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장안탈환/小滿節(04:37)初候苦菜授1日(4/10)己巳

solpee 2021. 5. 21. 15:35

《唐紀36 肅宗 志德 2載》〈丁酉, 757年〉

 

 

 ②. 상략....................

 ②. 郭子儀以回紇兵精,勸上益徵其兵以擊賊。懷仁可汗遣其子葉護及將軍帝德等將精兵四千餘人來至鳳翔;上引見葉護,宴勞賜賚,惟其所欲。〈見,賢遍翻。勞,力到翻。〉丁亥,元帥廣平王俶將朔方等軍及回紇、西域之衆十五萬,號二十萬,發鳳翔。俶見葉護,約爲兄弟,葉護大喜,謂俶爲兄。回紇至扶風,郭子儀留宴三日。葉護曰︰「國家有急,遠來相助,何以食爲!」宴畢,旣行。日給其軍羊二百口,牛二十頭,米四十斛。

庚子,諸軍俱發;壬寅,至長安西,陳於香積寺北澧水之東。〈此皆漢上林苑地也。《地說》云︰豐水出鄠南豐谷,北流逕漢龍臺觀東南,與渭水會于短陰山。程大昌曰︰香積寺,呂《圖》在子午谷正北微西。郭子儀收長安,陳于寺北,距澧水,臨大川。大川者,沈水、交水,唐永安渠也。蓋寺在澧水之東,交水之西也。呂《圖》云在鎬水發源之北,則近昆明池矣。子儀先敗于清渠,至此則循南山出都城後,據地勢以待之也。陳,讀曰陣;下陳於、其陳、於陳、陳乃、賊陳同。〉李嗣業爲前軍,郭子儀爲中軍,王思禮爲後軍。賊衆十萬陳於其北,李歸仁出挑戰,官軍逐之,逼於其陳;賊軍齊進,官軍卻,爲賊所乘,軍中驚亂,賊爭趣輜重。〈重,直用翻。〉李嗣業曰︰「今日不以身餌賊,軍無孑遺矣。」乃肉袒、執長刀,立於陳前,大呼奮擊,〈呼,火故翻。〉當其刀者,人馬俱碎,殺數十人,陳乃稍定。於是嗣業帥前軍各執長刀,如牆而進,身先士卒,〈先,悉薦翻。〉所向摧靡。都知兵馬使王難得救其裨將,〈王難得爲鳳翔都知兵馬使,時上在鳳翔,蓋御營大將也。〉賊射之中眉,皮垂鄣目。難得自拔箭,掣去其皮,血流被面,〈射,而亦翻。中,竹仲翻。掣,昌列翻。去,羌呂翻。被,皮義翻。〉前戰不已。賊伏精騎於陳東,欲襲官軍之後,偵者知之,〈騎,奇寄翻。偵,丑鄭翻。〉朔方左廂兵馬使僕固懷恩引回紇就擊之,翦滅殆盡,賊由是氣索。〈索,昔各翻,盡也。〉李嗣業又與回紇出賊陳後,與大軍夾擊,自午及酉,斬首六萬級,塡溝塹死者甚衆,賊遂大潰。餘衆走入城,迨夜,囂聲不止。〈塹,七豔翻。囂,五羔翻。〉

僕固懷恩言於廣平王俶曰︰「賊棄城走矣,請以二百騎追之,縛取安守忠、李歸仁等。」〈俶,昌六翻。騎,奇寄翻。〉俶曰︰「將軍戰亦疲矣,且休息,俟明旦圖之。」懷恩曰︰「歸仁、守忠,賊之驍將,驟勝而敗,此天賜我也,柰何縱之!使復得衆,〈驍,堅堯翻。將,卽亮翻。復,扶又翻;下而復、可復、復修、復爲、敢復同。〉還爲我患,悔之無及!戰尚神速,何明旦也!」〈言何用俟明旦。〉俶固止之,使還營。〈還,從宣翻,又音如字。〉懷恩固請,往而復反,一夕四五起。遲明,諜至,〈遲,直二翻。諜,達叶翻。〉守忠、歸仁與張通儒、田乾眞皆已遁矣。〈廣平王若用僕固懷恩之言,固不假新店之戰,可以徑取東京矣。〉癸卯,大軍入西京。

