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6년 1월 15일 오후 03:22

solpee 2016. 1. 15. 15:31

疾風知勁草

前漢 말기, 王莽이 한나라를 무너뜨리고 新나라를 세웠다. 그런데 왕망의 악정이 갈수록 심해지자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그 중에는 漢나라 일족인 劉秀라는 사람도 있었다. 유수의 부대가 潁陽에 이르렀을 때, 그 지방에 살고 있던 王覇라는 사람이 그와 합류하였다. 결국 40여 만의 왕망 군사와 1만 여의 유수 군사가 昆陽에서 격돌하였는데 예상을 깨고 유수가 대승하였다. 드디어 유수는 更始帝를 옹립하여 한나라를 복구하였다. 하지만 얼마 후, 황제의 견제로 신변의 위협을 느낀 유수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河北지방 평정을 자청하였다. 물론 이 때 왕패도 그를 따라 종군하였다. 그러나 이 원정은 고난의 연속이었고, 고난을 이기지 못해 이탈하는 병사들이 속출했다.

영천에서 나를 따르던 사람들은 모두 자취를 감추었구나. 오직 그대만이 남아서 힘쓰고 있으니 '세찬 바람이 불어야 억센 풀을 알아볼 수 있구려疾風知勁草.

얼마 뒤 유수가 山東의 호족 王郞軍에게 사로잡힐 위기에 처하였을 때, 왕패는 죽음을 무릅쓰고 그를 구출해내었다.

훗날 유수는 후한의 황제가 되어서도 왕패를 더 한층 신임하였으며, 上谷의 태수에 임명하였다.

 

<論語>"엄동설한이 되어야 소나무와 잣나무의 절개를 알 수 있다歲寒然後 知松柏之後凋也"는 말이 있다.

 

疾风知劲草[jí fēng zhī jìng cǎo] 


疾风知劲草,谓在猛烈的大风中,可看出什么样的草是强劲的。比喻节操坚定,经得起考验。出自《东观汉记·王霸传》:“上谓霸曰:‘颍川从我者皆逝,而子独留,始验疾风知劲草。’”《旧唐书·萧瑀传》:“﹝太宗﹞赐瑀诗曰:‘疾风知劲草,板荡识诚臣。’”

 

【解释】:疾:迅速,猛烈;劲:有力量,坚韧。
比喻:对症下药
在猛烈的大风中,只有坚韧的草才不会被吹倒。比喻只有经过严峻的考验,才知道谁真正坚强。也作疾风知劲草。
出处:《东观汉记·王霸传》:“颍川从我者皆逝,而子独留,始验疾风知劲草。”
示例被坚执锐,或有其人,~,岁寒方验。(《周书·裴宽传》)
【出自】《旧唐书·萧瑀传》:板荡识诚臣(板,字亦作版),“疾风知劲草(劲音颈),板荡识诚臣”,出自李世民赐萧瑀诗。[1] 
《旧唐书·萧瑀传》:太宗尝从容谓房玄龄曰:“萧瑀大业之日,进谏隋主,出为河池郡守。应遭剖心之祸,翻见太平之日,北叟失马,事亦难常。”瑀顿首拜谢。太宗又曰:“武德六年以后,太上皇有废立之心而不之定也,我当此日,不为兄弟所容,实有功高不赏之惧。此人不可以厚利诱之,不可以刑戮惧之,真社稷臣也。”因赐瑀诗曰:“疾风知劲草,板荡识诚臣。”又谓瑀曰:“卿之守道耿介,古人无以过也。然而善恶太明,亦有时而失。”瑀再拜谢曰:“臣特蒙诫训,又许臣以忠谅,虽死之日,犹生之年也。”魏征进而言曰:“臣有逆众以执法,明主恕之以忠;臣有孤特以执节,明主恕之以劲。昔闻其言,今覩其实,萧瑀不遇明圣,必及于难!”太宗悦其言。

 

【注释】

1.太宗,唐太宗李世民李渊之次子。“祖有德,宗有功”,因以为号。
2.房玄龄,秦王李世民十八学士之一。
3.大业,隋炀帝杨广之年号:公元六零五年至公元六一八年。
4.河池郡郡治,今陕西省凤县凤州镇
5.剖心之祸,殷纣暴虐,杀王子比干,刳视其心。《史记·殷本纪》:“比干见微子去,箕子狂,乃叹曰:‘主过不谏,非忠也。畏死不言,非勇也。过则谏,不用则死,忠之至也。’进谏不去者三日。纣问:‘何以自持?’比干曰:‘修善行仁,以义自持。’纣怒,曰:‘吾闻圣人心有七窍,信诸?’遂杀比干,刳视其心也。”今河南省淇县殷虚朝歌),有多处纣都遗迹。
7.太上皇,李渊,李世民之父,年号武德。
8.不为兄弟所容,在十八学士拥戴之下,发动玄武门之变,李渊长子李建成、第四子李元吉,被杀。
9.版荡,字亦作板荡,《诗·大雅·板》和《诗·大雅·荡》之篇名。
10.善恶太明,所谓“水至清则无鱼人至察则无徒”。
11.忠谅。《尔雅》:谅,信也。《左传·鲁僖公九年》:公曰:何谓忠贞?对曰:公家之利,知无不为,忠也;送往事居耦俱无猜,贞也。晋杜预注云:往,死者。居,生者。耦,两也。
12.逆众以执法。逆,违也。执,持也、守也。法,则也。
13.孤特以执节。《周易》:君子以独立不惧,遁世无闷。《礼记·儒行》:儒有委之以货财,淹之以乐好,见利不亏其义。劫之以众,沮之以兵,见死不更其守。鷙虫攫搏,不程勇者,引重鼎,不程其力。往者不悔,来者不豫。过言不再,流言不极。不断其威,不习其谋,其特立有如此者。《说文》:节,竹节也,又操也,《左传.成十五年》:前志有之曰:圣达节,次守节,下失节。
14.明主恕之以劲。劲音颈,《说文》:强也。《广韵》:健也。《增韵》:坚也,遒也。《左传·宣十二年》:中权后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