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흉노의 세력 확장

solpee 2019. 9. 28. 03:05

 

《秦紀1 始皇帝 3 (丁巳, 前244

 

 

 3. 조왕이 이목을 장수로 삼아서 연을 치고 무수와 방성을 빼앗았다. 이목은 조의 북방에 있는 훌륭한 장수인데, 일찍이 대와 안문에 살며 흉노를 방비하면서 편하고 마땅한 대로 관리를 두고 시장의 조세는 모두 군대의 막부에 넣고서 사졸들을 위하여 소비하였는데,  매일 몇 마리의 소를 잡아서 군사들에게 먹이고, 말타기와 활쏘기를 익히고 봉화를 부지런히 올리고 간첩을 많이 보내면서 약속하여 말하였다.

 3.趙王以李牧爲將,伐燕,取武遂、方城。班《志》,武遂縣屬河間國。方城縣屬廣陽國;《後漢志》作「方城」。《括地志》︰易州遂城縣,戰國時武遂城也。方城故城,在幽州固安縣南十七里。將,卽亮翻。燕,因肩翻。李牧者,趙之北邊良將也,嘗居代、鴈門備匈奴,秦置鴈門郡,在代郡西南。匈奴,淳維之後,本夏后氏之苗裔。《索隱》曰︰張晏云︰淳維以殷時奔北邊。又樂彥《括地譜》曰︰夏桀無道,湯放之鳴條,三年而死。其子獯粥妻桀之衆妾,避居北野,隨畜移徙,中國謂之匈奴。其言夏后苗裔,或當然也。故應劭《風俗通》曰︰殷時曰獯粥,改曰匈奴。又晉灼云︰堯時曰葷粥,周曰獫狁,秦曰匈奴。韋昭曰︰漢曰匈奴,葷粥其別名,則淳維是其始祖,蓋與獯粥是一也。獯,許云翻。粥,音育。獫,虛檢翻。以便宜置吏,市租皆輸入莫府,爲士卒費,康曰︰師出無常處,所在張幕居之,以將帥得稱府,故曰莫府。莫,與幕同。一曰,莫,大也。莫府,猶言大府。日擊數牛饗士;習騎射,孔穎達曰︰古人不騎馬,故但經記正典無言騎者。今言騎者,當是周末時。射之所起,起自黃帝,故《易‧繫辭》黃帝下九事章云︰古者弦木爲弧,剡木爲矢,弧矢之利以威天下。又《世本》云︰揮作弓,夷牟作矢。《註》云︰揮、夷牟,黃帝臣。是弓矢起於黃帝矣。騎,奇寄翻;下同。剡,以冉翻。謹烽火,多間諜,塞上置候望之地,邊有警則舉烽。《漢書音義》︰烽,如覆米䉛,縣著桔槔頭,有寇則舉之。燧,積薪,有寇則燔然之。《索隱》曰︰《字林》,䉛,漉米藪也,音一六翻。《纂要》︰䉛,淅箕也。烽見敵則舉,燧有難則焚。烽主晝,燧主夜。間諜者,使之間行以伺敵,觀其變動也。間,古莧翻。諜,達協翻。著,直略翻。桔,吉屑翻。槔,音皋。漉,音鹿。淅,音析。難,乃旦翻。伺,相吏翻。爲約曰︰

 

 "흉노가 와서 도둑질하니, 급박하게 되면 성으로 축산물을 거두어들여다가 보존하라. 감히 포로로 잡은 사람이 있다면 참수하겠다."

 흉노들이 매번 들어오면 봉화를 부지런히 올려서 번번이 거두어들이고 싸우지 않았다. 이와 같이 하여 몇 년을 지나도 또한 잃어버린 것이 없었다. 흉노는 모두 겁쟁이라고 생각하고, 비록 조의 변방에 있는 군사라 할지라도 역시 우리의 장수는 겁쟁이라고 생각하였다. 조왕이 그를 나무랐으나, 이목은 여전하였다. 왕은 노하여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그를 대신하게 하였다.

