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蔡邕 九勢, 王羲之 筆陳圖, 筆勢論

solpee 2015. 8. 15. 11:38

蔡邕 九勢

 

蔡邕《筆論》

 

書者,散也。欲書先散懷抱,任情慾性,然後書之。若迫于事,雖中山兎豪不能佳也。夫書,先黙坐靜思,隨意所适,言不出口,氣不盈息,沉密神彩,如對至尊,則無不善矣。

爲書之體,須入其形。若坐若行,若飛若動,若往若來,若臥若起,若愁若喜,若蟲食木葉,若利劍長戈,若强弓硬矢,若水火,若雲霧,若日月。縱橫有可象者,方得謂之書矣。

 

蔡邕《九勢》

 

夫書肇于自然,自然旣立,陰陽生焉,陰陽旣生,形勢出矣。藏頭護尾,力在字中,下筆用力,肌膚之麗。故曰:勢來不可止,勢去不可遏,惟筆軟則奇怪生焉。

凡落筆結字,上皆覆下,下以承上,使其形勢遞,想映帶,無使勢背。

轉筆,宜左右回顧,無使節目孤露。

藏鋒,點畫出入之迹,欲左先右,至回左亦爾。

藏頭,圓筆屬紙,令筆心常在點畫中行。

護尾,畫點勢盡,力收之。

疾勢,出于啄磷之中,又在竪筆緊趯之內。

掠筆,在于趯鋒峻趯用之。

澀勢,在于緊駃戰行之法。

橫鱗,竪勒之規。

此名九勢,得之雖無師授,亦能妙合古人,須翰墨功多,卽造妙境耳。

 

蔡邕《篆勢》

 

字畫之始,因于鳥迹,蒼頡循聖,作則制文。體有六篆,要妙入神。或象龜文,或比龍鱗,紆體效尾,長翅短身。頹若黍稷之垂穎,蘊若蟲蛇之棼縕。揚波振激,鷹跱鳥震,延頸協翼,勢似凌雲。或輕擧內投,微本濃末,若絶若連,似露緣絲,凝垂下端。從者如懸,衡者如編,杳杪邪趣,不方不圓,若行若飛,蚑蚑翾翾。

遠而望之,若鴻鵠群游,絡繹遷延。迫而視之,湍漈不可得見,指撝不可胜原。硏桑不能數其詰屈,离婁不能睹其隙間。般倕揖讓而辭巧。籒誦拱手而韜翰。處篇籍之首目,粲粲彬彬其可觀。擒華艶于紈素,爲學藝之范閑。嘉文德之弘蘊,懿作者之莫刊。思字体之俯仰,擧大略而論旃。

 

王羲之 題筆陣圖後

 

  夫紙者陣也, 筆者刀矟也, 墨者䥐甲也, 水硯者城池也, 心意者將軍也, 本領者副將也, 結構者謀略也, 颺筆者吉凶也, 出入者號令也, 屈折者殺戮也. 夫欲書者, 先乾硏墨, 凝神靜思, 預想字形大小偃仰平直振動, 令筋脈相連, 意在筆前, 然後作字. 若平直相似, 狀如算子, 上下方整, 前後齊平, 此不是書, 但得其點竖爾. 昔宋翼常作此書, 其師鍾繇叱之. 翼三年不敢見繇, 卽潛心改迹. 每作一波, 常三過折, 每作一竖, 常隱鋒而爲之, 每作一橫棱, 如列陣之排雲, 每作一戈, 如百鈞之弩發, 每作一點, 如高峰墜石,每作一勾, 屈折如鋼鉤, 每作一牽, 如萬歲枯藤, 每作一放縱, 如足行之趣驟. 翼先來書惡, 晉太康中有人於許下破鍾繇墓, 遂得筆勢論, 翼讀之, 依此法學書, 名遂大振. 欲眞書及行書, 皆依此法. 若欲學草書, 又有別法. 須緩前急後, 字體形勢, 狀如龍蛇, 相鉤連不斷, 仍須棱側起伏, 用筆亦不得使齊平大小一等. 每作一字須有點處, 且作餘字總竟, 然後安點, 其點須空中遙擲筆作之. 其草書, 亦復須篆勢八分古隸相雜, 亦不得急, 令墨不入紙. 若急作, 意思淺薄, 而筆卽直過. 惟有章草及章程行押等, 不用此勢, 但用擊石波而已. 其擊石波者, 缺波也. 又八分更有一波謂之隼尾波, 卽鍾公泰山銘及魏文帝受禪碑中已有此體. 夫書先須引八分章草入隸字中, 發人意氣, 若直取俗字, 則不能先發. 予少學衛夫人書, 將謂大能, 及渡江北游名山, 見李斯曹喜等書, 又之許下, 見鍾繇梁鵠書, 又之洛下, 見蔡邕石經三體書, 又於從兄洽處, 見張昶華岳碑, 始知學衛夫人書, 徒費年月耳. 遂改本師, 仍於衆碑學習焉. 時年五十有三, 恐風燭奄及, 聊遺敎於子孫耳. 可藏之石室, 勿傳非其人也.

