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세민의 낙양 평정 /大寒節(05:40)初後鷄始乳(닭이 알을 품기 시작)瑞香花5日(陰12/12)壬申

solpee 2021. 1. 21. 09:58

《唐紀5 高 武德 4》 (辛巳, 621)

 

 

 ⑯. 두건덕이 무뢰에서 압박하였으나 나아갈 수 없었고, 머물러 주둔하기를 몇 달이나 계속되고 싸웠으나 자주 승리하지 못하니, 장사들은 돌아가기를 생각하였다. 4월 30일에 이세민이가왕군곽을 파견하여 경무장한 기병 1천여를 거느리고 그들이 양식을 운반하는 것을 약탈하고 또 그를 격파하고, 그들의 대장군인 장청특을 붙잡았다.

 ⑯. 竇建德迫於武牢不得進,留屯累月,〈《考異》曰︰《舊書》,停留七十餘日;《新書》,六十餘日。按二月戊午,沈悅始以武牢降唐,至五月己未,建德敗,纔六十二日。若沈悅今日降唐,明日建德卽至,亦不能自固。又吳兢《太宗勳史》︰「三月己卯,建德率兵十二萬次于酸棗。」去敗纔四十一日,故但云「留屯累月」。〉戰數不利,〈數,所角翻。〉將士思歸。丁巳,秦王世民遣王君廓將輕騎千餘抄其糧運,〈抄,楚交翻。〉又破之,獲其大將軍張青特。

 

 ...........................................중략............................................

凌敬言於建德曰︰「大王悉兵濟河,攻取懷州、河陽,使重將守之,更鳴鼓建旗,踰太行,入上黨,〈行,戶剛翻。〉徇汾、晉,趣蒲津,〈趣,七喻翻。〉如此有三利︰一則蹈無人之境,取勝可以萬全;二則拓地收衆,形勢益強;三則關中震駭,鄭圍自解。爲今之策,無以易此。」〈凌敬之策善矣。當是時,洛城危急,秦王定計而堅守之,蓋計日而收功;吾恐建德未得至蒲州,洛城已破矣。〉建德將從之,而王世充遣使告急相繼於道,王琬、長孫安世朝夕涕泣,請救洛陽,〈使,疏吏翻。長,知兩翻。〉又陰以金玉啗建德諸將,以撓其謀。〈啗,徒濫翻。將,卽亮翻。撓,奴巧翻,又奴敎翻。〉諸將皆曰︰「凌敬書生,安知戰事,其言豈可用也!」建德乃謝敬曰︰「今衆心甚銳,天贊我也,因之決戰,必將大捷,不得從公言。」敬固爭之,建德怒,令扶出。〈令,力丁翻。〉其妻曹氏謂建德曰︰「祭酒之言不可違也。〈凌敬蓋爲建德國子祭酒。〉今大王自滏口乘唐國之虛,連營漸進以取山北,〈建德都洺州,時在山南,幷、代、汾、晉,皆山北也。滏,音釜。〉又因突厥西抄關中,唐必還師自救,〈厥,九勿翻。抄,楚交翻。還,從宣翻,又音如字。〉鄭圍何憂不解!若頓兵於此,老師費財,欲求成功,在於何日?」建德曰︰「此非女子所知!吾來救鄭,鄭今倒懸,亡在朝夕,吾乃捨之而去,是畏敵而棄信也,不可。」

諜者告曰︰「建德伺唐軍芻盡,牧馬於河北,將襲武牢。」〈諜,達協翻。伺,相吏翻。〉五月,戊午,秦王世民北濟河,南臨廣武,〈此西廣武也。〉察敵形勢,因留馬千餘匹,牧於河渚以誘之,〈誘,音酉。〉夕還武牢。己未,建德果悉衆而至,〈此所謂善戰者,因其勢而利導之也。〉自板渚出牛口置陳,北距大河,西薄汜水,南屬鵲山,〈《水經註》︰汜水南出浮戲山,亦謂之方山,北逕虎牢城東,又北流注于河。陳,讀曰陣;下同。汜,音祀。屬,之欲翻。〉亙二十里,鼓行而進。諸將皆懼,〈將,卽亮翻。懼其衆也。〉世民將數騎升高丘而望之,〈將,音如字,領也。騎,奇寄翻。〉謂諸將曰︰「賊起山東,未嘗見大敵,今度險而囂,〈囂,虛驕翻,喧也。〉是無紀律,逼城而陳,有輕我心;我按甲不出,彼勇氣自衰,陳久卒飢,勢將自退,〈所謂以計稽之也。〉追而擊之,無不克者。與公等約,甫過日中,必破之矣!」〈甫,始也,纔也。〉建德意輕唐軍,遣三百騎涉汜水,距唐營一里所止。遣使與世民相聞曰︰「請選銳士數百與之劇。」〈汜,音祀。使,疏吏翻。劇,戲也;今俗謂戲爲則劇。〉世民遣王君廓將長槊二百以應之,〈槊,色角翻。〉相與交戰,乍進乍退,兩無勝負,各引還。〈還,從宣翻,又音如字。〉王琬乘隋煬帝驄馬,〈煬,余尚翻。馬青白曰驄。〉鎧仗甚鮮,迥出陳前以誇衆。〈鎧,可亥翻。迥,戶頂翻。陳,讀曰陣。〉世民曰︰「彼所乘眞良馬也!」尉遲敬德請往取之,世民止之曰︰「豈可以一馬喪猛士。」〈尉,紆勿翻。喪,息浪翻。〉敬德不從,與高甑生、梁建方三騎直入其陳,擒琬,引其馬馳歸,衆無敢當者。〈騎,奇寄翻。〉世民使召河北馬,待其至乃出戰。