「匈奴卽入盜,急入收保。收畜產而自保也。有敢捕虜者斬!」匈奴每入,烽火謹,輒入收保不戰。如是數歲,亦不亡失。匈奴皆以爲怯,雖趙邊兵亦以爲吾將怯。將,卽亮翻。趙王讓之,讓,責也。李牧如故。王怒,使他人代之。

 

 1년여 동안에 여러 차례 나가서 싸웠으나 승리한 것이 없었고 잃고 없어진 것은 많았으며, 변방에서 농사와 목축을 할 수 없었다. 왕은 다시 이목을 초청하였는데 이목은 문을 닫고 병들었다고 하면서 나오지 않았다. 왕이 그를 억지로 일어나게 하니 이목이 말하였다.

 "반드시 신을 쓰고자 하신다면 전처럼 하게 해주신다면 마침내 감히 명령을 받들겠습니다."

 왕이 허락하였다.

 歲餘,屢出戰,不利,多失亡,邊不得田畜。《說文》︰畜,許竹翻,養也。《史記正義》︰許又翻,又音蓄,聚也。王復請李牧,復,扶又翻。李牧杜門稱病不出。王強起之,杜門,塞門以拒絕來者。強,其兩翻。李牧曰︰「必欲用臣,【章︰十二行本作「王必用臣」四字;乙十一行本同;孔本同;退齋校同。】如前,乃敢奉令。」王許之。

 

 이목이 변방에 이르자 약속대로 하였다. 흉노들은 몇 년이 되어도 얻는 것이 없게 되자 끝내 겁먹은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변방의 사졸들은 매일 상을 받으면서도 쓰이지 않자 모두들 한 번 싸우기를 원하였다.

 李牧至邊,如約。匈奴數歲無所得,終以爲怯。邊士日得賞賜而不用,言屢賞而不用之以戰也。皆願一戰。

 

 이에 마침내 전차 1천3백 승을 골라서 갖추고, 기마를 골라서 3천 필을 만들고, 백금의 상을 받을 만한 군사 5만 명과 활 잘쏘는 사람 10만 명에게 모두 전투를 익히고는 기르는 가축을 크게 늘어놓고 인민들은 들에 널려 있게 하였다.

 於是乃具選車得千三百乘,選騎得萬三千匹,車、騎皆選其堅良者。乘,繩證翻。騎,奇寄翻。百金之士五萬人,《管子》曰︰能禽敵殺將者賞百金。將,卽亮翻。彀者十萬人。彀,古候翻,張弓也。《索隱》曰︰彀,謂能射者也。悉勒習戰;大縱畜牧、人民滿野。

 

 흉노의 작은 부대가 들어오자 거짓으로 패배하여 이기지 않고 수십 명을 그들에게 버렸다. 선우가 이 소식을 듣고 크게 많은 무리를 인솔하여 와서 들어왔다. 이목은 많은 기이한 진을 쳐서 좌우 날개를 벌려서 이들을 공격하여 대파하고 흉노 10여만 기를 죽였다. 첨람을 없애고 임호를 항복시켰다. 선우는 급히 도망하여 10여 년 동안 감히 조의 변경에 가까이 하지 못하였다.

 匈奴小入,佯北不勝,以數十人委之。委,弃也,委之於敵也。佯,音羊。單于聞之,單于,匈奴首領之稱。班《書》曰︰單于者,廣大之貌,言其象天單于然也。單,音蟬。稱,尺證翻。大率衆來入。李牧多爲奇陳,陳,讀曰陣。張左、右翼擊之,大破之,殺匈奴十餘萬騎。滅襜襤,如淳曰︰襜襤,胡名,在代地。班《書》作「澹林」。襜,都甘翻。襤,路談翻;《類篇》︰盧甘翻。破東胡,東胡,其後爲鮮卑、烏丸。服虔曰︰在匈奴東,故曰東胡。降林胡。如淳以澹林爲東胡,以此觀之,似是兩種。降,戶江翻。單于奔走,十餘歲不敢近趙邊。近,其靳翻。

