》、《審官》、《納諫》、《去讒》、《戒盈》、《崇儉》、《賞罰》、《務農》、《閱武》、《崇文》;〈去,羌呂翻。〉且曰︰ "몸을 닦고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모두 그 속에 있다. 어느 날 불휘한 일이 있다 하여도 다시 말할 것이 없을 것이다." 「脩身治國,備在其中。〈治,直之翻。〉一旦不諱,更無所言矣。」 또 말하였다. "너는 당연히 다시 옛날 밝은 제왕을 찾아서 스..

카테고리 없음 2021.03.10

당 태종의 고리원정 실패에 대한 미련/驚蟄節中候倉庚鳴(oriole;꾀꼬리 운다)棣棠花(산앵두)風1日(陰1/27)丁巳

《唐紀14 太宗 貞觀 21年》 (丁未, 647) ⑤. 황상이 곧 다시 고리를 정벌하려고 하니, 조정에서 논의하였다. "고리는 산에 의지하여 성을 만드니 이를 공격하여도 빨리 점령할 수가 없습니다. 전에 대가께서 친히 정벌에 나서자 그 나라 사람들이 밭을 갈고 씨를 뿌릴 수가 없었고, 이긴 성에서는 모두 그 곡식을 거두었으며, 계속하여 한재가 들어서 백성들의 태반이 먹을 것에 주려 있습니다. ⑤. 上將復伐高麗,〈復,扶又翻。〉朝議以爲︰「高麗依山爲城,攻之不可猝拔。〈朝,直遙翻。〉前大駕親征,國人不得耕種,所克之城,悉收其穀,繼以旱災,民太半乏食。 지금 만약에 자주 일부의 군사를 파견하여 그들의 강역을 바꾸어 가며 시끄럽게 한다면 저들로 하여금 분명한데 피곤하고, 쟁기를 놓고 보루로 들어가게 할 것이니, 몇 년 동안 사..

카테고리 없음 2021.03.10

槿堂體本(3/8)/驚蟄節初候桃始花菜花桃花風5日(陰1/26)丙辰

槿堂體本(3/8) ☞. 無窮 ☞. 新豊 ☞. 飛龍 ☞. 長歇與 ☞. 學者要收拾精神.《菜根譚44》 學者 要收拾精神 倂歸一路. 如修德而留意於事功名譽 必無實詣. 讀書 而寄興於吟咏風雅 定不深心. 학문을 닦는 자는 정신을 가다듬고 한 곳으로 뜻을 모아야 할 것이다. 만일 덕을 닦는다면서 뜻을 사업이라든가 공적 또는 명예에만 둔다면 반드시 참된 조예를 지니지 못할 것이며 , 글을 읽음에도 詩와 賦나 읊조리는 데 흥을 붙인다면 결코 깊은 마음을 체득하지 못할 것이다. ☞. 浮生速流電, 倏忽變光彩《對酒行·李白》 松子棲金華, 安期入蓬海。此人古之仙, 羽化竟何在。浮生速流電, 倏忽變光彩。天地無凋換, 容顔有遷改。對酒不肯飲, 含情欲誰待。 적송자는 금화에 살았고, 안기는 봉래로 갔다. 이 분들은 옛날의 신선, 날개가 돋았다는데 어..

카테고리 없음 2021.03.08

往亡日(往亡煞)的风水禁忌与破解方法/驚蟄節初候桃始花菜花桃花風4日(陰1/25)乙卯

往亡日(往亡煞)的风水禁忌与破解方法 往亡日有两大类型,第一是与节气有关的,称作气往亡日,第二是与月份有关,月令犯往亡煞的日期被称作往亡日。两大类型往亡日都是根据阴阳五行之旺衰,推演得到的天地间气化运行郁结不通之日。前人依累积之经验,总结出犯往亡日诸多禁忌。《易隐•行人占》有云:“往亡煞临世,动必有险厄”;“往亡入课出行亡,拜官上任路不通”。《协纪辨方书•往亡》曰:往者去也,亡者无也。其日忌拜官上任,远行归家,出军征讨,搬家入宅,起基修造,嫁娶寻医,出军征讨。《资治通鉴•卷一一晋安帝义熙六年二月》载:丁亥,刘裕悉众攻城。或曰:“今日往亡,不利行师。” 与节气有关的气往亡日,具体日期是: 立春后第七日;惊蛰后十四日;清明后二十一日;立夏后第八日;芒种后十六日;小暑后二十四日;立秋后第九日;白露后十八日;寒露后二十七日;立冬后十日;大雪后二十日;小寒后三十日。比如说,2018年4月5日是清..