 

   대저 종이는 진이고, 붓은 칼과 긴 창이고, 먹은 투구와 갑옷이고, 물과 벼루는 성지이고, 마음과 뜻은 장군이고, 본령은 부장이고, 결구는 모략이고, 붓을 일으키는 것은 길함과 흉함이고, 드나드는 것은 호령이고, 굽고 꺾는 것은 살육이다. 대저 글씨를 쓰려고 하면 먼저 먹을 갈면서 정신을 모으고 생각을 조용히 하며 미리 자형의 크고 작음, 눕고 우러름, 평평하고 곧음, 떨치고 움직이는 것을 생각하여 근맥이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뜻이 붓 앞에 있은 연후에 글씨를 써야 한다. 만약 평평하고 곧음이 서로 같아 형상이 마치 주판알 같이 위아래가 방정하고 앞뒤가 가지런하고 평평하면, 이는 글씨가 아니고 단지 그 점과 획을 얻을 따름이다.

   옛날 송익이 늘 이런 글씨를 쓰자 그의 스승인 종요가 이를 꾸짖었다. 송익은 3년 동안 감히 종요를 뵙지 못하고, 곧 마음을 가라앉혀 글씨를 고쳤다. 매번 하나의 波를 할 때 항상 세 번 꺾은 필획이 지나가게 하고, 매번 하나의 □를 할 때 항상 필봉을 숨겨서 하고, 매번 하나의 가로획을 그을 때 마치 진을 벌림이 구름을 밀치는 것 같이 하고, 매번 하나의 戈를 할 때 마치 3천근의 쇠뇌를 발하는 것 같이 하고, 매번 하나의 점을 찍을 때 마치 높은 봉우리에서 돌이 떨어지는 것 같이 하고, ????는 구부리고 꺾음이 마치 강철 갈고리 같이 하고, 매번 하나의 당김은 마치 오래된 마른 등나무처럼 하고, 매번 하나의 방종함은 마치 발걸음이 빨리 달리는 것처럼 했다. 송익은 원래 글씨를 못 썼는데, 진나라 太康(280-289) 연간에 어떤 사람이 허하에서 종요의 무덤을 파서 드디어 『필세론』을 얻었다. 송익은 이를 읽고 이 법에 의하여 글씨를 배워 마침내 이름을 크게 떨쳤다. 진서와 행서를 쓰려고 하면 모두 이 법을 의지해야 한다.

   만약 초서를 배우려면 또한 다른 법이 있다. 모름지기 앞은 천천히 하고 뒤는 급하게 하며 글자체의 형세는 형상이 마치 용과 뱀처럼 서로 갈고리로 연결하여 끊어지지 않아야 한다. 모름지기 모서리ㆍ치우침ㆍ일어남ㆍ엎어짐의 용필 또한 가지런하고 평평하며 크고 작음이 하나같이 같도록 해서는 안 된다. 매번 한 글자를 씀에 모름지기 점이 있는 곳 또한 나머지 글자의 모든 경지를 만든 연후에 점을 안치해야 하는데, 그 점은 모름지기 공중에서 흔들어 내치는 필치로 만들어야 한다. 그 초서 또한 다시 모름지기 전서의 형세?팔분?고예가 서로 섞이도록 해야 하고, 또한 급하지 않고 먹이 종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만약 급하게 쓰면, 뜻과 생각이 천박해지고 붓은 곧 곧게 지나간다. 오직 장초와 장정서, 그리고 행압서 등은 이러한 형세를 운용하지 않지만 단지 ‘擊石波’를 운용할 따름이다. ‘擊石波’라는 것은 ‘缺波’이다. 또한 팔분은 다시 하나의 파가 있으니, 이를 ‘殾尾波’라고 일컫는다. 즉 종요의 <泰山銘> 및 <魏文帝受禪碑> 중에 이미 이러한 서체가 있다.