初,上欲速得京師,與回紇約曰︰「克城之日,土地、士庶歸唐,金帛、子女皆歸回紇。」至是,葉護欲如約。廣平王俶拜於葉護馬前曰︰「今始得西京,若遽俘掠,則東京之人皆爲賊固守,〈紇,下沒翻。爲,于僞翻;下當爲同。〉不可復取矣,願至東京乃如約。」葉護驚躍下馬答拜,跪捧王足,〈夷禮以拜跪捧足爲敬。〉曰︰「當爲殿下徑往東京。」卽與僕固懷恩引回紇、西域之兵自城南過,營於滻水之東。〈過京城南,歷安化門、明德門、啓夏門外,遶京城東南角,轉北,歷延興、春明、通化三門之外,至滻水,出藍田縣境之西,北行過白鹿原西,又北入于霸水。滻,音產。〉百姓、軍士、胡虜見俶拜,皆泣曰︰「廣平王眞華、夷之主!」上聞之喜曰︰「朕不及也!」俶整衆入城,百姓老幼夾道歡呼悲泣。俶留長安,鎭撫三日,引大軍東出。〈東出京城門,取洛陽。俶,昌六翻。〉以太子少傅虢王巨爲西京留守。〈少,始照翻。守,式又翻。〉

 

 9월, 29일에 승전을 알리는 편지가 봉상에 도착하자 백관들이 들어와 축하하였다. 숙종은 눈물과 콧물이 턱에 엇갈렸고 그 날에 중사 담정요를 파견하여 촉에 들어가 상황(현종)에게 상주하도록 하고, 좌복야 배면으로 하여금 경사에 들어가 근교에 있는 종묘에 고하고, 아울러 백성을 널리 위로하도록 하였다.

 甲辰,捷書至鳳翔,百寮入賀。上涕泗交頤,卽日,遣中使啖庭瑤入蜀奏上皇;〈使,疏吏翻。啖,徒敢翻,姓也。〉命左僕射裴冕入京師,告郊廟及宣慰百姓。

 

  .....................중략..........................

 上以駿馬召李泌於長安。〈射,寅謝翻。泌,毗必翻。李泌時從軍在長安。〉卽至,上曰︰「朕已表請上皇東歸,朕當還東宮復脩臣子之職。」泌曰︰「表可追乎?」上曰︰「已遠矣。」泌曰︰「上皇不來矣。」上驚,問故。泌曰︰「理勢自然。」上曰︰「爲之柰何?」泌曰︰「今請更爲羣臣賀表,言自馬嵬請留,靈武勸進,〈更,古孟翻。嵬,五回翻。請留、勸進事並見二百十八卷至德元載。〉及今成功,聖上思戀晨昏,請速還京以就孝養之意,則可矣。」〈養,羊尚翻。〉上卽使泌草表。上讀之,泣曰︰「朕始以至誠願歸萬機。今聞先生之言,乃寤其失。」立命中使奉表入蜀,因就泌飲酒,同榻而寢。而李輔國請取契鑰付泌,泌請使輔國掌之;上許之。〈泌掌契鑰,見二百十八卷上年九月。今付輔國,宮禁之權盡歸之矣。爲輔國專擅張本。〉

泌曰︰「臣今報德足矣,復爲閒人,何樂如之!」

 

 황상이 말하였다.

 "지금까지 선생과 더불어 여러 해 동안 우환을 함께하였고 지금 바야흐로 즐거움을 함께 하고 있는데 어찌하여 갑자기 떠나려고 하오!"

 이필이 말하였다.

 "신은 다섯 가지의머무를 수 없는 일이 잇으니, 바라건대, 폐하께서는 신이 떠나서 신이 죽음을 면하도록 하락해주십시오."

 황상이 말하였다.

 "무엇을 말하는 것이오?"

 대답하였다.

 "신이 폐하를 만난 것이 매우 일찍이고, 폐하께서는 신에게 맡긴 것이 아주 무겁고, 신을 총애한 것이 아주 깊으며, 신의 공로가 매우 높고, 공적이 아주 기이하니, 이것이 바로 머물 수 없는 까닭입니다."

 上曰︰「朕與先生累年同憂患,今方相同娛樂,〈樂,音洛。〉柰何遽欲去乎!」泌曰︰「臣有五不可留,願陛下聽臣去,免臣於死。」上曰︰「何謂也?」對曰︰「臣遇陛下太早,陛下任臣太重,寵臣太深,臣功太高,迹太奇,此其所以不可留也。」

 

 ............................중략......................

 上曰︰「且眠矣,異日議之。」對曰︰「陛下今就臣榻臥,猶不得請,況異日香案之前乎!〈唐制,凡朝日,殿上設黼扆、躡席、熏爐、香案,皇帝升御座,宰執當香案前奏事。〉陛下不聽臣去,是殺臣也。」上曰︰「不意卿疑朕如此,豈有如朕而辦殺卿邪!是直以朕爲句踐也!」〈邪,音耶。范蠡旣與越王句踐報吳之恥,蠡乃扁舟五湖,遺大夫文種書,以爲句踐長頸鳥喙,可與同患難,不可與同安樂。文種見書,遂稱疾。句踐賜文種死。句,音鉤。〉對曰︰「陛下不辦殺臣,故臣求歸;若其卽辦,臣安敢復言!〈復,扶又翻。〉且殺臣者,非陛下也,乃『五不可』也。陛下曏日待臣如此,臣於事猶有不敢言者,況天下旣安,臣敢言乎!」

