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233

학살되는 환관과 소종의 환궁/白露節初候鴻雁萊(18:53)2日(陰8/2)己未

《唐紀79 昭宗 天福 3年》〈癸亥, 903年〉 ③. 정월, 6일에 이무정이 홀로 황상을 알현하였지만, 중위 한전회· 장언홍· 추밀사 원이간· 주경용은 모두 대면할 수 없었다. 이무정은 한전회 등을 주살하고 주전충과 화해하며, 거가를 모시고 경사로 돌아가게 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③. 戊申,李茂貞獨見上,〈見,賢遍翻。〉中尉韓全誨、張彥弘、樞密使袁易簡、周敬容皆不得對。〈易,以豉翻。〉茂貞請誅全誨等,與朱全忠和解,奉車駕還京。 황상은 기뻐하며 즉시 내양을 파견하여 봉상의 병졸 40명을 거느리고 한전회 등을 잡아들여 그들을 참수하게 하였다. 어식사 제오가범을 좌군중위로 삼고, 왕지고를 상원추밀사로 삼고, 양건량을 하원추밀사로 삼았다. 이날 저녁에 또 이계균· 이계회· 이언필 그리고 내제사사 위저정 등 16명을 참수하였다...

카테고리 없음 2021.09.07

韓偓/白露節初候鴻雁萊(18:53; 큰기러기 기러기 온다)1日(陰8/1)戊午

《唐紀79 昭宗 天福 2年》〈壬戌, 902年〉 ㉔. 위이범은 재상이 되어서 사람들에게 뇌물을 많이 받고 관직을 허락하였는데 이미 그렇게 하고서 모친상으로 파직되어 떠나게 되자 매일 빚을 받으려는 사람들로 시끄러웠다. 가까운 관리인 유연미는 빚진 것이 특히 많았으니, 그런 연고로 다시 기용되는 것에 급급하여 매일 사람을 파견하여 두 중위와 추밀 그리고 이무정에게 가서 그것을 요구하였다. ㉔. 韋貽範之爲相也,多受人賂,許以官;旣而以母喪罷去,日爲債家所譟。〈譟,喧聒也。〉親吏劉延美,所負尤多,故汲汲於起復,日遣人詣兩中尉、樞密及李茂貞求之。 7월 ?(갑술일이없다)에 한악에게 명령을 내려 위이범이 다시 기용한다는 제서를 기초하게 하자, 한악이 말하였다. "내 팔이 잘릴 수는 있어도, 이 제서는 기초할 수 없습니다." 즉시 ..

카테고리 없음 2021.09.07

槿堂體本(9/6)/白露節初候鴻雁萊(18:53; 큰기러기 기러기 온다)1日(陰8/1)戊午

槿堂體本(9/6) ☞. 女慕貞烈. ☞. 和順一門添百福, 平安二字値千金.《鄧石如篆書集字春联》 ☞. 鳥飛驚峭嶷, 人去難偏樑. 平生不捫淚, 今日灑千行. 《往五天竺國傳 胡蜜回廊·慧超》 새도 날아가다 깎아지른 산에 놀라고, 사람은 좁은 다리 지나기 어렵구나. 평생 살아가며 눈물 흘리지 않았는데, 오늘따라 천 줄기나 뿌리는구나. 君恨西蕃遠, 余嗟東路長. 道荒宏雪嶺, 險澗賊途倡. 鳥飛驚峭嶷, 人去難偏樑. 平生不愒淚, 今日灑千行. 그대는 티베트가 먼 것을 한탄하는구료, 이 몸은 동쪽 길 먼것이 안타깝소. 길은 험하고 산마루에 눈도 엄청 쌓였는데다가, 험한 골짜기에 도적떼마저 득시글. 새마저 날아오르다 깎아지른 산에 놀라고, 우리는 좁은 다리 건너기 무섭구나. 살면서 눈물 흘린 적 없는데, 오늘은 천줄기나 흐르네. ☞...

