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槿堂體本('23. 1/16)小寒節末候雉始雊(陰12/25)甲戌

solpee 2023. 1. 16. 11:39

槿堂體本('23. 1/16)

☞. 何以解憂, 唯有眞露.

☞. 兔穎措春, 山河溢彩.

☞. 玉兎乘風奔共富, 家也和兮春也和.

☞. 拒諫愛諂. 多疑美變. 言以不信. 綿裏藏針.《有人槪括毛的錯誤爲16个字· 夏衍》

☞. 閒觀世事如修史, 多見通人始信書. 

☞. 冲天 [chōng tiān]. 飛必冲天 癸卯元月《史記·滑稽列傳》

“此鸟不飞则已,一飞冲天;不鸣则已,一鸣惊人。”

《楚辞·九歌·大司命》:“乘龙兮辚辚,高驼兮冲天。” 三国 魏曹丕 《浮淮赋》:“白旄冲天,黄钺扈扈。” 前蜀 韦庄 《喜迁莺》词:“家家楼上簇神仙,争看鹤冲天。”

☞. 嬴福[yíng fú]

☞. 鳳毛麟角[fèng máo lín jiǎo]《北史·文苑傳序》

“学者如牛毛,成者如麟角。”提取出“麟角”。“凤毛”和“麟角”组合为成语“凤毛麟角”。

王敬伦风姿似父,作侍中,加授桓公,公服从大门入。桓公望之,曰:“大奴固自有凤毛。”(南朝宋·刘义庆《世说新语·容止》)后人就从这句话中提取出“凤毛”二字,又从

☞. 友誼長春[yǒu yì zhǎng chūn]

 大其心容天下之物;虛其心受天下之善;平其心論天下之事;潛其心觀天下之理。定其心應天下之變. 《西山群仙会真记· 施肩吾聖人之道太和而已.《呻吟语·卷二·乐集·修身》 又《格言聯璧》

 마음을 크게 가지면 천하만물을 수용할 수 있다. 마음을 비우면 천하 의좋음을 받아들일 수 있다. 마음을 평정하면 천하의 일을 논할 수 있다. 마음을 가라앉히면 천하의 이치를 볼 수 있다. 마음을 안정시키면 천하의 변화에 응할 수 있다. 성인이 가는 길은 큰 조화이다.

☞. 廿六年, 皇帝盡並兼天下諸侯, 黔首安大, 立號爲皇帝, 乃詔丞相狀、綰, 法度量則不壹歉疑者, 皆明壹之.秦銅詔鐵權

“廿六年皇帝尽并兼天下诸侯,黔首大安,立号为皇帝。乃诏承相状、绾:法度是不壹、歉疑者,皆明壹之。”

【解釋】公元前230年至前221年,秦始皇采取远交近攻、分化离间、连横的策略,发动秦灭六国之战。先后于秦始皇十七年(前230年)灭韩、十九年(前228年)灭赵、二十二年(前225年)灭魏、二十四年(前223年)灭楚、二十五年(前222年)灭燕、二十六年(前221年)灭齐。这里指秦始皇二十六年灭齐,标志着中国历史上第一个大统一的中央集权的专制主义国家——秦朝的建立。

 26년 황제가 천하의 제후를 통일하여 백성들을 태평하게 한 후 자신을 황제라고 부르게 하였고, 외상과 왕관을 승상으로 삼았다. 법도를 측량함에 法, 度, 量, 則이 통일되지 않거나 혐의가 있는 것을 통일되게 하였다.

☞. 元年, 制詔丞相斯去疾, 法度量盡始皇帝爲之, 皆有刻辭焉. 今襲號, 而刻辭不稱始皇帝, 其於久遠也, 如後嗣爲之者, 不稱成功盛德. 刻此詔. 故刻左, 使毋疑. 《秦銅詔鐵權

 “元年,制诏丞相斯、去疾:‘法度量尽始皇帝为之,皆有刻辞焉。今袭号,而记得辞不称始皇帝,其于久远也,如后嗣为之者,不称成功盛德。记得此诏。’故刻左,使毋疑。”

 【解釋】“秦二世元年(公元前209年),下诏左丞相李斯、右丞相冯去疾说,统一度量衡是始皇帝制,后嗣只是继续实行,不敢自称有功德。现在把这个诏书刻左边,使不致有疑惑。”

 원년 승상 이사와 거질에게 조칙을 내려 재조토록 하여 도량의 법을 시황제의 뜻대로 하고 그 내용은 모두 말로 여기에 새긴다. 지금 옛날 왕호를 부를 뿐 글로 새긴대로 시황제라고 칭할만 한 임금이 없은지 이미 오래 되었다. 만약 뒤를 이은 자가 왕호를 정함에 있어 성공성덕이 걸맞지 않음이 있으면 이 조서의 왼쪽에 새겨 의심이 없도록 하라.

☞. “三年,漆工“口”,丞詘造,工隸臣牟.禾石,高奴.”銘文第一行“三”字前,有一鑄造時形成的凹陷,並非殘字遺跡.另一面加刻秦始皇二十六年詔書和“高奴石”三字,並加刻秦二世元年詔書.《高奴銅禾石權》

 權은 古代의 衡器(무게를 다는 도구)로 용도는 현재의 저울의 추에 해당하는 것이다. 秦나라 昭王 3년(BC.249) 이 石權은 高奴(今陝西延安)에 표준 형기로 보내졌다.  秦始皇이 6국을 통일한 후 또 이 權을 회수하여 수정하였으며, 진시황 26년에 도량형에 대한 詔書를 내리고 "高奴石” 3자를 더 새겨서 다시 高奴에 보냈다.  진나라 二世 元年에 또  이 權을 회수하여 거듭 "二世 元年" 詔文을 새겼다. 詔書의 내용은 진나라의 도량형 정책과의 연속성을 뚜렸하게 보인다.

"石”은 고대 중량의 단위로 진나라 제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 1石은 120斤이니 진나라의 1斤은 현재 256.25g이다. 즉, 1石은 현재의 61.5斤에 해당한다. 이 石權은 두 차례 高奴에 보내졌는데 兩度調回鹹陽校正,反映了戰國到秦朝建立,一直保持統一的度量衡制。同時此權上有大篆、小篆和隸書三種文字,爲我們了解我國文字的演變、發展提供了極爲珍貴的資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