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管仲의 九惠之敎와 經濟學

solpee 2016. 2. 13. 06:30

管仲의 九惠之敎와 經濟學

 

春秋 五覇 주의 으뜸인 齊 桓公(BC685~BC643 )은 襄公(BC?―BC686)의 아우이니 이름은 小白이고 諡號는 桓이다. 父王 釐公이 卒하자 襄公이 즉위하였는데, 그는 포악무도하여 여러 동생들이 이웃 나라로 망명하였다.

 큰 아우 糾는 魯로 망명, 管仲(BC725?~ BC645)과 召忽이 따랐고, 둘째 小白은 莒(거)로 망명, 鮑叔牙가 모셨다. 小白의 어머니는 衛女로 선왕 리공의 총애를 받았으며 소백은 어려서부터 대부 高偰(고설)을 좋아했다.

 襄公이 無知에게 弑害 당하고, 무지가 또 雍林 사람에게 살해되니 魯가 發兵하여 공자 糾를 입국시키면서, 관중을 시켜 莒道를 막게 했다. 관중이 활을 쏘아 소백의 혁대를 맞추었으나 소백은 거짓으로 죽은 체 하고 수레에 실려 제로 먼저 입국하여 왕이 되니 이가 곧 桓公이다.

 

 桓公은 곧 병사를 출동시켜 魯를 쳐서 이기니 형 糾는 자살하고 召忽과 管仲은 생포되어 처형될 위기에 처하였다. 이 때 포숙아는 소백에게 " 신이 다행하게도 왕을 따라 섬겼고 왕은 마침내 즉위하였습니다. 왕께서 장차 제를 다스리는 데는 저와 고설만으로도 충분합니다만 覇王이 되고자 하신다면 관중이 아니면 불가합니다. 관중은 훌륭한 인재이니 죽여버린다면 제는 이 보다 더 큰 손실이 없겠습니다."라고 하였다.

 

桓公은 鮑叔牙의 청을 받아들여 管仲을 赦免하고 大夫로 삼았다. 이에 관중은 환공을 도와 九惠之敎와 富國强兵策으로 桓公을 春秋五覇의 으뜸으로 올려 놓았다.

 

☞.倉廩實則知禮節, 衣食足則知榮辱-牧民

 

창고가 가득 차면 예절을 알고, 의식이 충족되면 영욕을 안다.

 

孔子(BC 551~BC 479)는 論語 子路편에서

子適衛、冉有僕、子曰、"庶矣哉"、冉有曰、"既庶矣、又何加焉"、曰、"富之"、曰、"既富矣、又何加焉"、曰、"教之"

 

공자가 염유에게 말했다.

"백성들이 많기도 하구나?" "이미 많으면 무엇을 더해야 합니까?" "부유하게 해야한다." "이미 부유해졌으면 무엇을 더해야 합니까?" "가르쳐야 한다".

 

다시 공자가 논어 顔淵편에서

 

子貢問政、子曰、足食足兵、民信之矣、子貢曰、必不得已而去、於斯三者、何先、曰去兵、曰必不得已而去、於斯二者、何先、曰去食、自古皆有死、民無信不立、

자공이 정치에 대해 물으니 공자가 말한다. "식량을 충족시키는 것, 군비를 충분히 하는 것, 백성을 믿는 것이다." 자공이 물었다. "부득이하여 반드시 버려야 한다면 무엇을 먼저 버려야 합니까?" 공자가 말했다. "군비를 줄여야 한다". 자공이 물었다. "다음엔 무엇을 버려야 합니까?" 공자가 말했다. "식량을 버려야 한다. 예로부터 누구나 죽지만 백성이 믿어주지 않으면 나라가 존립할 수 없다."

 

※. 孔子는 管仲이 歿한 뒤 94년 후에 魯나라 曲府에서 태어났다.

 

 

 

 

☞.管子 乘馬에서

 

《管子》曰:"市者,貨之準也。是故百貨賤則百利得,百利得則百事治,百事治則百事用節矣。 是故事者生于慮, 成于務, 失于傲. 不慮則不生, 不務則不成, 不傲則不失. 故曰, 巿者可以知治亂, 可以知多寡, 而不能爲多寡, 爲之有道."

"시장은 재화유통의 중심지이다. 모든 재화가 저렴하면 부당 이득이 발생하지 않으며 부당 이득이 생기지 않으면 모든 일이 잘 풀린다. 모든 일이 잘 풀리면 물자 사용이 절도 있게 된다. 시장이란 사려에서 생산되고 노력으로 성사되며 오만으로 실패한다. 그러므로 시장은 治亂을 점칠 수 있는 곳이고 물자의 다소를 알 수 있는 곳이지만 다소의 물자를 생산하는 곳은 아니다.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법이 필요하다."


