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중해

槿堂體本(4/25)/壬寅年穀雨節中候鳴鳩拂其羽酴醾花風3日(陰4/27)庚戌.

solpee 2022. 4. 25. 11:18

槿堂體本(4/25)

☞. 和氣得眞如.

☞. 一失人身萬劫不復, 忠言逆耳豈不銘心.《潙山警策

 사람의 몸은 한 번 잃으면 만겁이 지나더라도 다시 회복하기 어렵고, 충고하는 말은 귀에 거슬리지만 어찌 새기지 않겠는가!

☞. 和藹近人. 상냥하고 부드러워서 사람들이 가까이하다. 和藹可親[hé ǎi kě qīn] 

☞. 臨深馭朽.《高麗史 仁宗 24年 2月》

制曰, “朕以凉德, 叨纘丕業, 臨深馭朽, 不知所圖. 大降之孽, 疾疹不瘳, 上懼天心, 下愧民望, 夙夜靡遑, 思免厥咎. 庶政萬機, 不可久曠, 神器大寶, 不可暫虛.  ”/“짐은 덕이 부족한 데도 외람되게 선조의 큰 업적을 계승했으니 마치 깊은 못가에 서 있는 듯 하고 썩은 새끼로 말을 모는 것 같아서 어떻게 나라를 다스려야 할지를 알지 못했다. 더구나 하늘이 벌을 내려 병이 낫지 않으니, 위로는 하늘의 뜻이 두렵고 아래로는 백성들의 여망이 부끄러운 나머지 자나 깨나 쉼 없이 허물을 면할 방도를 생각해 왔다. 중요한 국가 정무는 오래 공백으로 두어서는 아니 되며, 거룩한 왕의 자리는 잠시라도 비워두어서는 안 된다.

 臨深馭朽[lín shēn yù xiǔ] 臨深은 깊은 못에 가서 얇은 얼음을 밟는다는 말로 극히 조심한다는 뜻이다. 『詩經』 小雅 小旻에 “전전긍긍하니/깊은 못에 간 듯/얇은 얼음을 밟는 듯(戰戰兢兢, 如臨深淵, 如履薄氷).”이라 하였다. 馭朽는 “썩은 새끼로 여섯 마리 말을 부린다(朽索馭六馬).”를 줄인 것이다. 朽索은 썩은 고삐의 뜻이며 馭는 말을 制禦한다는 뜻이니 심히 곤란하고 위험한 것을 말한다. 『書經』 五子之歌에 “나는 모든 백성을 대하여 마치 썩은 새끼로 여섯 말을 부리는 것보다 더 얼어붙을 지경이다(予臨兆民, 凜乎若朽索之馭六馬).”라 하였고 그 箋에 “썩은 새끼로 여섯 말을 부린다는 것은 위급하고 두려움이 심하다는 말이다(腐索馭六馬 言危懼甚).”라 하였다.

 

☞. 狗猛酒酸.[gǒu měng jiǔ suān]《韓非子 外儲說右》

개가 사나우면 술이 시어진다는 뜻으로, 한 나라에 간신배가 있으면 어진 신하가 모이지 않음을 비유한 말.

 

 송나라 사람으로 술을 파는 자가 있었다. 되도 정확하고 손님 대접도 잘 했고 술맛도 좋고 간판 깃발은 높이 세웠는데도 술은 팔리지 않고 쉬는 것이었다. 이상하게 생각하여 잘 알고 지내는 양천에게 물었더니 이렇게 말했다.

"자네 집에 개가 사나운가? "술장수가 되물었다. 개가 사나운 것과 술이 안 팔리는 것이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

양천이 말했다 "사람들이 개를 무서워하기 때문이다. 어린 아이에게 돈을 주어 술을 사오라고 했을 때 개가 뛰어나와 짖거나 하면 술이 쉴 때까지 팔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宋人有酤酒者, 升槪甚平, 遇客甚謹, 爲酒甚美, 縣幟甚高, 然而不售, 酒酸。怪其故, 問其所知, 閭長者楊倩。倩曰 汝狗猛耶? 曰 狗猛, 則酒何故而不售? 曰 人畏焉。 或令孺子懷錢挈壺罋而往酤, 而狗迓而齕之, 此酒所以酸而不售也。)

 

 생각해 보면 나라에도 개가 있다. 도를 터득한 자가 치국 정책을 품고 가서 군주에게 알리고 싶어해도 대신들이 사나운 개처럼 물어뜯는다. 그렇게 되면 군주는 그 명이 어둥워질 것이고 도를 터득한 자는 임용되지 않는다. 그래서 옛날 환공이 관중에게 이렇게 물었던 것이다. "나라를 다스리는데 있어 가장 방해되고 괴롭히는 것은 무엇인가?" 관중이 대답했다. "사직에서 묵고 있는 쥐새끼일 것입니다"  환공이 다시 물었다. "그 쥐가 어떻다는 말인가" 관중이 말했다. "군주께서는 사직을 축조하는 것을 보신 적이 있으십니까? 목재를 세우고, 벽을 바르면 쥐새끼가 그 사이에 구멍을 뚫고 살게 됩니다.

