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233

知己之短,不掩人之長:자기의 단점을 알고 남의 장점을 숨기지 않다./立冬節末候雉入大水爲蜃3日(陰10/5)丙寅

《南北朝 梁紀7 武帝 大通 元年》 (丁未, 527秊) ⑳. 위는 소보인이 패하자 유사가 사형에 처하였는데, 조서를 내려 사형에서 면하여 서인이 되도록 하였다. 옹주 자사 양춘이 병이 들어 걸해하자 다시 소보인을 도독옹경등사주제군사·정서장군·옹주자사·개부의동삼사·서토대도독으로 삼고, 동관의 서쪽에서는 모두 그의 지휘를 받도록 하였다. ⑳. 魏蕭寶寅之敗也,有司處以死刑,詔免爲庶人。雍州刺史楊椿有疾求解,復以寶寅爲都督雍‧涇等四州諸軍事、征西將軍、雍州刺史、開府儀同三司、西討大都督,自關以西皆受節度。〈處,昌呂翻。復,扶又翻。雍,於用翻。〉 양춘이 고향 華陰으로 돌아갔는데, 그의 아들 양욱이 낙양으로 가려고 하자, 양춘이 그에게 말하였다. "지금 옹주 자사를 맡을 사람으로 역시 소보인을 뛰어 넘을 사람이 없는데, 그러나 그의 상..

카테고리 없음 2020.11.19

鑑古戒今[jiàn gǔ jiè jīn]/立冬節末候雉入大水爲蜃2日(陰10/4)乙丑

鑑古戒今[jiàn gǔ jiè jīn] 鑑古戒今《訓要十條》 有國有家, 儆戒無虞, 博覽經史, 鑑古戒今. "옛일을 거울삼아 지금을 경계하다." 국가나 가정을 다스리는 사람은 근심이 없을 때에 경계하고, 경전과 역사를 널리 보고 옛 일을 거울삼아 지금을 경계로 삼는다. 《泊 秦 淮 · 杜牧》杜牧的借古戒鉴今的诗歌 烟笼寒水月笼沙,夜泊秦淮近酒家。 商女不知亡国恨,隔江犹唱后庭花。 借古鉴今[jiè gǔ jiàn jīn] 借古人古事作为今天的鉴戒。 訓要十條[xùn yào shí tiáo] ○ 夏四月,王,御內殿,召大匡朴述煕,親授訓要,曰,我聞,大舜,耕歷山,終受堯禪,高帝,起沛澤,遂興漢業,予亦起自單平,謬膺推戴,夏不畏熱,冬不避寒,焦身勞思,十有九載,統一三韓,叨居大寶,二十五年,身今老矣,第恐後嗣,縱情肆欲,敗亂綱紀,大可憂也,爰述訓要,以傳諸..

카테고리 없음 2020.11.17

夫德可感義夫,恩可勸死士/立冬節末候雉入大水爲蜃3日(陰10/5)丙寅

《南北朝 梁紀7 武帝 大通 元年》 (丁未, 527秊) ⑥. 위의 우민랑인 양평 사람 노사령이 상소문을 올렸다. "군대가 나가 공을 세우는 것은 장수에게 있는 것이니 그에 알맞은 사람을 얻으면 육합(東,西,南,北,天,地)도 손바닥에 침 한 번 바르면 맑게 할 수 있지만, 그에 알맞은 사람을 얻지 못하면 곧 3하(경기)의 지방도 바야흐로 전쟁터가 됩니다. ⑥. 魏右民郎陽平路思令上疏,〈晉武帝置尚書右民郎。〉以爲︰「師出有功,在於將帥,得其人則六合唾掌可清,〈人欲舉手有爲,先唾其掌。六合,天、地、東、西、南、北也。唾掌可清,言其易也。唾,湯臥翻,口液也。〉失其人則三河方爲戰地。〈此指漢三河之地爲言。魏都洛陽,三河則畿甸也。〉 가만히 살피건대 최근 몇 년 동안에 장수들은 대부분 총애 받는 귀한 집안의 자손들이어서 술잔을 물고 말에 오르니..