 

 이보다 먼저 천하에는 모자를 쓰고 허리띠를 두른 나라가 일곱(전국칠웅)이 있었으며, 그 중에서 세 나라가 융적과 국경을 맞대고 있었는데, 진은 농서에서부터 면제·곤융·적·원의 융적이 있었고, 기산·양산·경수·칠수의 북쪽에는 의거·대려·오지·구연의 융족이 있었으며, 조의 북쪽에는 임호·누번의 융족이 있었고, 연의 북쪽에는 동호·산융이이 있었는데, 각기 분산하여 계곡에 살면서 스스로 군장을 갖고 있었으나, 왕왕 모여드는 자들은 백여 개의 융족이 있지만, 그러나 하나로 통일될 수는 없었다.

 先是,天下冠帶之國七,而三國邊於戎狄︰先,悉薦翻。秦自隴以西有緜諸、緄戎、翟、豲之戎,班《志》,緜諸道屬天水郡。西漢之制,縣有蠻夷曰道。《括地志》︰緜諸城在秦州秦嶺縣北五十六里。唐貞觀十七年,省秦嶺入清水縣。韋昭曰︰緄戎,春秋以爲犬戎。師古曰︰混云夷也。《史記正義》曰︰緄,音昆,字當作「混」。余謂昆戎卽周之昆夷。翟,與狄同。班《志》,隴西郡有狄道。師古曰︰其地有狄種,故曰狄道。天水郡有豲道。應劭曰︰豲,戎邑也。狄道,晉置武始郡。《括地志》︰豲道故城,在渭州襄武縣東南三十七里。豲,戶官翻。岐、梁、涇、漆之北有義渠、大荔、烏氏、朐衍之戎;班《志》,岐山在扶風美陽縣西北,梁山在馮翊夏陽縣西北。師古曰︰此漆水在新平。《後漢志》,扶風漆縣有漆水。晉分扶風置新平郡,治漆縣。班《志》,義渠道屬北地郡。《括地志》︰唐寧、慶二州地。又班《志》,馮翊臨晉縣,古大荔城。《括地志》︰同州馮翊縣及朝邑縣本漢臨晉地。今朝邑縣東三十步故王城,卽大荔王城也。宋白曰︰同州馮翊縣古大荔城,在今州東三十七里朝邑縣界,故王城是也。荔,力計翻。班《志》,安定郡有烏氏縣。《括地志》︰烏氏故城,在涇州安定縣東三十里,周之故地,後入戎;秦惠王取之,置烏氏縣。氏,音支。班《志》,北地郡有有朐衍縣。《括地志》︰鹽州,古戎狄居之,卽朐衍戎之地。應劭曰︰朐,音煦。師古音香于翻,康求于翻,非。而趙北有林胡、樓煩之戎;燕北有東胡、山戎;自漢北平、無終、白狼以北,皆大山重谷,諸戎居之,春秋謂之山戎。各分散居谿谷,自有君長,往往而聚者百有餘戎,然莫能相一。

 

 그 후 의거의 융족들은 성곽을 쌓고 스스로 지켰는데, 진이 조금씩 이를 잠식하여 혜왕 시절에 이르러 드디어 의거의 25개 성을 점령했다. 소왕 시절에는 선태후가 의거왕을  유혹하여 감천에서 그를 죽이고, 끝내는 군사를 내어서 의거를 쳐서 멸망시키고 농서와 북지, 상군에서 시작하여 장성을 쌓고 호족을 막았다.