 (夫國亦有狗, 有道之士懷其術而欲以明萬乘之主, 大臣爲猛狗迎而齕之, 此人主之所以蔽脅, 而有道之士所以不用也。故桓公問管仲曰 治國最奚患? 對曰 最患社鼠矣。公曰 何患社鼠哉? 對曰 君亦見夫爲社者乎? 樹木而塗之, 鼠穿其間, 掘穴託其中。)

 

 그런데 그 놈들을 내쫓기 위해서 불을 놓자니 집이 탈 염려가 있고 물을 붓자니 벽이 무너질 염려가 있습니다. 그리하여 사직에서 묵고 있는 쥐새끼는 잡을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군주 곁에 있는 측근들은 궁정 밖에서는 권세를 부리며 백성들을 수탈하고 궁정 안에서는 한 동아리가 되어 자기들의 비행이 군주에게 알려지지 않도록 수작을 꾸미고 또 군주의 실정을 내탐하여 밖으로 물어내고 안팎의 일을 자기들 멋대로 조종하기 때문에 신하들은 그런 측근들의 권력이 매우 강한 것을 알고 있습니다. 법관이 그들을 처벌하자니 군주께서 평안치 않을 것이므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것입니다. 그 군신들이 곧 쥐새끼들인 것입니다.

 (燻之, 則恐焚木, 灌之, 則恐塗阤, 此社鼠之所以不得也。今人君之左右, 出則爲勢重而收利於民, 入則比周而蔽惡於君。內間主之情以告外, 外內爲重, 諸臣百吏以爲富。吏不誅則亂法, 誅之則君不安, 據而有之, 此亦國之社鼠也。)

 

 신하의 신분으로 정권을 장악하고, 멋대로 법령을 위반하여 자기들을 위해서 일하는 자에게는 이익을 주고 자기들을 위해서 일하지 않는 자에게는 손해를 준다. 그러한 자를 가리켜 사나운 개라고 한다. 요컨대 대신은 맹견이 되어 도를 터득한 자를 물어뜯으며 측근들은 사직의 쥐가 되어 군주의 실정을 내탐하여 물어내는데 군주는 모르고 있다.

어찌 군주의 명이 어두워지지 않겠는가? 또 국가가 어찌 망하지 않겠는가?

 (故人臣執柄而擅禁, 明爲已者必利, 而不爲已者必害, 此亦猛狗也。夫大臣爲猛狗而齕有道之士矣, 左右又爲社鼠而間主之情, 人主不覺。如此, 主焉得無壅, 國焉得無亡乎?)

 

☞. 世人黑白分,往来争荣辱:荣者自安安,辱者定碌碌。《三國演意》

 사람들은 흑백을 가려서, 오고가며 영욕을 다투는구나. 영화란 스스로 평안해 하면 그만이고, 치욕이란 하찮은 것이라네.

「原文」 次日,玄德同关、张并从人等来隆中。遥望山畔数人,荷锄耕于田间,而作歌曰:“蒼天如圆盖,陸地似棋局;世人黑白分,往来争荣辱:荣者自安安,辱者定碌碌。南阳有隐居,高眠卧不足!”玄德闻歌,勒马唤农夫问曰:“此歌何人所作?”答曰:“乃卧龙先生所作也。

 이튿날 현덕이 관우, 장비와 하인들을 데리고 융중으로 찾아갔다. 멀리 바라보니 산자락의 밭에서 몇 사람이 괭이로 밭을 갈며 노래하기를,“푸른 하늘은 둥근 지붕 같고, 땅은 바둑판 같네. 사람들은 흑백을 가려서, 오고가며 영욕을 다투는구나. 영화란 스스로 평안해 하면 그만이고, 치욕이란 하찮은 것이라네. 남양에 숨어살며, 높이 베개를 해 잠들어도 족하지 않느냐!”라고 했다. 현덕이 노래를 듣고 말을 세워 농부를 불러 묻기를,“그 노래는 누가 지었소?”하니, (농부가) 대답하기를,“와룡선생이 지었습니다.”했다.

☞. 浮雲不礙.

☞. 人生最大的欣慰是布施.《警世哲理名言

 人生最大的欣慰是布施。只有乐于布施,甘愿奉献,行善行德,才能心旷神怡,无比欣慰。

1. 인생 최대의 적은 자기자신이다.(一. 人生最大的敵人是自己)
2. 인생 최대의 실패는 스스로 잘낫다는 생각이다.(二. 人生 最大的失敗是自大)
3. 인생 최대의 어리석음은 남을 속이는 것이다.(三. 人生最大的無智是欺騙)
4. 인생에서 가장 슬픈 일은 질투다.(四. 人生最悲哀的是嫉妬)
5. 인생 최대의 착오는 스스로 포기하는 것이다.(五. 人生最大的錯誤是自棄)
6. 인생 최대의 잘못은 스스로를 속이고 남을 속이는 것이다.(六. 人生最大的罪過是自欺欺人)
7. 인생에서 가장 가련한 성품은 스스로를 비하하는 것이다.(七. 人生最可憐的性情是自卑)
8.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게 지녀야 할 것은 정진이다.(八. 人生最可佩服的是精進)
9.인생 최대의 파산은 절망이다.(九. 人生最大的破産是絶望)
10. 인생 최대의 재산은 건강이다.(十. 人生最大的財富是健康)
11. 인생 최대의 채무는 인정에 대한 채무다.(十一. 人生最大的債務是人情債)
12. 인생 최대의 예물은 관용과 용서다.(十二. 人生最大的禮物是寬恕)
13. 인생에서 가장 부족한 것은 자비와 지혜다.(十三. 人生最大的缺欠是悲智)
14. 인생 최대의 기쁨은 베푸는 일이다.(十四. 人生最大的欣慰是布施)

☞.☞.

 

☞.

☞. 雲母屛風燭影深 長河漸落曉星沉 嫦娥應悔偷靈藥 碧海靑天夜夜心嫦娥 · 李商隱 

 운모 병풍에 그림자 짙어지고, 은하수 점점 옅어져 샛별도 침침하네. 항아는 영약 훔친 걸 틀림없이 후회하리니, 바다 같은 푸른 하늘에 밤마다 마음 띄우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