카테고리 없음 2020.11.17

槿堂體本(11/16)/立冬節末候雉入大水爲蜃初日(陰10/3)甲子

槿堂體本(11/16) ☞.初而不去, 中而不覺, 終而溺焉.《舟川遺稿·酒蜂說·康惟善》 予嘗飮醴。高置之坐。傍有一蜂薨薨以來。俯而飮。久之不覺。將溺。予憐之。麾則去之。去而復來。如是者數。終至於浸其趐。而不忍舍去。俄而。溺而死焉。噫。蜂微物也。何其欲之有嗜乎酒。而竟溺其身如是也耶。始予之麾也而去之。則固無浸趐之禍矣。及其浸趐而斯擧矣。則又豈有及溺之禍哉。初而不去。中而不覺。終而溺焉。悲夫。予亦嗜酒者也。要以此蜂。爲予之殷監也。雖然。人之有欲而不能節制。因失其本然之心。而終至於汨其性命者。豈獨酒而已哉。因書以藏之。欲其有以當盤盂几杖之銘也。甲辰七月日。明菴。書。 ☞.錦千年都生憘洙月. ☞.張耳,浮沈秦漢之間, 終.... ☞.盡如人意.[jìn rú rén yì]《后村全集·李艮翁礼部墓志铭》 意思是事情完全符合人的心意. 宋·刘克庄《后村全集·李艮翁礼部墓志铭》:“然议者但以为..

카테고리 없음 2020.11.17

食人之祿者憂人之憂/立冬節末候雉入大水爲蜃初日(陰10/3)甲子

《南北朝 梁紀7 武帝 大通 元年》 (丁未, 527秊) ④. 봄, 정월, 魏에서는 定·相 두 州에 속한 네 군을 나누어서 殷州(治所:廣阿에 두고, 定·相에서 떼어낸 趙郡·鉅鹿·南鉅鹿·廣宗의 네 군) 를 설치하였는데, 북도행대인 박릉 사람 최해를 자사로 삼았다. 최해가 표문을 올려 말하였다. ④. 春,正月,魏分定、相二州四郡置殷州,〈按魏收《志》,殷州止領趙郡、鉅鹿、南鉅鹿三郡,蓋初置時兼領相州之廣宗郡也。殷州治廣阿。劉昫曰︰北齊改爲趙州。隋改廣阿爲大陸,唐武德四年改爲象城,天寶二年改爲昭慶,以有建初、啓運二陵也。宋開寶五年改昭慶爲隆平,熙寧六年省隆平縣爲隆平鎭,入臨城縣。相,息亮翻。〉以北道行臺博陵崔楷爲刺史。楷表稱︰ "州가 지금 새롭게 세워져서 한 자짜리 칼이나 한 말의 양식도 모두 아직 없으니 빌건대 물자로 무기와 양식을 주십시오."..

카테고리 없음 2020.11.17

千金市骨[qiān jīn shì gǔ]

千金市骨[qiān jīn shì gǔ] 현자를 갈망한다는 말이다. 千金市骨,汉语成语,拼音是qiān jīn shì gǔ,意思是用重价购买千里马的骨头,比喻重视人才,渴望求得人才的愿望,出自《咏李伯时摹韩干三马次苏子由韵》。 【成语原文】 전국시대 연 소왕은 각국의 변법 시행에 대비 국가발전을 계획하고 있었다. 어느날 왕은 곽외와 상의하였다. 곽외가 말하였다. "옛날 말을 좋아하는 임금이 있었는데 천금을 주어서 천리마를 구하고 싶었습니다. 3년이 지났으나 말은 구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자 한 하급관리가 말하였습니다. '소신이 구해 오겠습니다.' 하고 석달이 지나자 그 신하가 말뼈를 들고 와서 오백금을 주고 사 오다가 죽어버렸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화가 난 임금에게 그 신하가 다시 말씀드렸습니다. '폐하 노여워 하지 마..

카테고리 없음 2020.11.14

賞必行,罰必信(상은 반드시 공정해야 하고, 벌도 반드시 믿음이 있어야 한다.) /立冬節 中候地始凍3日(陰9/29)辛酉

《南北朝 梁紀6 武帝 普通 6年》 (乙巳, 525秊) ㉕. 위에서는 바야흐로 서북쪽에서 사건이 있었는데, 이형(형주와 동형주)·서영에 있는 여러 만족이 모두 반란을 일으켜서 三鵶(삼아;노산 서남쪽)로 가는 길을 차단하고 도독을 죽이고 노략질 하며, 북쪽으로 가서 양성에 이르렀다. 여수에는 冉氏·向氏·田氏가 있었는데, 種落(종족부락) 가운데 가장 번성하였고, 그 나머지 가운데 큰 것은 1만 가구이며 작은 것은 1천 실이었으며, 각기 왕후라고 칭하고 험한 요충지에 주둔하고 점거하니 도로는 통하지 않았다. ㉕. 魏方有事於西北,二荊〈荆州,州政府设穰城【河南省邓州市】、东荆州,州政府设沘阳【河南省泌阳县】〉、西郢〈府设安阳【河南省泌阳县西】〉群蠻皆反,斷三鵶路〈河南省鲁山县西南三个险要山径隘口〉,〈西荊治上洛,北荊治襄城,西郢治汝南..

