槿堂體本(10/28)
☞.共克時艱[gòng kè shí jiān].《一帶一路[yī dài yī lù] 主題[zhǔ tí]》
일치 단결하여 당면한 어려움을 극복하다.
同心共克時艱, 同行共創未來[tóng xīn gòng kè shí jiān,tóng háng gòng chuàng wèi lái]./ 어려운 시국을 한 마음으로 극복하며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자.
☞.我生本無鄕, 心眼是歸處.[wǒ shēng běn wú xiāng, xīn yǎn shì guī chù].《初出城留別· 白居易》
朝從紫禁歸, 暮出靑門去. 勿語城東陌, 便是江南路. 揚鞭簇車馬, 揮手辭親故. 我生本無鄕, 必安是歸處.
아침에 궁궐에서 돌아와, 저녁에 도성의 동문으로 나와 떠나네. 도성의 동문 거리에서 말하지 말지니, 이것이 곧 강남으로 가는 길이네. 채찍 휘둘러서 말을 재촉하고 손을 들어 벗과 작별하네. 내가 살면서 지금 고향이랄 곳도 없으니, 반드시 편안하면 돌아갈 곳이라네.
☞.須知家和萬事成(興), 愛夫愛妻過一生.
自古以來就重視家庭、重視親情。家和萬事興、天倫之樂、尊老愛幼、賢妻良母、相夫教子、勤儉持家等,都體現了中國人的這種觀念。
“家和萬事興”是一個家喻戶曉、婦孺皆知的諺語,可謂深入人心。這個諺語原引作“家和萬事成”。始見於元·無名氏《殺狗記》:“自古常言:‘家和萬事成。’我東人怎不思省,轉教安童前去,請王老勸官人。”晚清小説《二十年目睹之怪現狀》才引作“家和萬事興”:“大凡一家人家,過日子,總得要和和氣氣,從來説:‘家和萬事興。’”
後來,此語引用不斷。類似的諺語還有許多,如:“家和萬事安”“家和日子旺”“家和水也甜”“家庭和,喜事多”“和睦的家庭是快樂的,興旺的畜群是健壯的”(藏族)等;反面的有“家不和,事不成”“家不和睦,四鄰不安”“家不和,外不順”(藏族)、“家人不和睦,外人來欺侮”(傣族)等。
☞.其一. 黑云翻墨未遮山, 白雨跳珠乱入船. 卷地风来忽吹散, 望湖楼下水如天. 《六月二十七日望湖楼醉書· 蘇軾》
검은 구름이 엎질러진 먹물처럼 먼산을 휘두르고, 갑자기 우박이 쏟아져서 배 안으로 들어온다. 광풍이 땅을 말듯이 불어오는데, 망호루 아래 호수는 하늘 같이 맑고 투명하다!
☞.常德不離延年益壽[cháng dé bù lí yán nián yì shòu].
☞.一月主人笑幾回, 相逢相値且銜杯. 眼看春色如流水, 今日殘花昨日開. 《宴城东庄· 崔惠童 》
한달 동안 몇 번 웃었습니까? 어서 만나서 술이나 한잔합시다. 유수같은 세월이 눈에 보이지 않습니까? 어제 핀 꽃이 벌써 오늘 지고 있습니다.
☞.兩人對酌山花開, 一杯一杯復一杯. 我醉欲眠君且去, 明朝有意抱琴來.《山中與幽人對酌· 李白》
둘이 마주 앉아 술 마시니 산꽃이 피고, 한 잔 한 잔에 거듭되는 또 한 잔이라. 나는 취해 졸리나니 그대는 우선 가게, 내일 아침 생각나거든 거문고 안고 오시게나.
☞.梅好不妨同月瘦,泉清莫恨出山遲。《重有感 其二· 張問陶》
蓬根吹断更何之,云散风流感故知。梅好不 张问陶 妨同月瘦,泉清莫恨出山迟。一寒如我辞林鹤,百事输人打劫棋。欲觅南邻诸酒伴,雨疏烟澹各天涯。
☞.看破世事[kàn pò shì shì] .世事若還着不破, 新沉苦海怎凌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