建德列陳,自辰至午,士卒飢倦,皆坐列,〈杜預曰︰士皆坐列,言無鬬志。〉又爭飲水,逡巡欲退。〈逡,七倫翻。〉世民命宇文士及將三百騎經建德陳西,馳而南上,〈所以嘗敵也。將,卽亮翻,又音如字。騎,奇寄翻;下同。上,時掌翻。〉戒之曰︰「賊若不動,爾宜引歸,動則引兵東出。」士及至陳前,陳果動,世民曰︰「可擊矣!」時河渚馬亦至,乃命出戰。

 

 이세민은 경무장한 기병을 인솔하여 먼저 나아갔고, 대군은 그 뒤를 이었는데, 동쪽으로 사수를 건너서 곧장 그들의 진진로 육박해 들어갔다.

 두건덕의 여러 신하들이 바야흐로 조알하는데, 당의 기병이 졸지에 다가오니 조신들이 두건덕에게 달려갔고 두건덕은 기병을 불러서 당군을 막게 하였으며, 기병들은 조신들에게 막혀서 지나가지 못하게 되었고, 두건덕은 조신들을 지휘하여 물러가게 하니 나아가고 물러가고 하는 사이에 당의 군사들은 이미 도착하엿고 두건덕은 궁색하고 급하여 물러나서 동쪽 언덕에 의지하였다.

 世民帥輕騎先進,〈帥,讀曰率;下同。〉大軍繼之,東涉汜水,直薄其陳。〈薄,迫也。〉建德羣臣方朝謁,唐騎猝來,朝臣趨就建德,建德召騎兵使拒唐兵,騎兵阻朝臣不得過,建德揮朝臣令卻,〈朝,直遙翻。〉進退之間,唐兵已至,建德窘迫,退依東陂。

 

 두항(唐將)이 군사를 이끌고 그들을 쳐서 싸워서 조금 불리하였다. 이세민이 기병을 인솔하고 그곳에 도착하니 가는 곳에서는 모두 쓸어졌다. 회양왕 이도현은 몸을 바쳐서 진지를 함락시키고 곧장 그 뒤로 나갔다가 다시 진지로 뚫고 돌아왔고, 다시 들어왔다가 다시 나가는데 나는 화살이 그의 몸으로 집중되어 마치 고슴두치의 털과 같았지만 용기는 쇠퇴하지 않았고 활을 쏘는 사람은 활 시위 소리에 맞추어 넘어졌다.

 竇抗引兵擊之,戰小不利。世民帥騎赴之,所向皆靡。淮陽王道玄挺身陷陳,直出其後,復突陳而歸,〈窘,渠隕翻。復,扶又翻,又音如字。〉再入再出,飛矢集其身如蝟毛,〈蝟,于貴翻;蟲似豪豬而小。《爾雅》曰︰彙毛刺是也。〉勇氣不衰,射人,皆應弦而仆。

 

 이세민이 예비 말을 주고 자기를 따르게 하였다. 이에 여러 군사들이 크게 싸웠는데 전진이 하늘에 닿았다. 이세민은 사대나, 정지절, 진숙보, 우문흠 등을 인솔하여 자리를 말 듯 들어가서 그 진지의 뒤로 나오며 당의 깃발을 걸었더니, 두건덕의 장사들이 이를 돌아보고 크게 붕괴되었으며, 뒤쫓아서 30리를 달려가며 목을 벤 것이 300여 급이었다. 두건덕은 삭에 맞아서 우구서에 숨었다.