   대저 글씨는 먼저 모름지기 팔분과 장초를 끌어다 예서에 집어넣어 사람의 뜻과 기운을 격발해야지 만약 직접 속자를 취하면 먼저 발할 수 없다. 내가 어려서 위부인의 글씨를 배울 때 장차 크게 될 수 있을 것이라 일컬었다. 양자강을 건너 명산을 유람하면서 이사와 조희 등의 글씨를 보았고, 또 허하에 가서 종요와 양곡의 글씨를 보았다. 또 낙양에 가서 채옹의 <석경삼체>를 보았고, 또 사촌형인 왕흡이 사는 곳에서 장창의 <화악비>를 보고는 비로소 위부인에게 배운 글씨가 한갓 세월만 허비했다는 것을 알았다. 드디어 본래 스승을 개변하여 이에 많은 비를 학습했다. 당시 나이 53세, 얼마 남지 않은 여생이 가려질까 두려워 애오라지 가르침을 자손에게 남길 따름이다. 가히 이를 석실에 간직할 수 있지, 그 사람이 아니면 전하지 말라.

 夫纸者阵也,笔者刀矟也,墨者鍪甲也,水砚者城池也,心意者将军也,本领者副将也,结构者谋略也,飏笔者吉凶也,出入者号令也,屈折者杀戮也。也,著笔者调和也,顿角者是蹙捺也。始书之时,不可尽其形势,一遍正脚手,二遍少得形势,三遍微微似本,四遍加其遒润,五遍兼加抽拔。如其生涩,不可便休,两行三行,创临惟须滑健,不得计其遍数也。
    夫欲书者,先乾研黑,凝神静思,预想字形,大小偃仰,平直振动,令筋脉相连,意在笔前,然后作字。若平直相似,状如算子,上不方整,前后齐平,此不是书,但得其点画耳。昔宋翼(钟繇弟子)常作此书,繇乃叱之,遂三年不敢见繇,即潜心改迹。每作一波,常三过折,每作一竖,常隐锋而为之,每作一横,如列阵之排云,每作一戈,如百钧之弩发,每作一点,如高峰之坠石,每作一勾,屈折如钢钩,每作一牵,如万岁之枯藤,每作一放纵,如足行之趣骤。状如惊龙之透水,激楚浪而成文。
    若欲学草书,又有别法。须缓前急后,字体形势状如龙蛇,相钩连不断,仍须棱侧起伏。用笔亦不得使齐平大小一等。每作一字,须有点处,且作余字总竟,然后安点,其点须空中遥掷笔作之。其草书亦复须篆势、八分、古隶相杂,亦不得急令墨不入纸。若急作,意思浅薄,而笔即直过。
    惟有章草及章程行押等不用此势,但用击石波而已,其击石波者缺波也。又八分更有一波谓之隼尾波,即钟公泰山铭及魏文帝受禅碑中已有此体。夫书先须引八分章草入隶字中,发人意气,若直取俗字,则不能先发。予少学卫夫人书,将谓大能,及渡江北游名山,见李斯、曹喜等书,又之许下见钟繇、梁鹄书,又之洛下,见蔡邕石经,三体书,又于从兄洽处见张昶华岳碑,始知学卫夫人书徒费年月耳。遂改本师,仍于众碑学习焉。

 

筆勢論 (晉)王羲之 撰 w`-s3r
書法|碑帖|收藏|交流|愛好者*~P3vv4c@{
  羲之告子敬曰:“吾察汝書性過人,乃未閑規矩,父不親教,自古有之。略修《筆勢論》一篇,開汝之悟。凡斯字勢,總有十二章,章有指歸,定其模楷,詳其舛謬,撮其要實,錄其便宜。或變體處多,罕臻其本;轉筆處眾,莫識其源。懸針垂露之蹤,難為體制;揚波騰氣之跡,足可迷人。故辨其由,堪愈膏肓之疾。今書《樂毅論》一本及《筆勢論》一篇,貽爾藏之,必勿播於外,緘之秘之,不可示諸知友。窮研篆籀,省功而易成;纂集精專,形彰而勢顯。有意學之者,兩月即見其功;大無性靈者,百日亦知其本。此之《筆論》,可謂家寶家珍,學者秘之,世有名譽,筆削久矣。始克有成,研精覃思,考諸規矩,存其要錄。吾作此論初成之時,同學張伯英欲求見之,吾詐云失矣,蓋自秘之,甚不苟傳也。”

