槿堂體本(9/21)
☞.之勺吹京恤庶人以.
☞.老樹着花無醜態(枝).《 东溪 ·梅尧臣 》
行到东溪看水时,坐临孤屿发船迟。 野凫眠岸有闲意,老树着花无丑枝。 短短蒲茸齐似剪,平平沙石净于筛。 情虽不厌住不得,薄暮归来车马疲。
☞.蘋雲海南溟遠星辰北鬪深無復雙金報.
☞.忘遠近,草露已霑衣.
☞.萬言萬當不如一默.《鐘聲法文》
淸話濃時尺還短, 坐禪倦時寸猶長, 萬言萬當不如一默, 百戰百勝不如一忍.
맑은 이야기 무르익을 때는 아무리 길게 이야기해도 짧고, 좌선을 게을리 하면 아무리 짧게 이야기해도 오히려 길다. 만마디 말 아무리 옳다고 해도 한번의 침묵만 못하고, 백번 싸움에 백번 이기더라도 한번 참는 것만 못하네.
☞.遂擔,笈杖錫, 西游上國, 謁見當代名公, 錯綜其事, 遺編絶簡, 往往遇之, 豁然心胷,
☞.厭居市井觀天小, 喜到君家見越多.《會飮鲍史君池·徐照》
案上一琴书数卷,不须此地有笙歌。厌居市井观天小,喜到君家见月多。叶满地飞随步履,鹤於人熟听吟哦。明朝也向山上去,手把松枝养太和。
☞.淸話濃時尺還短.
☞.善慶流芳.《兩頭鉗·鬼谷子》
墙外一枝花一果,谁知果熟有佳名,多因久积阴功力,善庆流芳有禁城。
☞.厭家鷄愛野雉.[yàn jiā jī,ài yě zhì]
解释:厌:憎恶;雉:野鸡。憎恶家鸡,喜欢野鸡。原意是晋庚翼把自己的书法喻为家鸡,把王羲之的书法喻为野鸡。比喻贱近贵远。
晋·何法盛《晋中兴书》第七卷:“在荆州与都下书云:‘小儿辈贱厌家鸡,爱野雉,皆进逸少书,须吾还,当比之。’”
☞.盛鬱於帝皇之始德.
☞.翠竹.
☞.一切唯心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