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無復人理[wú fù rén lǐ]다시는 인간으로서의 도리를 갖지 못하다. / 寒露節中候雀入大水爲蛤2日(陰8/28)庚寅

solpee 2020. 10. 14. 17:21

南北朝 宋紀12 明帝 泰始 元年》〈乙巳, 465年

 

 ㉓. 폐제가 諸父(叔父,叔 등)들을 두려워하고 꺼리며 그들이 밖에서 우환을 만들까 두려워하여서 모두 건강에 모아놓고 궁전 내에 가두고 구타하고 채찍질하였으며 능멸하고 끌고 다녔으니 다시는 인간으로서의 도리를 갖지 못하였다.

 ㉓. 帝畏忌諸父,恐其在外爲患,皆聚之建康,拘於殿內,毆捶陵曳,無復人理親親悌長,人之常理;廢帝悖之。毆,烏口翻。捶,止橤翻。復,扶又翻,又如字。

 

 상동왕 유욱·건안왕 유후인·산양왕 유휴우는 모두 살찌고 건장하였는데, 황제가 대나무 바구니를 만들어 담아가지고 저울질하고서 유욱이 더욱 살찐 까닭에 그를 '猪王'이라고 하고, 유휴인을 '殺王'이라고 하였으며, 유휴우를 '賊王'이라고 하였다. 세명의 왕은 나이가 많았기 때문에 더욱 그 들을 미워하였으며 항상 붙잡아 매어가지고 자신을 좇게 하고 좌우를 떠나지 못하게 하였다.

 湘東王彧、建安王休仁、山陽王休祐,皆肥壯,帝爲竹籠,盛而稱之,彧,於六翻。盛,時征翻;下同。稱,敕陵翻,稱其輕重也。以彧尤肥,謂之「豬王」,謂休仁爲「殺王」,休祐爲「賊王」。以三王年長,尤惡之,長,知兩翻。惡,烏路翻。常錄以自隨,不離左右。錄,收也,攝也。離,力智翻。

 

 동해왕 유위는 성격이 보통이고 못나서 그를 '驢王'이라고 하고, 계양왕 유후범·파릉왕 유휴약은 나이가 아직 어렸기 때문에 모두 얌전한 대우를 받았다.

 東海王禕性凡劣,劣,弱也,鄙也。禕,吁韋翻。謂之「驢王」;桂陽王休範、巴陵王休若年尚少,故並得從容。少,詩照翻。從,千容翻。

 

 일찍이 나무통에 밥을 담고서 여러 가지 먹을 것을 썪어놓고 땅을 파 구덩이를 만들고 흙탕물로 채우고 유욱을 벌거벗겨 구덩이 안으로 들어가서 입으로 통에 가서 그것을 먹도록 시켜서 웃음거리로 삼았다. 전후하여 세 명의 왕을 죽이려 한 것이 열 몇 차례였으나 유휴인이 대부분 지혜롭게 살펴서 매번 대화와 웃음으로 아첨하며 설득하였기 때문에 연기할 수 있었다.

 嘗以木槽盛飯,幷雜食攪之,攪,古巧翻。掘地爲阬,實以泥水,裸彧內阬中,使以口就槽食之,用爲歡笑。裸,郎果翻。前後欲殺三王以十數;休仁多智數,每以談笑佞諛說之,故得推遷。推,移也;遷,轉也;言以談笑佞諛轉移帝意也。或曰,推遷,延緩之意。說,讀曰悅。

 

 소부 유몽의 첩이 임신하여 해산달이 되었는데, 페제는 후궁으로 맞아들이고 그가 아들을 낳기를 기다렸다가 그를 세워서 태자로 삼으려고 하였다. 유욱이 일찍이 황제의 뜻을 거슬렸는데, 황제가 그를 발가벗기고 손과 발을 막대기로 꿰어서 사람들로 하여금 메고 태관에게 보내도록 하였다.

 그리고 말하였다.