☞.立政篇에서

 

"黃金者用之量也, 辨于黃金之理則知侈儉, 知侈儉則百用節矣."

"황금은 모든 국가 재정의 척도이다. 황금의 원리를 잘 알아야 비로소 재정의 사치와 검약을 가려 집행할 수 있다." 

 

☞.五輔篇에서

 

"貧富無道則失"

"빈부에 도가 없으면 실패한다."

 

☞.山權數에서

 

"萬乘之國, 不可以無萬金之畜飾, 千乘之國, 不可以無千金之畜飾, 百乘之國, 不可以無百金之畜飾, 以此與令進退, 此之謂乘時."

"만승의 나라는 만금을 축척해야 하고 천승의 나라는 천금을 축척해야 하며 백승의 나라는 백금을 축척해야 합니다. 이러한 재화를 써서 政令의 진퇴와 완급을 함께 하면서 때 맞춰 시장을 조절해야 합니다."

 

☞.山至數에서

 

"君失大夫爲無伍, 失民爲失下, 故守大夫以縣之策, 守一縣以一鄕之策, 守一鄕以一家之策, 守家以一人之策, ...人君操谷幣, 金衡, 而天下可定也, 此守天下之數也."

"대부(경제)의 통제를 잃으면 대오가 없는 것과 같습니다. 서민경제의 통제를 잃으면 기반을 잃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대부경제를 통제하려면 현의 재정을 조사하여 통게화하고 한 현의 경제를 통제하려면 한 향의 재정을 조사하여 통게화해야 하며, 한 향의 경제를 통제하려면 일가의 재정을 조사하여 통계화해야 합니다.... 임금께서 양식.화폐.황금을 저울질하는 권력을 통제하여야 천하를 안정시킬 수 있습니다."

 

☞.揆度篇에서

 

"善爲國者, 如金石之相擧, 重鈞則金傾. 故治權則勢重, ... 故物重則至, 輕則去, 有以重至而輕處者, 我動而錯之, 天下卽已于我矣. 物藏則重, 發則輕, 散則多, 弊重則民死利, 弊輕則決而不用, 故輕重調于數而止."

국가를 잘 다스리는 군주는 황금과 저울추가 저울 끝에서 서로 드는 것과 같아 저울추를 무겁게 하면 황금이 기울어집니다. 그러므로 재정 관리를 때에 맞게 하는 정책으로 다스리면 나라가 강해집니다.... 물가가 높으면 물자가 쌓이고, 물가가 낮으면 물자가 분산됩니다.가격이 높을 때 가격이 낮은 물자를 사다 모으면 재물이 쌓이게 됩니다. 물자를 비축하면 가격이 다시 오르고 방출하면 내리며, 서민들의 곳간으로 쌓여 서민들이 풍족해집니다. 화폐 가격이 높아지면 서민들이 죽기로 이익을 탐하며 화폐가격이 낮아지면 버려두고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군주는 화폐의 유통을 정책적으로 잘 조정해야 합니다."

 

☞.入國第五十四 雜篇五

入國四旬, 五行九惠之敎. 一曰老老, 二曰慈幼, 三曰恤孤, 四曰養疾, 五曰合獨, 六曰問疾, 七曰通窮, 八曰振困, 九曰接絶.