{Ci8C/|
rWk#?書法作品,繪畫作品,碑帖,拓片,書畫收藏,書畫展覽,臨摹,創作,古跡,故
◎創臨章第一
3l5NzE!k;A書法|碑帖|收藏|交流|愛好者  夫紙者,陣也;筆者,刀矛肖也;墨者,兵甲也;水研者,城池也;本領者,將軍也;心意者,副將也;結構者,謀策也;颺筆者,吉凶也;出入者,號令也;屈折者,殺戮也;點畫者,磊落也、戈旆也、斬斫也;放縱者,快樂也;著筆者,調和也;頭角者,蹙捺也。始書之時,不可盡其形勢,一遍正腳手,二遍少得形勢,三遍微微似本,四遍加其遒潤,五遍兼加抽拔。如其生澀,筆下不滑,不可便休,三行兩行,一度創臨,惟須筆滑,不得計其遍數。 書法|碑帖|收藏|交流|愛好者


/K'O0MA9k:C5t9O)@)@
  ◎啟心章第二
8~k"{.prfE/b~V書法縱橫藝術論壇
TD+Z o(s [L-Ubbs.8mhh.com  夫欲學書之法,先幹研墨,凝神靜慮,預想字形大小,偃仰平直。振動則筋脈相連,意在筆前,然後作字。若平直相似,狀如算子,上下方整,前後齊平,此不是書,但得其點畫耳。昔宋翼(乃鍾繇弟子)嘗作是書,繇乃叱之,遂三年不敢見繇。即潛心改跡,每作一波常三過折;每作一點常隱鋒而為之;每作一橫,畫如列陣之排云;每作一戈,如百鈞之弩發;每作一點,如危峰之墜石,屈折如鋼鉤;每作一牽,如萬歲之枯藤;每作一放縱,如足行之趨驟然,如驚蛇之透水,激楚浪以成文。似虯龍之蜿蜒,謂其妙也;若鸞鳳之徘徊,言其勇也。擺撥似驚雷掣電,此乃飛空妙秘,頃刻沉浮,統攝鏗鏘,啟發厥意。能使昏迷之輩漸覺勝心,博識之流顯然開朗。


!D4W.vZ{-q w
r
  ◎視形章第三

  視形象,體變貌,猶同逐勢瞻顏,高低有趣;分均點畫,遠近相須。播布研精,調和筆墨。鋒纖往來,疏密相附。鐵點銀鉤,方圓周正,起筆下筆,忖度尋思,引說蹤由,永傳今古。知者榮身益世,方懷浸潤之深;愚者不俟佳談,如暗塵之視錦。坐而知之,發憤學而悟者忘餐。此乃妙中增妙,新中更新。金書錦字,本領為先,盡說安危,務以平穩為本。分間布白,上下齊平,均其體制,大小尤難。大字促之貴小,小字寬之貴大。自然寬猛,得所不失其宜。橫則正如孤舟之橫小渚,豎則直若春筍之抽寒穀也。
&}3H8X0]4?lu書法縱橫藝術論壇 

  ◎說點章第四
Te;}/D6R-l
W6tn}B3oc6`I書法|碑帖|收藏|交流|愛好者
  夫著點皆磊磊似大石之當衢,或如蹲鴟,或如科鬥,或如瓜瓣,或如栗子。存若鴞口,尖如鼠屎。如斯之數,各稟其儀。但獲少獲多,學者開悟。
$b;i
F_ Fh Q

-ZY@2M4F c8o"SJ"A
  ◎處戈章第五
%uIw&}e._FU!n|書法作品,繪畫作品,碑帖,拓片,書畫收藏,書畫展覽,臨摹,創作,古跡,故居
  夫斫戈之法,落筆峨峨如長松之倚溪穀,似欲倒也,似百鈞之弩初張。處其戈意,妙理難窮,放似弓張箭發,收似虎鬥龍躍。直如臨穀之勁松,曲類懸鉤之釣水。棱層切於云漢,倒載殞如山崖。天門騰而地戶耀,四海謐而五嶽封,玉燭明而日月蔽,繡彩亂而錦紋翻。夫以屈腳之法,彎彎如角弓之張,“見烏為鳥”之類是也。
"W8u/}0tA]4t
F

