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槿堂體本(10/3)/秋分節末候水始涸雷澤歸妹1日(陰9/8)己丑

solpee 2022. 10. 3. 10:47

槿堂體本(10/3)

☞. 必有忍其乃有濟[bì yǒu rěn nǎi yǒu jì].《書·君陳》

《書·君陳》:“必有忍, 其乃有濟有容, 德乃大.”

 반드시 참음이 있어야 일을 이룸이 있으며, 용납함이 있으면 덕은 커진다.

《尙書· 周書· 君陳》解释:人君一定要有所忍耐,事才能有成;有所宽容,德行才算是大。

☞. 樵客出來山帶雨, 漁舟過去水生風.遊東湖黃處士園林· 劉威(唐 武宗代人

 偶向東湖更向東, 數聲鷄犬翠微中. 遙知楊柳是門處, 似隔芙蓉無通路. 樵客出來山帶雨, 漁舟過去水生風. 物情多與閒相稱, 所恨求安計不同.

 우연히 동호에 갔다가 다시 동으로 가니 푸른 산 속에서 몇 마리 개소리 닭소리 들린다. 버드나무 서있는 곳이 그의 문인 줄 알았는데 부용산이 건너로 다시 더 갈 길이 없는 듯하여라. 나무꾼이 돌아오니 비가 내릴 것 같고, 고깃배가 지나갔는지 호수에 바람이 이는구나. 사물의 정이 한가하여 이리 서로 걸맞는데 편안함을 구함이 서로 같지 않음이 못내 한스럽구나.

☞. 學者與自得[xué zhě zì dé].

 莫貴於自得,得非外也,故曰自得.

☞. 名山許遊未許畵, 畵必似之山必怪. 變幻神奇懜懂間,  不似似之當下拜.《似而不似,不似而似。· 石濤》

 명산은 유람은 허락하지만 그리는 것은 허락하질 않는 듯, 그림은 산을  닮고자하나 산은 언제나 괴이하기만하내. 신기하게 바꿔버린 흐릿한 사이로, 닮지 않은  닮음에 절이라도 해야하지 않을까?

不似之似,中国画术语。指画家笔下的艺术形象,不只是照搬客观物象,而有所概括、取舍、调节,以求收到比生活更高的艺术效果。

初见于明代沈顥《画麈》:“似而不似,不似而似。”清代石濤题诗亦有:“名山许游未许画,画必似之山必怪,变幻神奇懵懂间,不似之似当下拜。”现代齊白石说的“不似之似”,即石涛说的“不似似之”。黃賓虹说:“绝似物象者与绝不似物象者,皆欺世盗名之画,惟绝似又绝不似于物象者,此乃真画”傅抱石曾列作画程序:不似(入手)——似(经过)——不似(最后)。

☞. 雪. 人生得意須盡歡, 莫使金樽空對月. 天生我材必有用, 千金散盡還復來. 烹羊...

☞. 獨憐幽草潤邊生, 上有黄鸝深樹鳴。 春潮带雨晚來急, 野渡無人舟自横。《滁州西澗· 韋應物》

 그윽한 물가에 빛나는 풀, 깊은 숲 속 나무 위에 꾀꼬리 지저귄다. 봄비 속 물띄는 저녁이라 빨라지고, 사람 없는 나루터엔 빈 배만 비껴있네.

☞. 學原(源)於思.《近思錄》

起于思,思源于疑. 小疑则小进,大疑则大进. 

☞. 離離原上草, 一歲一枯榮. 野火燒不盡, 春風吹又生. 遠芳侵古道, 晴翠接荒城. 又送王孫去, 萋萋滿別情. 《赋得古原草送别· 白居易》

 언덕 위에 우거진 풀들, 해마다 한 번 시들었다 무성해지는 구나. 들불이 일어도 다 타지 않고, 봄바람 불면 다시 돋아나나니. 방초는 멀리 뻗어 옛길을 덮고, 맑은 푸른빛은 황폐한 성까지 닿을지니. 또 그대를 떠나보내니
 이별의 정 가득하구나.

 《赋得古原草送别》作于唐德宗贞元三年(公元788年),作者当时只有十六(우리 나이 17세)岁。此是应考习作,按科考规矩,凡限定的诗题,题目前必须加“赋得”二字,作法与咏物诗相似。

☞. 霜落荊門江樹空,布帆無恙掛秋風。此行不為鱸魚鱠,自愛名山入剡中。《秋下荊門· 李白》

 荊門山에 서리 내려 강가 나무 앙상하고, 가을바람에 돛 달고 가는 뱃길 무사하네. 이번에 가는 길 농어회 때문이 아니요, 명산이 좋아 剡中으로 은거하러 가는 것이라네.

①荆门:山名,位于今湖北省宜都县西北的长江南岸,与北岸虎牙山隔江对峙,地势险要,自古即有楚蜀咽喉之称。空:指树枝叶落已尽。布帆无恙:此处表示旅途平安。
②鲈鱼鲙:运用《世说新语·识鉴》的典故:西晋吴人张翰在洛阳做官时,见秋风起,想到家乡菰菜、鲈鱼鲙的美味,遂辞官回乡。剡中:指今浙江省嵊州市一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