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 5

槿堂體本(2/24)/雨水節中候鴻雁北來·地天泰·杏花風(陰1/27)甲子

槿堂體本(2/24)☞. 長遠心可成大事.《自在語64· 聖嚴法師》 堅韌心易度難關, 長遠心可成大事. 강인한 마음은 난관을 쉽게 지날 수 있게 하고, 멀리 내다보는 마음은 큰일을 이뤄낼 수 있게 한다.  ☞. 發心求正覺, 妄己濟群生. 《華嚴經》 ☞. 民生在勤, 勤則不匱, 宴安自逸, 歲暮愛冀.《勸農· 陶淵明》 悠悠上古, 厥初生民. 傲然自足, 抱朴含眞. / 멀고 먼 오랜 옛날, 처음 사람이 생겨났도다. 우쭐하게 스스로 만족하고, 순박하고 진실하였도다.智巧旣萌, 資待靡因. 誰其贍之, 實賴哲人. / 지혜와 기교 싹트자 도움되고 기다릴 일 없어졌도다. 그 누가 넉넉하게 하였나 진실로 철인의 덕분이었도다.哲人伊何, 時惟后稷. 贍之伊何, 實曰播殖. / 철인은 그 누구였었나 당시는 바로 후직이었도다. 풍부하게 한 것은 무..

카테고리 없음 2025.02.24

銀蟾의 金文誡子書(2/23. '25)

銀蟾의 金文誡子書(2/23. '25) 《繁》夫君子之行,靜以修身,儉以養德。非淡泊無以明志,非寧靜無以致遠。夫學須靜也,才須學也,非學無以廣才,非志無以成學。淫慢則不能勵精,險躁則不能治性。年與時馳,意與日去,遂成枯落,多不接世,悲守窮廬,將復何及!《簡》夫君子之行,静以修身,俭以养德;非澹泊无以明志,非宁静无以致远。夫学须静也,才须学也;非学无以广才,非志无以成学。淫慢则不能励精,险躁则不能治性。年与时驰,意与日去,遂成枯落,多不接世。悲守穷庐,将复何及。 短短八十六个字,可以看出诸葛亮是一位品格高洁、才学渊博的父亲,对儿子的殷殷教诲与无限期望尽在此书中。  "군자의 행동은 마음을 고요히 하여 몸을 닦고 알뜰하고 검소하게 생활하면서 그 덕을 쌓아야 한다(靜以修 身儉以養德). 마음이 넉넉하고 담백하지 않으면 뜻이 밝을 수가 없고, 고요하지 않으면 큰일을 도모..

카테고리 없음 2025.02.23

槿堂體本(2/17)/立春節末候魚上氷·風雷益·望春花風(陰1/120)丁巳

槿堂體本(2/17)☞. 雨餘庭院靜如掃, 風過軒窗凉似秋. 山色溪聲又松籟, 有何塵事到心頭.《偶書一絶· 圓鑑冲止》비온 뒤 정원은 쓸은듯 깨끗하고, 창으로 바람 지나니 가을인 양 서늘하다. 산색 계곡 물 소리 솔 바람 소리, 진세가 어찌 마음 머리에 이를쏘냐?☞, 天堂地獄由心造.《自在語 42· 聖嚴法師》天堂地獄由心造, 成佛作祖心外無.천당과 지옥은 마음으로 말미암고, 부처가 되고 종파를 세우는 일은 마음 밖에서 찾을 수 없다.☞. 世間本無垢與淨, 只(祗)緣自起分別心. 《自在語 37· 聖嚴法師》 세상에 본래부터 더럽고 깨끗한 것은 없으며, 다만 스스로 구분지으려는 마음에 의한 것일 뿐이다.☞. 西风断雁声, 落叶回风舞。 人坐夕阳亭, 空翠下如雨。 《庚山草堂题壁· 淸 陳文述》 ☞. 以茶(文)常會友, 唯德自成隣.《清明宴..

카테고리 없음 2025.02.17

槿堂體本(2/10)/立春節仲候蟄蟲始振·山水蒙(陰1/13)庚戌

槿堂體本(2/10)☞. 避邪就福.☞. 趨向幸福.☞. 避邪驅災.☞. 益壽强身.☞. 禍不單行.☞. 除邪去害.☞.禍去福來.☞. 風雨無月夜, 月亮本無常.《自在語 3卷· 聖嚴法師》月缺月圓日, 若晦若明時. 風雨無月夜, 月亮本常明.결월이나 만월에는 밤도 따라 흐리다가, 비바람 부는 밤 달은 보이지 않지만, 구름 뒤의 달은 여전히 밝다.☞. 安時不忘危.《大宗經 人道品 處世道 34章》 處世柔爲貴,  剛强是禍基. 發言常欲訥, 臨事當如痴. 急地尙思緩, 安時不忘危.  처세에는 유한 것이 제일 귀하고, 강강함은 재앙의 근본이니라. 말하기는 어눌한 듯 조심히 하고, 일 당하면 바보인 듯 삼가 행하라. 급할수록 그 마음을 더욱 늦추고, 편안할 때 위태할 것 잊지 말아라.☞. 急地尙思緩.☞. 臨事當如癡.☞. 發言常欲訥.☞. 剛强是禍..

카테고리 없음 2025.02.10

槿堂體本(2/3)/立春節初候東風解凍·雷山小過(陰1/6)癸卯

槿堂體本(2/3)☞. 北山白雲裏, 隠者自怡恱. 相望始登髙,  心隨鴈飛滅. 愁因薄暮起, 興是清秋發. 時見歸村人,  沙行渡頭歇. 天邊樹若薺,  江畔洲如月. 何當載酒來,  共醉重陽節.《秋登蘭山寄張五· 孟浩然》     북산 흰 구름 속에서, 은자는 스스로 혼자 즐거워한다. 그대를 바라보려 높은 산 오르는데, 마음은 날아가는 기러기 따라가네. 시름은 해질녘이 되니 시작되고, 흥은 맑은 가을에 비로소 일어난다. 이따금 보이는 귀가하는 농부들, 모래 길을 걸어 뱃터에서 쉬고 있다. 하늘가 나무는 작은 냉이 같고, 강가의 모래 두둑은 달과 같다. 언제나 수레에 술을 싣고 와, 함께 술 마시며 중양절을 보내려나?☞. 山不在高。有僊則名。水不在深。有龍則靈。斯是陋室。 惟吾德馨。苔痕上岩(階)綠。艸色入解(帘) 靑。談笑有鴻儒。往..

카테고리 없음 2025.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