카테고리 없음 2021.09.06

환관들의 암투/處暑節末候禾乃登(마침내 벼가 익는다)4日(陰7/29)丙辰

《唐紀78 昭宗 天福 元年》〈辛酉, 901年〉 ⑲. 황상이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오게 하는 데에 중서사인 영호환과 급사중 한악이 모두 그들의 모의에 참여하였으니, 그런 연고로 발탁하여 한림학사로 삼고 자주 소대(召對: 황제가 신하를 불러 정치경학 등을 문답)하며 기밀에 대하여 자문하였다. 영호환은 영호도의 아들이다. 당시에 황상은 모든 국군의 사무를 최윤에게 위임하고 매번 업무를 상주할 때마다 황상은 그와 함께 조용하게 상의하는데 간혹 촛불을 밝힐 때까지 이르기도 하였다. 환관들이 그것을 두려워하고 곁눈질하였고, 모든 것들을 최윤에게 잠ㄴ을 구한 다음에 실행하였다. 최윤의 뜻이 그들을 전부 제거하려 하였으므로, 한악이 누차 간언하였다. ⑲. 上之返正也,中書舍人令狐渙、給事中韓偓皆預其謀,故擢爲翰林學士,數召對,..

카테고리 없음 2021.09.04

환관에 의한 소종 폐위 소동2/處暑節末候禾乃登(마침내 벼가 익는다)3日(陰7/28)乙卯

《唐紀78 昭宗 光和 3年》〈庚申, 900年〉 ㉙. 태자가 즉위한 지 몇십일이 지나도번진들의 전문과 표문 등이 대부분 도달하지 않았다. 왕중선의 성품은 가혹하며 자세히 살펴서 평소 좌· 우군 안에 폐단이 많이 누적된 것을 알아서 중위가 되기에 이르자, 군대 안의 전곡을 걸어서 비교하여 숨기거나 몰입한 간악한 사람들을 붙잡아서 그들을 아프게 채찍질하여서 빚진 것을 급히 징수하니, 장사들은 자못 불안해 하였다. ㉙. 太子卽位累旬,藩鎭牋表多不至。王仲先性苛察,素知左、右軍多積弊,及爲中尉,鉤校軍中錢穀,得隱沒爲姦者,痛捶之,〈捶,止橤翻。〉急徵所負;將士頗不安。 염주의 웅의군사인 손덕소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좌신책지휘사였고, 유계술이 폐립하면서부터 항상 분개와 탄식으로 마음이 평온치 않았다. 최유이 그 소식을 듣고 판관 석..

카테고리 없음 2021.09.03

환관에 의한 소종 폐위 소동/處暑節末候禾乃登(마침내 벼가 익는다)1日(陰7/26)癸丑

《唐紀78 昭宗 光和 3年》〈庚申, 900年〉 ㉕. 애초에, 최윤이 황제와 더불어 환관들을 전부 주살할 것을 비밀리에 모의하였는데, 송도필과 경무수가 죽게 되자, 환관들이 더욱 두려워하였다. 황상이 화주로부터 돌아온 후에 홀홀 즐겁지 않아 대체로 멋대로 술을 마셨고 기쁨과 노여움이 일정하지 않아 좌우에 있는 사람들은 특히 스스로 위험을 느꼈다. ㉕. 初,崔胤與帝密謀盡誅宦官,及宋道弼、景務脩死,〈事見上六月。〉宦官益懼。上自華州還,〈光化元年,上還自華州,事見上卷。還,從宣翻,又如字。〉忽忽不樂,〈樂,音洛。〉多縱酒,喜怒不常,左右尤自危。 이에 좌군중위 유계술· 우군중위 왕중선· 추밀사 왕언범· 설제악 등이 몰래 서로 함께 모의하며 말하였다. "주상께서는 경박하고 과다하게 변덕스럽고 속이니 받드는 일이 어려우며, 오로지 ..