카테고리 없음 2021.03.08

고리 침략 후유증/驚蟄節初候桃始花菜花桃花風4日(陰1/25)乙卯

《唐紀14 太宗 貞觀 20年》 (丙午, 646) ③. 2월 2일에 황상이 병주를 출발하였다. 3월 7일에 거가가 경사에 돌아왔다. 황상이 이정에게 말하였다. "나는 천하의 무리를 가지고도 작은 이적에게 곤란을 받앗으니 왜 그러한가?" 이정이 말하였다. "이것은 이도종이 풀어줄 것입니다." 황상은 돌아보면서 강하왕 이도종에게 물었더니, 주필산에 있을 때에 텅 빈 틈을 타서 평양을 빼앗아야 한다고 하였던 것을 갖추어 진술하였다. 황상이 슬퍼하며 말하였다. "당시에는 총총망망하여 나는 기억을 못한다." ③. 二月,乙未,上發幷州。三月,己巳,車駕還京師。〈幷州至京師一千三百六十里。〉上謂李靖曰︰「吾以天下之衆困於小夷,何也?」靖曰︰「此道宗所解。」〈解,戶買翻。〉上顧問江夏王道宗,具陳在駐驆時乘虛取平壤之言。上悵然曰︰「當時匆匆,吾..

카테고리 없음 2021.03.07

이세민의 고리침략5 (敗退). /驚蟄節初候桃始花菜花桃花風2日(陰1/23)癸丑

《唐紀14 太宗 貞觀 19年》 (乙巳, 645) ②. 황상이 백암성에서 이기면서 이세적에게 말하였다. "내가 듣건대, 안시의 성은 험하고 군사도 날카로우며 그 성주도 재주와 용기가 있어서 막리지가 어지럽힐 당시에도 성을 지키면서 복종하지 않자 막리지가 이를 쳤으나 점령할 수가 없어서 이어서 그에게 주었다고 한다. 건안의 군사는 약하고 양식도 적어서 만약에 그들이 생각 못한 곳으로 나아가서 이를 공격하면 반드시 이길 것이다. 공은 먼저 건안을 공격할 수 있을 것이고, 건안이 점령되면 안시는 우리들의 뱃속에 있게 되니 이 병법이 이른바 '성에는 공격하지 아니해야 할 것도 있다.'라고 하는 것이다. ②. 上之克白巖也,謂李世勣曰︰「吾聞安市城險而兵精,其城主材勇,莫離支之亂,城守不服,莫離支擊之不能下,因而與之。建安兵弱..

카테고리 없음 2021.03.05

이세민의 고리침략4.(안시성 진출) /驚蟄節(17:54)初候桃始花菜花桃花風初日(陰1/22)壬子

《唐紀14 太宗 貞觀 19年》 (乙巳, 645) ①. 6월 1일에 이세적이 백암성 서남쪽을 공격하였는데, 황상이 그 서북쪽에 다가갔다. 성주인 손대음이 몰래 그의 심복을 파견하여 항복을 받아 달라고 청하면서 성에 도착하면 칼과 도끼를 던져버리는 것을 신표로 하겠다고 하며, 말하였다. "소인은 항복하기를 원하지만 성 안에는, 좇지 않으려는 사람이 있습니다." 황상은 당의 기치를 그 사자에게 주면서 말하였다. "반드시 항복할 것이라면 마땅히 이것을 성 위에다가 꽂으시오." 손대음이 기치를 꽂으니 성안에 있는 사람들은 당 군사가 이미 성에 올라온 것으로 여기고 모두 그를 좇았다. ①. 六月,丁酉,李世勣攻白巖城西南,上臨其西北。城主孫代音潛遣腹心請降,〈降,戶江翻;下同。〉臨城,投刀鉞爲信,且曰︰「奴願降,城中有不從者。」..

카테고리 없음 2021.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