上良久曰︰「卿以朕不從卿北伐之謀乎!」〈謂不從使建寧王自嬀、檀取范陽之策也。肅宗以意言之。〉對曰︰「非也,所不敢言者,乃建寧耳。」上曰︰「建寧,朕之愛子,性英果,艱難時有功,〈謂馬嵬勸留,及北赴靈武,血戰以衞上也。事見二百十八卷元載六月。〉朕豈不知之!但因此爲小人所敎,欲害其兄,圖繼嗣,朕以社稷大計,不得已而除之,〈事見上卷本年正月。嗣,祥吏翻。〉卿不細知其故邪?」對曰︰「若有此心,廣平當怨之。廣平每與臣言其冤,輒流涕嗚咽。臣今必辭陛下去,始敢言之耳。」上曰︰「渠嘗夜捫廣平,意欲加害。」對曰︰「此皆出讒人之口,豈有建寧之孝友聰明,肯爲此乎!且陛下昔欲用建寧爲元帥,臣請用廣平。〈事見二百十八卷元載九月。帥,所類翻。〉建寧若有此心,當深憾於臣;而以臣爲忠,益相親善,陛下以此可察其心矣。」

 

 황상은 마침내 눈물을 흘리며 말하였다.

 "선생의 말이 옳소. 이미 지낫으면 허물하지 않는 것이니, 짐은 그것을 듣고 싶지 않소."

 이필이 말하였다.

 "신이 이것을 말하는 까닭은 이미 지난 일을 허물하는 것이 아니라 마침내 폐하로 하여금 장래에 닥칠 일을 신중히 하도록 만들고 싶은 따름입니다. 이전에 천후는 네 아들을 두었는데 맏아들은 태자 이홍이라고 하였습니다. 천후가 바야흐로 칭제하려고 하자 이홍이 총명한 것을 미워하여 그를 짐살하고, 둘째아들인 옹왕 이현을 세웠습니다.

 上乃泣下曰︰「先生言是也。旣往不咎,〈引《論語》孔子之言。〉朕不欲聞之。」

泌曰︰「臣所以言之者,非咎旣往,乃欲使陛下愼將來耳。昔天后有四子,長曰太子弘,天后方圖稱制,惡其聰明,酖殺之,〈見二百二卷高宗上元二年。〉立次子雍王賢。

 

 이현은 속으로 근심하고 두려워하고 〈황대과사〉를 지어 천후에게 느껴서 깨우치기를 바랐습니다. 천후가 듣지 않았고 이현은 끝내 검중에서 죽었습니다. 그 사에서 말하였습니다. '오이를 황대 아래에 심자 오이가 익고 작은 오이들이 잔뜩 붙어잇네. 첫 번째 따서 오이를 좋도록 만들었고 두 번째 따서 오이를 드물게 만들었고 세 번째 따면 오히려 좋지만 네 번째 딸 때에는 덩굴쨰 끌어안고 돌아오네!' 지금 폐하께서는 이미 한 번 땄으니 신중히 하여 다시 따지 마십시오!"

 賢內憂懼,作《黃臺瓜辭》,冀以感悟天后。天后不聽,賢卒死於黔中。〈賢廢見二百二卷永隆元年;死見二百三卷武后光宅元年。卒,子恤翻。黔,音禽。〉其辭曰︰『種瓜黃臺下,瓜熟子離離︰一摘使瓜好,再摘使瓜稀,三摘猶爲可,四摘抱蔓歸!

 

 황상은 놀라며 말하였다.

 "어찌 이런 일이 있겠소! 경이 한 이 사를 기록하여 짐이 書紳(글을 써서 허리띠로 한다. 즉 잊지 않겠다는 뜻)으로 삼겠소."

 대답하였다.

 "폐하께서는 다만 그것을 마음에 다 기억하시지 어찌 반드시 밖으로 드러내십니까?"

 이때에 광평왕이 큰 공로를 세우자 장량제가 그것을 시기하고 몰래 근거 없이 흘러 다니는 말을 만들었기 때문에 이필은 그것을 언급하였다.

 今陛下已一摘矣,愼無再摘!」上愕然曰︰「安有是哉!卿錄是辭,朕當書紳。」對曰︰「陛下但識之於心,〈識,職吏翻,記也。〉何必形於外也!」是時廣平王有大功,良娣忌之,潛搆流言,故泌言及之。〈【章︰十二行本「之」下有「泌復固請歸山,上曰俟將發此議之」十四字;乙十一行本同;退齋校同;張校同,云無註本亦無。】〉〈李泌歷事肅、代、德三朝,皆能言人所難言,奇士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