카테고리 없음 2020.11.14

銷禍於未萌,制勝於無形(재앙이 싹 트기 전에 없애고, 형성되기 전에 승세를 잡는 것)/立冬節 中候地始凍初日(陰9/27)己未

《南北朝 梁紀6 武帝 普通 5年》 (甲辰, 524秊) ②. 3월에 위에서는 임회왕 원욱을 도독북토제군사로 하여 파릉한발릉을 토벌하게 하였다. ②. 三月,魏以臨淮王彧都督北討諸軍事,討破六韓拔陵。〈拔陵反見上卷上年。〉 여름, 4월에 고평진의 백성인 혁련은 등이 반란을 일으켜 칙륵의 추장 호침을 추대하여 고평왕으로 삼고, 고평진을 공굑하여 파륙한발릉에게 호응하였다. 위의 장수 노조천이 그를 공격하여 격파하자, 호침이 북쪽으로 도주하였다. 夏,四月,高平〈宁夏固原县〉鎮民赫連恩等反,推敕勒酋長胡琛為高平王,〈酋,慈秋翻。長,知兩翻。〉攻高平鎮以應拔陵。魏將盧祖遷擊破之,琛北走。〈將,即亮翻。〉 위가고가 회삭진을 공격하여 해를 넘겼는데도 외부에서 구원병이 이르지 않자, 양균이 하발승으로 하여금 임회왕 원욱에게 가서 위급함을 보고하게..

카테고리 없음 2020.11.12

古代长度单位/ 立冬節 中候地始凍初日(陰9/27)己未

古代长度单位 尺:是个标识(zhi志),本义:十寸。 周制寸、咫、尺、仞、寻、常诸度,皆以人之体为法。。 最初的年代里,男人手掌伸展,拇指与中指之间的距离,谓之“尺”。 咫:古代长度单位,周制八寸,合今市尺六寸二分二厘。女子手掌伸展,拇指与中指之间的距离,则谓之“咫”。 商代,一尺合今16.95cm,按这一尺度,人高约一丈左右,故有“丈夫”之称; 周代,一尺合今19.91cm ; 秦时,一尺约23.1cm ; 汉时,一尺大约21.35——23.75cm ; 三国,一尺合今24.2cm ; 南朝,一尺约25.8cm ; 北魏,一尺合今30.9cm ; 隋代,一尺合今29.6cm ; 唐代,一尺合今30.7cm ; 宋元时,一尺合今31.68cm ; 明清时,木工一尺合今31.1cm; 现代,一尺为33.33cm 。 寸,十分也。人手却一寸,动脉谓之寸口。——《说文》。(指事。小篆字形,从..

카테고리 없음 2020.11.11

淮堰(회하의 제방)/立冬節 中候地始凍初日(陰9/27)己未

《南北朝 梁紀4 武帝 天監 15年》 (丙申, 516) ⑦. 여름, 4월에 회언이 완성 되었는데, 길이가 9里, 밑바닥 너비가 140丈, 윗면의 너비가 45丈, 높이가 20丈이었고, 거류(키버들)나무로 심어져 있었으며, 군사기지가 그 위에 열을 지어 있었다.(南朝의 一丈은 258cm) ⑦. 夏,四月,淮堰成,長九里,下廣一百四十丈,上廣四十五丈,高二十丈,樹以?柳,〈長,直亮翻。廣,古曠翻。高,居號翻。?柳,柜柳也。〉軍壘列居其上。 어떤 사람이 강현(양 도독회상제군사)에게 말하였다. "4개의 강(長,珠,淮,漢)은 하늘이 조절하므로써 그 기를 베푸는 것이기에 오랫동안 막을 수가 없습니다. 만약 강의 밑바닥을 뚫어서 동쪽으로 물을 댄다 해도, 흐르는 물결이 느리게 간다면 방죽은 무너지지 않을 것입니다." 或謂康絢曰:「四瀆,..

카테고리 없음 2020.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