 世民給以副馬,使從己。於是諸軍大戰,塵埃漲天。世民帥史大柰、程知節、秦叔寶、宇文歆等卷旆而入,〈歆,許今翻。卷,讀曰捲。〉出其陳後,〈陳,讀曰陣。〉張唐旗幟,〈幟,昌志翻。〉建德將士顧見之,大潰,〈將,卽亮翻。〉追奔三十里,斬首三千餘級。建德中槊,〈中,竹仲翻。槊,色角翻。〉竄匿於牛口渚。

 

 거기장군 백사양과 양무위가 그를 쫓으니 두건덕은 말에서 떨어지고 백사양이 삭을 들어서 그를 찌르려고 하였다. 두건덕이 말하였다.

 "나를 죽이지 마라. 나는 하왕이므로 너를 부귀하게 해줄 수 있다."

 양무위가 내려서 그를 사로잡아서 좇던 말에 싣고 와서 이세민을 보았다. 이세민이 그를 나무라며 말하였다.

 "내가 스스로 왕세충을 토벌하는데, 내 일에 무엇을 간여하였다고 경계를 넘어와서 나의 군사들의 칼날을 범하는 것이오."

 두건덕이 말하였다.

 "지금 스스로 오지 않았다면 아마도 번거롭게 멀리까지 와서 빼앗았겠지요."

 車騎將軍白士讓、楊武威逐之,建德墜馬,士讓援槊欲刺之,〈騎,奇寄翻。援,于元翻。刺,七亦翻。〉建德曰︰「勿殺我,我夏王也,能富貴汝。」〈言得我以獻則富貴也。夏,戶雅翻。〉武威下擒之,〈下馬擒之也。〉載以從馬,〈從,才用翻。〉來見世民。世民讓之曰︰「我自討王世充,何預汝事,而來越境,犯我兵鋒!」建德曰︰「今不自來,恐煩遠取。」

 

 두건덕의 장사들은 모두가 무너져서 떠났고, 포로로 잡힌 것이 5만 명이었는데, 이세민은 그날로 그들을 흩어서 보내며 고향으로 돌아가게 하였다.

 봉덕이가 들어와서 축하하였고, 이세민이 웃으면서 말하였다.

 "공의 말을 채용하지 않아서 오를 같은 날을 갖게 되엇소. 지혜로운 사람은 천 가지를 생각하지만 한 번 실수를 면하지 못한 것이오."

 봉덕이는 아주 부끄러워하였다.

 建德將士皆潰去,所俘獲五萬人,世民卽日散遣之,使還鄕里。

封德彝入賀,世民笑曰︰「不用公言,得有今日。智者千慮,不免一失乎!」〈用李左車之言。〉德彝甚慚。

 

 두건덕의 처인 조씨와 좌복야 제선행이 수백 명의 기병을 거느리고 숨어서 명주(한단)로 돌아갔다. 5월 7일에 왕세충의 언사와 공현이 모두 항복하였다.

 建德妻曹氏與左僕射齊善行將數百騎遁歸洺州。〈洺,彌幷翻。〉

甲子,世充偃師、鞏縣皆降。

 

.............중략................

 乙丑,以太子左庶子鄭善果爲山東道撫慰大使。〈降,戶江翻;下同。使,疏吏翻。〉

世充將王德仁棄故洛陽城而遁,〈此漢、魏故都之城也。〉亞將趙季卿以城降。秦王世民囚竇建德、王琬、長孫安世、郭士衡等至洛陽城下,以示世充。世充與建德語而泣,仍遣安世等入城言敗狀。世充召諸將議突圍,南走襄陽,〈欲走襄陽就王弘烈、王泰。走,音奏。〉諸將皆曰︰「吾所恃者夏王,夏王今已爲擒,雖得出,終必無成。」〈《考異》曰︰《舊書‧世充傳》云︰「諸將皆不答。」今從《河洛記》。〉丙寅,世充素服帥其太子、羣臣、二千餘人詣軍門降。〈帥,讀曰率。降,戶江翻。〉世民禮接之,世充俯伏流汗。世民曰︰「卿常以童子見處,〈處,昌呂翻。〉今見童子,何恭之甚邪?」〈邪,音耶。〉世充頓首謝罪。於是部分諸軍,〈分,扶問翻。〉先入洛陽,分守市肆,禁止侵掠,無敢犯者。

