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王羲之 得鵝圖

solpee 2015. 12. 8. 10:20

 

王羲之 得鵝圖

 

 

☞.왕우군(王右軍) - 李 白  

 

右軍本淸眞 (우군본청진)우군은 본래 청진하여

瀟洒在風塵 (소쇄재풍진)말쑥하여 세속을 벗어났네. 

山陰遇羽客 (산음우우객)산음에서 거위도사를 만나고,

要此好鵝賓 (요차호아빈)그가 기르는 거위에 홀딱 빠졌다.

 

掃素寫道經 (소소사도경)흰비단 펼치고 도덕경을 썼는데,

筆精妙入神(필정묘입신)그 글씨 정묘하여 입신의 경지네.

書罷籠鵝去(서파롱아거)글쓰기를 마치고 거위와 바꿔 갔지만,

何曾別主人 (하증별주인)주인과 작별한 것은 아니었다.

 

右军本清真——王羲之本来纯洁质朴
潇洒出风尘——洒脱无拘束,超脱污浊、纷扰的仕宦生活
山阴过羽客——在浙江绍兴与修行的道士不期而会
爱此好鹅宾——那山阴道士非常喜好王羲之的人品与书法
扫素写道经——(王羲之)在白绢上飞快地书写道家的《黄庭经》
笔精妙入神——精湛的书法艺术达到神妙的境界
书罢笼鹅去——(王羲之)写完把鹅装进笼里就离开
何曾别主人——(潇洒地)不与羽客山阴道士告辞

这首诗主要称赞王羲之书法的神妙自然和为人的潇洒率真。典故:王羲之认为养鹅不仅可以陶冶情操,还能从鹅的某些体态姿势上领悟到书法执笔,运笔的道理。有一天清早,王羲之和儿子王献之乘一叶扁舟游历绍兴山水风光,船到县禳村附近,只见岸边有一群白鹅,摇摇摆摆的模样,磨磨蹭蹭的形态。王羲之看得出神,不觉对这群白鹅动了爱慕之情,便想把它买回家去。王羲之询问附近的道士,希望道士能把这群鹅卖给他。道士说:「倘若右军大人想要,就请代我书写一部道家养生修炼的《黄庭经》吧!」王羲之求鹅心切,欣然答应了道士提出的条件。这就是「王羲之书换白鹅」的故事

 

 

 

吾園張承業筆雜畵圖 10幅

 

제1폭 : 「 仙子倒騎歸閬苑 聖君馴翔在靈囿 (선자도기귀랑원 성군순상재영유)」 '신선(張果老)은 거꾸로 말타고(倒騎) 낭원(신선의 정원)으로 돌아가고 성군(周文王)이 길들인 새는 영유(문왕이 만든 동산)에 있네. '

 

제2 폭 :「 蟬聲疎桐寒塘外(선성소동한당외) 寫出江南一谷秋(사출강남일곡추) 」' 차가운 못 성근 오동 소리내어 우는 매미 강남의 한 골짝 가을 풍경 그려냈네.'

 

제3폭 : 「 昻霄自可五千仂 (앙소자가오천륵)  占夢須酬十八公(점몽

수수십팔공) 豈必華陽陶處士(기필화양도처사) 年年拳鶴聽松風(년년

권학청송풍) 」' 하늘로 오천길을 날아오를 수가 있고 꿈에도 기리

는 것 십팔공인 소나무라네. 왜 꼭 화양에 사는 도처사만 언제나 학

이 좋아 솔바람 소리 들었다든가.'

 

제4폭 : 「 織鉤時得小谿魚(지구시득소계어) 飽臥花陰興欲迷(포와화음흥욕미)」' 때로는 작은 시내 물고기도 낚으면서 꽃그늘에 누워 있으면 그 흥취에 빠져들지.'

 

제5폭 : 「 東來紫氣滿函關 (동래자기만곡관)」'동에서 오는 상서로운 기운이 함곡관에 가득해라.'

 

 오원장승업필잡화도(吾園張承業筆雜畵圖)朝鮮18世紀 1879年作 /張承業 1843 - 1897 / 紙本水墨 /縱 101.2× 橫 27.4 cm / 高麗大學校博物館

 

제6폭 : 「 紅藕花多映碧欄 秋風才起易凋殘 地塘一谷榮枯事 都被沙鷗冷眼看 (홍우화다영벽난 추풍재기역조잔 지당일곡영고사 도피사구냉안간)」 ' 붉은 연꽃 허다히 푸른 난간에 비치지만 갈바람만 일어나면 쉬 시들고 만다네. 한 조각 못 위에서 피고 지고 하는 일들 모래 톱의 갈매기 눈엔 아무 것도 아니라네.'

 

제7폭 : 『 翩翩綠意上秋屛 窓外新添一葉靑 詩思不因凉信減 連朝時雨快深聽 (편편녹의상추병 공외신첨일엽청 시사불인량신감 연조시우쾌심청) 』"푸르름이 경쾌하게 가을 병충에 펼쳐지니 들창밖에도 새로운 잎이 하나 더 푸르네. 서늘한 날씨라고 시상마져 죽어들가 아침 내내 내리는 비 그 소리가 유쾌하네. " 

 

제8폭 : 『 湘北書來何歲月 衡陽木落舊山川 ( 상북서래하세월 형양목락구산천)』 " 상북의 서신이 어느세월에 올 것인가 형양 땅 산천에는 나뭇잎이 다 졌다네."

 

제9폭 :  右軍本淸眞 簫灑出豊塵 山陰遇雨客 愛此好鵝賓 掃素寫道經 筆精妙入神 書罷籠鵝去 何曾別主人 ( 우군본청진 소쇄출풍진 산음우우객 애차호빈 소소사도경  필정묘입신 서파농아거 하증별주인)』" 왕우군은 원래가 청진한 사람 말쑥하여 속세를 벗어났는데, 산음에가 도사를 만나고는 그가 기르는 거위가 좋아서 종이 펴고 도덕경을 썼는데 그 글씨 정묘하여 입신의 경지였다네. 다 써 주고는 거위 가지고 갔지만 주인과의 작별은 아니었다네."

 

제10폭 : 『 玉貌仙姿 (옥모선자) "관옥 같은 얼굴에 신선같은 자태."     

                                            

'歲己卯夏日  擬新羅山人于秋聲館之南窓下 - 張承業'

(기묘년(1879)여름 추성관 남창 아래서 신라산인을 모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