 其後義渠築城郭以自守,而秦稍蠶食之,至惠王遂拔義渠二十五城。昭王之時,宣太后誘義渠王,殺諸甘泉,甘泉在漢馮翊雲陽縣,漢起甘泉宮於此。誘,羊久翻。遂發兵伐義渠,滅之,始於隴西、北地、上郡隴西,唐渭州、洮州、河州之地。北地,唐慶州、寧州、鄜州、靈州、鹽州之地。上郡,唐延州、綏州、銀州之地。築長城以拒胡。

 

 조의 무령왕이 북으로 임호, 누번을 격파하고 장성을 쌓아 대에서부터 음산을 나란히 하여 내려가서 고궐에 이르러 요새를 만들었다. 그리고 운중, 안문, 대군을 설치하였다.

 趙武靈王北破林胡、樓煩,築長城,自代並陰山下,至高闕爲塞。徐廣曰︰五原郡西安陽縣北有陰山,陰山在河南,陽山在河北。酈道元曰︰余按南河、北河及安陽縣以南,悉沙阜耳,無他異山。故《廣志》云︰朔方郡移沙七所而無山以擬之,是議志之僻也。陰山在河東南斯可矣。漢郎中侯應曰︰陰山東西千餘里,單于之苑囿也。孝武出師攘之於漠北,匈奴過之,未嘗不哭。則此山蓋在沙漠之南也。《括地志》︰陰山在朔州北塞外突厥界。杜佑曰︰今安北府北山是也。安北府治中受降城。《地志》︰朔方郡臨戎縣北有連山,險於長城,其山中斷,兩峯俱峻,名曰高闕。《水經註》︰河水自窳渾縣東屈而東流,逕高闕南,闕口有城跨山結局,謂之高闕戍。劉昫曰︰高闕北拒大磧口三百里。杜佑曰︰高闕當在豐州河西。厥,九勿翻。降,戶江翻。窳,以主翻。渾,戶昆翻。磧,七迹翻。而置雲中、鴈門、代郡。《史記正義》曰︰雲中故城,趙雲中城,秦雲中郡,在勝州榆林縣東北四十里。秦、漢之鴈門、代郡皆在句注陘之北,唐之雲、朔、蔚、新、武州卽其地也。若唐之代州鴈門郡惟崞、繁畤二縣,漢鴈門郡之舊縣,其鴈門縣則漢太原郡之廣武縣也,五臺則漢太原之慮虒縣也。句,音鉤。陘,音刑。蔚,紆勿翻。崞,音郭。畤,音止。師古曰︰慮虒,音廬夷。

 

 그 후에 연의 장수 진개가 호족에게 인질이 되었고, 호족들은 그를 아주 깊이 믿었는데, 돌아와서 동호를 습격하여 격파하니, 동호는 천여 리를 물러났다. 연도 또한 장성을 쌓았는데, 조양에서 시작하여 양평에 이르는 사이에 상곡, 어양, 우북평, 요동군을 설치하여 호족을 막았다.

 전국시대 말기에 이르자 흉노가 비로소 커졌다.

 其後燕將秦開爲質於胡,《姓譜》︰秦本顓頊後,子嬰旣滅,支庶爲秦氏,余按《左傳》魯有秦堇父,秦姓其來尚矣。燕,因肩翻。將,卽亮翻。質,音致。父,音甫。堇,几隱翻。胡甚信之;歸而襲破東胡,東胡卻千餘里。燕亦築長城,自造陽至襄平,韋昭曰︰造陽,地名,在上谷。余按《漢書》所謂「上谷之斗造陽」是也。杜佑曰︰《晉太康地志》︰自北地郡北行九百里,得五原塞;又北出九百里得造陽,卽麟州銀城縣。《史記》︰燕築長城,自造陽至襄平。韋昭曰︰造陽地在上谷。未詳孰是。《史記正義》曰︰上谷,今嬀州。王隱《地道志》曰︰郡在谷之頭,故以上谷名焉。班《志》,襄平縣,遼東郡治所。燕,因肩翻。嬀,居爲翻。置上谷、漁陽、右北平、遼東郡以拒胡。漁陽,唐薊州、檀州。北平,唐平州。遼東,其地在大遼水之東,唐嘗置遼州,又嘗爲安東都護府治所。及戰國之末而匈奴始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