丁卯,世民入宮城,命記室房玄齡先入中書、門下省,收隋圖籍制詔,已爲世充所毀,無所獲。命蕭瑀、竇軌等封府庫,收其金帛,頒賜將士。〈瑀,音禹。將,卽亮翻。〉收世充之黨罪尤大者段達、王隆、崔洪丹、薛德音、楊汪、孟孝義、單雄信、楊公卿、郭什柱、郭士衡、董叡、張童兒、王德仁、朱粲、郭善才等十餘人斬於洛水之上。〈單,慈淺翻。《新書》云︰薛德音以移檄慢逆,崔弘丹以造弩多傷士,前誅之;次收段達等斬洛渚上。溫公避國諱,改弘丹爲洪丹。郭什柱意當作「什住」。〉初,李世勣與單雄信友善,誓同生死。及洛陽平,世勣言雄信驍健絕倫,〈驍,堅堯翻。〉請盡輸己之官爵以贖之,世民不許。〈《考異》曰︰《舊傳》云︰「高祖不許。」按太宗得洛城卽誅雄信,何嘗稟命於高祖,蓋太宗時史臣敍高祖時事,有誅殺不厭衆心者,皆稱高祖之命,掩太宗之失,如屠夏縣之類皆是也。〉世勣固請不能得,涕泣而退。雄信曰︰「我固知汝不辦事。」世勣曰︰「吾不惜餘生,與兄俱死;但旣以此身許國,事無兩遂。且吾死之後,誰復視兄之妻子乎?」〈復,扶又翻。〉乃割股肉以啗雄信,曰︰「使此肉隨兄爲土,庶幾不負昔誓也!」〈幾,居希翻。〉士民疾朱粲殘忍,競投瓦礫擊其尸,須臾如冢。〈礫,郎擊翻。〉囚韋節、楊續、長孫安世等十餘人送長安。〈長孫之長,知兩翻。〉士民無罪爲世充所囚者,皆釋之,所殺者祭而誄之。〈古者卿大夫歿,則君命有司累其功德,爲文以哀之,曰誄。今誄之者,哀其無罪而死也。誄,魯水翻。〉

初,秦王府屬杜如晦叔父淹事王世充。淹素與如晦兄弟不協,譖如晦兄殺之,又囚其弟楚客,餓幾死,〈幾,居依翻,又音祁。〉楚客終無怨色。及洛陽平,淹當死,楚客涕泣請如晦救之,如晦不從。楚客曰︰「曩者叔已殺兄,今兄又殺叔,一門之內,自相殘而盡,豈不痛哉!」欲自剄,〈剄,古頂翻。〉如晦乃爲之請於世民,淹得免死。〈爲,于僞翻。〉

 

 진왕 이세민이 창합문에 앉아 있는데, 소위가 알현하기를 청하고 늙어서 병이 들었다고 말하면서 절을 할 수 없다고 하였다. 이세민이 그 죄를 헤아리며 말하였다.

 "공은 수실의 재상으로 위험해도 부축할 수 없었고, 임금은 시해되고 나라는 망하게 하였다. 이밀과 왕세충을 알현하면서 모두 절하고 엎드려 춤추듯 하였다. 지금 이미 늙어서 병이 들었으니 수고스럽게 서로 만나볼 필요가 없다."

 장안에 도착하게 되지 또 다시 알현하기를 청하였으나 허락하지 않았다. 이미 늙고 또 가난하였고, 다시 관직이나 작위를 받지 못하고 집에서 죽었는데, 나이는 82 세였다.

 秦王世民坐閶闔門,〈晉都洛陽,其城西面北來第三門曰閶闔。隋營新都,《唐六典》所載都城、皇城、宮城、苑城諸門,皆無閶闔,蓋唐改之也。闔,戶臘翻。〉蘇威請見,稱老病不能拜。世民遣人數之曰︰〈見,賢遍翻。數,所具翻,又所主翻。〉「公隋室宰相,危不能扶,使君弒國亡。見李密、王世充皆拜伏舞蹈。今旣老病,無勞相見。」及至長安,又請見,不許。旣老且貧,無復官爵,卒於家,年八十二。〈史言蘇威之壽不若早夭。卒,子恤翻。〉

 

 진왕 이세민이 수의 궁전을 보고 한탄하였다.

 "사치스러운 마음을 만족시키고 사람의 욕심을 끝없이 펼쳤으니, 망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단문루를 헐어버리고, 건양전을 불태우며 칙천문과 궁궐을 무너뜨리라고 명령하고, 여러 도량을 폐하고, 성안에 잇던 승려와 니승 가운데 명망과 덕이 있는 사람 각기 30명을 머물러 있게 하고 나머지는 애초의 상태로 돌아가게 하였다.

 秦王世民觀隋宮殿,歎曰︰「逞侈心,窮人欲,無亡得乎!」命撤端門樓,焚乾陽殿,毀則天門及闕;〈《唐六典》︰東都皇城南面三門,中曰端門。乾陽殿,唐後於此起乾元殿。宮城南面三門,中曰應天門,蓋隋之則天門也。《唐六典》曰︰毀建國門。《隋志》︰東都城南面二門,正南曰建國。〉廢諸道場,城中僧尼,留有名德者各三十人,餘皆返初。〈返初服也。尼,女夷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