槿堂體本(1/13)
☞. 不如飲美酒.《自普照遊二庵· 東坡》
長松吟風晚雨細,東庵半掩西庵閉。山行盡日不逢人,浥浥野梅香入袂。居僧笑我戀清景,自厭山深出無計。我雖愛山亦自笑,獨往神傷後難繼。不如西湖飲美酒,紅杏碧桃香覆髻。作詩寄謝采薇翁,本不避人那避世。
장송에 바람일더니 해저물녁에 가량비 내리고, 동암은 반이 가렸고 서암은 보이지 않네. 종일 산행에도 사람 하나 없더니, 촉촉하게 젖은 들매화 향기가 소매에 스민다. 스님은 내가 맑은 경치 좋아함을 알고 웃지만, 스스로 산이 싫지만 나갈 계획은 없다네. 나는 비록 산을 좋아하나 혼자 웃으며, 혼자 갔다가 마음 상하면 게속하기 어렵다. 서호에서 미주 마심만 못하니, 붉은 살구꽃과 푸른 복숭아꽃 향기가 머리를 덮는다. 시를 지어 고사리 캐던 노인에게 바치나, 내 본시 사람을 피하지 않는데 어찌 세상을 피하리오!
☞.客至不嫌.《對聯· 曾國藩》
客至不嫌听夜雨,兴来每欲写春风。
☞. 心地淸淨方爲道, 退步原來是向前.《揷秧· 契此(唐僧侶 別名:布袋和尙)》
手把靑秧揷滿田, 低頭便見水中天. 心地淸淨方爲道, 退步原來是向前.(퇴보원래시향전)
손에 종모 잡고 논에 심는데, 고개 숙이니 물속에 하늘이 보이네. 마음이 청정하니 도를 이루고, 뒷걸음 치는 것이 원래 앞으로 가는 것 이라네.
☞. 十方諸佛度眾生.《 二零一四淨土大經科註》
這句話,是十方三世一切諸佛度眾生、成佛道第一法門。
☞. 昨夜雨疎風聚. 濃睡不消殘酒. 試問捲簾人, 却道海棠依舊. 知否? 知否?應是綠肥紅瘦.《如夢令· 李淸照》
어젯밤에 비도 흩뿌리고, 바람도 거셌는데, 깊은 잠도 술기운을 완전히 떨치지 못했네. 주렴을 걷는 시녀에게 짐짓 물어보니, 어라, 해당화가 어제나 똑같다네. 그럴리가, 그럴리가. 분명히 녹색이 많아지고, 붉은색은 줄었을텐데...
☞. 孤舟簑笠翁獨, 釣寒江雪. 《江雪· 柳宗元》
千山鳥飛絶, 萬徑人蹤滅. 孤舟蓑笠翁, 獨釣寒江雪.
천 산에 새들도 날지 않고, 만 길에 사람 흔적도 없네. 고주에 도롱이에 삿갓 쓴 늙은이, 홀로 낚시하는 차가운 강에 눈이 내린다.
☞. 但求無愧我心.《劉基自勉》
“岂能尽如人意,但求无愧我心[qǐ néng jìn rú rén yì ,dàn qiú wú kuì wǒ xīn] ” 豈能盡如人意, 但求無愧我心. 《劉伯溫自勉· 名人常用座右銘》
어떻게 다른 사람들의 뜻을 다 헤아릴 수 있겠는가! 다만 내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기를 구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