관중이 제나라에 와 40일 째 되는 날까지 9가지 시혜정책을 다섯번 시행하였다. "1. 노인을 모시는 일, 2. 어린이를 사랑하는 일, 3. 고아를 구휼하는 일, 4.장애인을 돌보는 일, 5. 싱글들을 결혼시키는 일, 6.병자를 돌보는 일, 7.곤궁한 사람들을 살피는 일, 8. 아래사람들을 살피는 일, 9. 유공자들에 대한 보훈이다."
所謂老老者, 凡國、都皆有掌老, 年七十已上, 一子無征, 三月有饋肉; 八十已上, 二子
無征, 月有饋肉; 九十已上, 盡家無征, 日有酒肉; 死, 上共棺槨. 勸子弟, 精膳食, 問所
欲, 求所嗜. 此之謂老老.
所謂慈幼者, 凡國、都皆有掌幼, 士民有子, 子有幼弱不勝養爲累者, 有三幼者無婦征,
四幼者盡家無征, 五幼又予之葆, 受二人之食, 能事而后止. 此之謂慈幼.
所謂恤孤者, 凡國、都皆有掌孤, 士人死, 子孤幼, 無父母所養, 不能自生者, 屬之其鄕
黨、知識、故人. 養一孤者一子無征, 養二孤者二子無征, 養三孤者盡家無征. 掌孤數行問
之, 必知其食飮飢寒身之膌勝而哀憐之. 此之謂恤孤.
所謂養疾者, 凡國、都皆有掌養疾, 聾、盲、喑啞、跛躄、偏枯、握遞, 不耐自生者, 上
收而養之疾官, 而衣食之, 殊身而后止. 此之謂養疾.
所謂合獨者, 凡國、都皆有掌媒, 丈夫無妻曰鰥, 婦人無夫曰寡, 取鰥寡而合和之, 予田
宅而家室之, 三年然后事之, 此之謂合獨.
所謂問疾者, 凡國、都皆有掌病, 士人有病者, 掌病以上令問之, 九十以上, 日一問; 八
十以上, 二日一問; 七十以上, 三日一問; 衆庶, 五日一問. 疾甚者, 以告上, 身問之. 掌病
行于國中, 以問病爲事. 此之謂問病.
所謂通窮者, 凡國、都皆有通窮, 若有窮夫婦無居處, 窮賓客絶糧食, 居其鄕黨以聞者有
賞, 不以聞者有罰. 此之謂通窮.
所謂振困者, 歲凶, 庸人訾厲, 多死喪; 弛刑罰, 赦有罪, 散倉粟以食之. 此之謂振困.
所謂接絶者, 士民死上事, 死戰事, 使其知識、故人受資于上而祠之. 此之謂接絶也.


☞.輕重篇에서

 

"萬物通則萬物運, 萬物運則萬物賤."

만물이 통하여 유통되고 유통되면 즉 값은 떨어집니다."

 

"故栗重黃金輕, 黃金重而栗輕, 兩者不衡立."

"곡물 값이 오르면 황금 값이 떨어지고 황금이 오르면 곡물이 떨어지집니다. 양자가 비례하지는 않습니다."

 

"先王善制其通貨以御其司命, 故民力可盡也."

선왕들은 화폐의 유통을 적절히 제어하여 서민들의 곡물을 통제하였습니다. 이로써 백성들은 힘을 다할 수 있었습니다."

 

☞.山至數에서

 

" 故線爲天下者, 謹守重流, 而天不吾洩矣."

천하를 이롭게 하는 것은 자국의 중요한 것을 엄히 지켜 외국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는 경중으로 천하의 도를 방어하는 것입니다."

 

☞.侈靡編에서

 

"飮食者也, 侈樂者也, 民之所願也. 足其所欲, 贍其所願, 則能用之耳,  今使衣皮而冠角食野草, 飮野水 孰能用之.  傷心者不可以致功. 故嘗至味 而罷至樂, 而雕卵然後渝之,  雕撩然後爨之. 丹沙之穴不塞 則商買不處. 富者靡之, 貧者爲之, 此百姓之怠生百振而食非, 獨自爲也. 爲之畜化"

""음식이라고 하는 것과 화려한 음악이라고 하는 것은, 백성들이 원하는 바입니다. 그들이 하고자 하는 것을 만족시켜 주고 그들이 원하는 것을 넉넉히 해주면,그들을 능히 부릴 수가 있는 것입니다.

지금 가죽옷을 입고 소뿔로 만든 관을 쓰고 야생풀로 주린 배를 채우며, 들판의 물을 마시게 한다면 누구를 부릴 수가 있겠습니까?
마음이 상한 사람은 힘들여 공을 세우려 들지 않습니다. 고로 맛있는 음식을 먹고, 지극한 즐거움을 누리고, 알의 껍질은 조각을 한 연후에 속은 삶아 먹고,
땔감에도 조각하여 치장을 하고 부엌에 불을 때게 합니다.
丹沙가 나오는 굴을 막지 않으면 상인들이 그치지를 않습니다.
부유한 사람이 충분히 소비를 하게 되면, 가난한 사람들은 일자리를 얻게 됩니다. 이것이 백성들의 편안한 삶이고 온갖 생업을 진작시켜서 먹고 살게 하니,이것은 백성들 홀로 스스로 노력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군주가 나서서 도와 주어야 하는 것입니다"라 했다."


※.
侈靡:  [chǐmí] 분수에 넘치는 사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