카테고리 없음 2021.09.01

槿堂體本(8/27)/處暑節末候禾乃登1日(陰7/26)癸丑

槿堂體本(8/27) ☞.☞. ☞.☞. ☞.☞. ☞.☞. ☞.☞. ☞.☞. ☞.☞. ☞.☞. ☞.☞. ☞.☞. ☞.☞. ☞.☞. ☞.☞. *.鳥飛驚峭嶷/人去難偏樑/平生不捫淚/今日灑千行.《와칸회랑에서·慧超, 704~787》 새도 날아가다 깎아지른 산에 놀라고, 사람은 좁은 다리 지나기 어렵구나. 평생 살아가며 눈물 흘리지 않았는데, 오늘따라 천 줄기나 뿌리는구나.

카테고리 없음 2021.08.30

槿堂體本(8/23)/處暑節(06:35)初候鷹祭鳥2日(陰7/17)甲辰

槿堂體本(8/23) ☞.自有聖命駕巡車南下. ☞.花好月圓. 人長不老. 孫賢子孝. 世濟今明. ☞.“隹廿又八年五月既望庚寅,王在周康穆宫。旦,王各大室,即位。宰頵佑?入门。立中廷,北向。史黹授王命书。王呼史淢册赐?:玄衣黹纯、赤韨、朱衡、銮旗、鋚勒。戈琱□、厚柲、彤苏。” ☞.☞.☞. ☞.☞. ☞. ☞.☞. ☞.☞. ☞. ☞.☞. ☞.

카테고리 없음 2021.08.23

李世民 書跡/處暑節(06:35)初候鷹祭鳥1日(陰7/16)癸卯

李世民 書跡 指意 夫字以神為精魄,神若不知,則字無態度也;以心為筋骨,心若不堅,則字無勁健也;以副毛為皮膚,副若不圓,則字無溫潤也。所資心副相參用,神氣沖和為妙,今比重明輕,用指腕不如鋒鋩,用鋒鋩不如沖和之氣,自然手腕輕虛,則鋒含沈靜。夫心合於氣,氣合於心;神,心之用也,心必靜而已矣。虞安吉云:夫未解書意者,一點一畫皆求象本,乃轉自取拙,豈是書邪?縱放類本,體樣奪真,可圖其字形,未可稱解筆意,此乃類乎效顰未入西施之奧室也。故其始學得其粗,未得其精,太緩者滯而無筋,太急者病而無骨,橫毫側管則鈍慢而肉多,豎管直鋒則乾枯而露骨。及其悟也,心動而手均,圓者中規,方者中矩,粗而能銳,細而能壯,長者不為有餘,短者不為不足,思與神會,同乎自然,不知所以然而然矣。 論書 太宗嘗謂朝臣曰:書學小道,初非急務,時或留心,猶勝棄日。凡諸藝業,未有學而不得者也。病在心力懈怠,不能專精耳。朕少時為公子,頻遭敵..

카테고리 없음 2021.08.22

무능한 소종 2/處暑節(06:35)初候鷹祭鳥1日(陰7/16)癸卯

《唐紀76 昭宗 乾寧 3年》〈丙辰, 896年〉 ㉗. 애초에, 이극용 위수의 북쪽에 주둔하면서, 이무정과 한건은 그를 꺼려서 조정을 섬기는 예의가 대단히 겸손하였다. 이극용이 떠나자, 두 진에서 공물을 헌납하는 것이 점차 소원해졌고 표장의 언사는 거만하였다. 황상은 석문으로 부터 돌아와서, 신책양군 이외에 안성· 봉신· 보령· 선화 등의 군을 두고, 수만 명을 선발 보충하여 여러 친왕들로 하여금 그들을 거느리도록 하였는데, 사연왕 이계비와 사담왕 이사주도 또 스스로 모집하여 휘하가 수천 명이었다. ㉗. 初,李克用屯渭北,〈謂自邠寧還屯渭北時也。〉李茂貞、韓建憚之,事朝廷禮甚恭。克用去,〈謂歸河東也。〉二鎭貢獻漸疏,表章驕慢。上自石門還,於神策兩軍之外,更置安聖、捧宸、保寧、宣化等軍,選補數萬人,使諸王將之;嗣延王戒丕、嗣覃王嗣周..

카테고리 없음 2021.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