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楊家의 滅門/立冬節末候雉入大水爲蜃4日(陰10/6)丁卯

solpee 2020. 11. 20. 06:03

《南北朝 梁紀11 武 中大通 3 (辛亥, 531秊)

 

 ⑳. 위의 양파와 동생 양춘·양진은 모두 명성과 덕망을 가지고 있었다. 일찍이 양파는 강직하고 굳세며, 양춘·양진은 겸손하고 공손하며 집안이 대대로 효성스럽고 우애가 있어서 베옷차림으로 함께 불을 때었고, 남여가 100식구가 있었으나 사람들 사이에 이상한 말이 없었다.

 ⑳. 魏揚播及弟椿、津皆有名德。播剛毅,椿、津謙恭,家世孝友,緦服同爨,〈凡三從之服服緦麻。〉男女百口,人無間言。〈間,古莧翻,異也。〉

 

 양춘·양진은 모두 삼공에 이르렀고, 한 가문에서 일곱 개의 군의 태수와 32개 주의 자사가 나왔다. 경종이 이주영을 주살할 때 양파의 아들인 양간이 그 모의에 가담하엿고, 성양왕 원휘·이욱은 모두 그의 인척이었다.

 椿、津皆至三公,一門七郡太守,三十二州刺史。〈史言楊氏貴盛。〉敬宗之誅爾朱榮也,播子侃預其謀;〈事見上卷上年。〉城陽王徽、李彧,皆其姻戚也。

 

 이주조가 낙양에 들어오자 양간은 도망하여 화음으로 돌아갔는데, 이주천광이 양간의 장인인 위의원으로 하여금 그를 부르게 하고 함께 맹세하고 그 죄를 용서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양간이 말하였다.

 "저들이 비록 거짓말을 하여도 죽는 사람은 한 사람에 지나지 않으니 오히려 100명을 보전하기를 바란다."

 마침내 밖으로 나와 그에 응대하자 이주천광이 그를 죽였다.

 爾朱兆入洛,侃逃歸華陰,〈華,戶化翻。〉爾朱天光使侃婦父韋義遠招之,與盟,許貰其罪。〈貰,貸也,音始制翻。〉侃曰:「彼雖食言,死者不過一人,猶冀全百口。」乃出應之,天光殺之。

 

 이 당시에 양춘은 치사하여 그의 아들인 양욱과 더불어 화음에 있었는데, 양춘의 동생인 기주 자사 양순·사공 양진·양순의 아들인 옹주 자사 양변·정평 태수 양중선은 모두 낙양에 있었다. 가을, 7월에 이주세륭이 양씨가 반란을 모의한다고 무고하는 상주를 올리고 이를 잡아서 다스리게 해달라고 청하였으나 황제가 허락하지 않았는데, 이주세륭이 굳게 청하자 황제는 어쩔 수 없이 유사에게 명령하여 조사하여 보고하도록 시켰다.

 時椿致仕,與其子昱在華陰,椿弟冀州刺史順、司空津、順子東雍州刺史辨、正平太守仲宣皆在洛。〈雍,於用翻。〉秋,七月,爾朱世隆誣奏楊氏謀反,請收治之,〈治,直之翻。〉魏主不許;世隆苦請,帝不得已,命有司檢按以聞。

 

 4일 밤에 이주세륭이 군사를 파견하여 양진의 집을 포위하고 이주천광 또한 군사를 보내어 화음에 있는 양춘의 집을 엄습하여 동쪽과 서쪽에 있는 족속 중 나이가 어리건 많건 모두 죽이고 그 집을 관적에 몰수하였다.

 이주세륭이 상주하였다.

 "양씨가 실제 반란을 일으키고 체포하는 병사와 서로 대치하여 이미 모두 격살하였습니다."

 황제는 오랫동안 슬퍼하고 탄식하며 말을 하지 않았을 뿐이었고 조야에 있는 사람들은 그 소식을 듣고 가슴아파하고 분해하지 않는 일이 없었다.

 壬申夜,世隆遣兵圍津第,天光亦遣兵掩椿家於華陰,東西之族無少長皆殺之,〈世隆、天光先已約同夷楊氏,故東西一時俱發。居華陰者爲西族,居洛者爲東族。少,詩照翻。長,知兩翻。〉籍沒其家。世隆奏云:「楊氏實反,與收兵相拒,已皆格殺。」帝惋悵久之,不言而已,〈惋,烏貫翻。悵,丑亮翻。〉朝野聞之,無不痛憤。

 

 양진의 아들 양음은 체포될 당시 마침 나가 밖에 있어서 달아나 숨어서 죽음을 모면할 수 있었고,  가서 신도에서 고환을 마나고 눈물을 흘리며 집안의 재앙을 하소연하고 이어서 이주씨를 토벌할 계책을 말하니, 고환이 즉시 그를 행대낭중으로 임명하였다.

 津子逸爲光州刺史,爾朱仲遠遣使就殺之。唯津子愔於被收時適出在外,逃匿,獲免,往見高歡於信都,〈使,疏吏翻。愔,於今翻。被,皮義翻。《考異》曰:《北齊書‧愔傳》云:「愔父津爲幷州刺史,愔隨之任。俄而孝莊幽崩,愔時適欲還都,行達邯鄲,過津義從楊寬家,爲寬所執。至相州,見刺史劉誕,以愔名家盛德,甚相哀念,遣隊主鞏榮貴防禁送都。至安陽亭,榮貴遂與俱逃,乃投高昂兄弟,潛竄累載。屬齊神武至信都,遂投刺轅門,卽署行臺郎中。」按時齊神武已在信都,言潛竄累載,誤矣。又云孝莊幽崩,而愔欲還都見執,皆非也。〉泣訴家禍,因爲言討爾朱氏之策,〈爲,于僞翻。〉歡甚重之,卽署行臺郎中。〈楊愔門地旣高,又有幹用,高歡起兵之初,藉人望以爲重,藉才幹以爲用,所以擢而用之。士無賢不肖,入朝見嫉,田橫島之逃實基於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