 少府劉曚妾孕臨月,曚,謨蓬翻。將產之月曰臨月。《考異》曰:《宋書‧帝紀》作「少府劉勝」,《始安王休仁傳》作「廷尉劉曚」。《宋略》及《南史‧帝紀》皆作「少府劉曚」,《休仁傳》作「廷尉劉蒙」;今從其多者。帝迎入後宮,俟其生男,欲立爲太子。彧嘗忤旨,帝裸之,縛其手足,貫之以杖,使人擔付太官。忤,五故翻。裸,郎果翻。擔,都甘翻,荷也。曰:

 

 "오늘 멧돼지를 잡는다!"

 유휴인이 웃으며 말하였다. 

 "돼지는 아직 죽여서는 안 됩니다."

 황제가 그 이유를 물었다. 유휴인이 말하였다.

 "황제의 아들이 태어나기를 기다려서 돼지를 잡고 그 간과 폐를 꺼내야 합니다."

 황제의 분노는 마침내 풀어졌고, 말하였다.

 「今日屠豬!」休仁笑曰:「豬未應死。」帝問其故。休仁曰:「待皇子生,殺豬取其肝肺。」帝怒乃解,曰:

 

 "또한 정위에게 보내라."

 하룻밤 재우고 그를 석방하였다. 시월 18일에 유몽의 첩이 아들을 낳았는데, 이름을 '황자'라고 하고, 그를 위하여 크게 사면하고, 아버지의 뒤를 이을 사람들에게 술 1급을 하사하였다.

 「且付廷尉。」一宿,釋之。丁未,曚妾生子,名曰皇,爲之大赦,爲,于僞翻。賜爲父後者爵一級。

 

 ....................................................................하략............................................................

 帝又以太祖、世祖在兄弟數皆第三,太祖,高祖第三子;世祖,太祖第三子。江州刺史晉安王子勛亦第三,子勛,世祖第三子。故惡之,惡,烏路翻。因何邁之謀,使左右朱景雲送藥賜子勛死。景雲至湓口,停不進。子勛典籤謝道邁、主帥潘欣之、侍書褚靈嗣聞之,諸王有侍讀,掌授王《經》;有侍書,掌敎王書。帥,所類翻。馳以告長史鄧琬,泣涕請計。《考異》曰:《子勛傳》云:「景雲遣信使告琬。」《宋略》曰:「帝使道遇賷敕至潯陽,琬謂道遇」云云。今從《琬傳》。琬曰:「身南土寒士,鄧琬,南昌人,起於寒素。蒙先帝殊恩,以愛子見託,豈得惜門戶百口,期當以死報效。幼主昏暴,社稷危殆,雖曰天子,事猶獨夫。猶,若也,似也。今便指帥文武,直造京邑,帥,讀曰率。造,七到翻。與羣公卿士,廢昏立明耳。」戊申,琬稱子勛敎,令所部戒嚴。子勛戎服出聽事,集僚佐,使潘欣之口宣旨諭之。四座未對,錄事參軍陶亮首請效死前驅,衆皆奉旨。乃以亮爲諮議參軍,領中兵,總統軍事;功曹張沈爲諮議參軍,統作舟艦;沈,持林翻。艦,戶黯翻。南陽太守沈懷寶、岷山太守薛常寶、岷山,卽漢武帝所開汶山郡也,宣帝地節三年,併入蜀郡,劉蜀復立。沈懷寶、薛常寶先常爲郡守,因各以其官稱之。守,手又翻。彭澤令陳紹宗等並爲將帥。將,卽亮翻。帥,所類翻。初,帝使荊州錄送前軍長史、荊州行事張悅至湓口,琬稱子勛命,釋其桎梏,桎,職日翻。梏,工沃翻。迎以所乘車,以爲司馬。悅,暢之弟也。張暢見一百二十五卷、六卷文帝元嘉二十六年、七年。琬、悅二人共掌內外衆事,遣將軍俞伯奇帥五百人斷大雷,帥,讀曰率。斷,丁管翻。禁絕商旅及公私使命。遣使上諸郡民丁,遣使詣江州部內諸郡,籍民丁上之以爲兵。使,疏吏翻、上,時掌翻。收斂器械;旬日之內,得甲士五千人,出頓大雷,於兩岸築壘。又以巴東、建平二郡太守孫沖之爲諮議參軍,領中兵,與陶亮並統前軍。移檄遠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