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花(대화) - 우분(于濆)
꽃을 마주보며
花開蝶滿枝/화개접만지/꽃 피면 꽃가지에 나비 날다가
花謝蝶還稀/화사접환희/꽃 지면 나비는 날아가 버리네.
惟有舊巢燕/유유구소연/오직 옛 둥지 잊지 않은 제비만
主人貧亦歸/주인빈역귀/주인이 가난해도 여전히 찾아오네.
花开蝶满枝,花谢蝶还洗.唯有旧巢燕,主人贫依归
恨古人不見我狂耳...
고인 또는 스승을 만나지 못하여 미칠것만 같은 심정...
人問寒山道 / 사람들은 한산으로 가는 길을 묻지만 寒山路不通 / 한산 가는 길은 세상 사람들과 소통되어 있지 않네. 還得到其中 / 아마도 그대들은 반드시 그곳에 이르리라. 出自南宋诗人辛弃疾的《贺新郎·甚矣吾衰矣》 邑中园亭,仆皆为赋此词。一日,独坐停云,水声山色,竞来相娱。意溪山欲援例者,遂作数语,庶几仿佛渊明思亲友之意云。 甚矣吾衰矣。怅平生、交游零落,只今馀几!白发空垂三千丈,一笑人间万事。问何物、能令公喜?我见青山多妩媚,料青山见我应如是。情与貌,略相似。 一尊搔首东窗里。想渊明《停云》 寒山子诗集选编辑
夏天氷未釋 / 여름날이 되어도 얼음이 채 녹지 않고
日出霧朦朧 / 해가 떠도 안개 자욱하여 앞이 보이지 않네.
似我何由屆 / 나 같으면 어떻하든 갈 수 있었겠지
與君心不同 / 나는 그대들과 뜻이 다르다네.
君心若似我 / 만약 그대들의 뜻이 나와 같다면
不恨古人吾不见,恨古人不见吾狂耳。
就,此时风味。江左沉酣求名者,岂识浊醪妙理。回首叫、云飞风起。不恨古人吾不见,恨古人不见吾狂耳。知我者,二三子。
(一)凡读我诗者
(二)重岩我卜居
(三)可笑寒山道
(四)吾家好隐沦
(五)琴书须自随
(六)弟兄同五郡
(七)一为书剑客
(八)庄子说送终
(九)人问寒山道
(十)天生百尺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