  ◎健壯章第六
.DTj9i`$yD/QG  夫立人之法,如鳥之在樹,“亻”“彳”之類是也。踠腳之法,如壯士之屈臂。“鳳飛凡氣”之例是也。急引急牽,如云中之掣電。“日月目因”之例是也。踠腳剕幹,上捺下撚,終始折轉,悉令和均。勿使蜂腰鶴膝,放縱宜存氣力。視筆取勢,行中廓落,如勇士申鈞,方剛對敵,麒麟鬥角,虎湊龍牙,筋節弩拳,勇身精健。放法如此,書進有功矣。牽引深妙,皎在目前,發動精神,提撕志意,挑剔精思,秘不可傳。夫作右邊折角疾牽下微開,左畔幹轉,令取登對。勿使腰中傷慢,視筆取勢,直截向下,趨義常存,無不惺悟。


1BM&XDa)bY Y-W書法|碑帖|收藏|交流|愛好者
  ◎教悟章第七
)OnQ;lJ"m}書法作品,繪畫作品,碑帖,拓片,書畫收藏,書畫展覽,臨摹,創作,古跡,故居
7g|2i8}:M-ek-|書法|碑帖|收藏|交流|愛好者  凡字處其中,畫之法皆不得到其左右。右相複宜粗於左,左畔橫貴乎纖,豎貴乎粗。分間布白,遠近宜均,上下得所,自然平穩。當須遞相掩蓋,不可孤露形影。及出於其鋒,展轉翻筆之處,即宜察之而用之。


pX[
bcd書法作品,繪畫作品,碑帖,拓片,書畫收藏,書畫展覽,臨摹,創作,古跡,故居
  ◎觀彩章第八
gI?'uD8a*Dbbs.8mhh.com

  夫臨文用筆之法,複有數勢,並悉不同。或有藏鋒者大藏鋒在於腹內而起,側筆者乏(亦不宜抽細而且緊),抽筆者人(從腹起而抽之,又云利道而牽捏即合也),結筆者撮(漸次相疾,必殆然矣。參乎妙理,察其精趣),憩筆者俟失(憩筆之勢,視其長短,俟失石腳須次也),息筆者逼逐(息之勢向上久,上久而緊抽矣),蹙筆者將(蹙即捺角也,將謂下筆要得所,不宜劣盡也,緩長不宜短),戰筆者合舍(戰陣也,緩不宜長,含快吐短也),厥筆者成機促(抽上勿使長,厥謂其美也。視形勢成機,是臨時而成最妙處),帶筆者盡(細抽也。帶視回轉,走勿賒,下筆勢之法人之類裝束身體,字含鮮潔,起有輕者也,盡為其著,複及筆抽也),翻筆者先光(翻轉筆勢,急而短疾也,亦不宜長腰短項),疊筆者時寺(緩不宜長),起筆者不下(於腹內舉,勿使露筆,起正取勢,令不失節),打筆者廣度(打廣而就狹,廣快健又不宜遲及修補也)。

 
        f+NV5aS^
  ◎開腰章第九

  夫作字之勢,飾甚為難。鋒銛來去之則及複還,往是之法,在乎精熟。尋察然後下筆。作丿字不宜遲,乀不宜才,而腳不宜賒,腹不宜促,又不宜斜。角不宜峻作棱角。二字合為一體(並不宜闊),重不宜長;車不宜小;腹不宜大。密勝乎疏,短勝乎長。
/OO(\-P8OV書法|碑帖|收藏|交流|愛好者
;jE.|
~?S&Fl
  ◎節制章第十
"R8` Mu@|bbs.8mhh.com
Qk&P9v,O書法|碑帖|收藏|交流|愛好者
  夫學書作字之體,須遵正字之形勢。不得上寬下窄(如是則是頭重尾輕,不相勝任);不宜傷密,密則似病瘵纏身(不舒展也);複不宜傷疏,疏則似溺水之禽(諸處傷慢);不宜傷長,長則似死蛇掛樹(腰枝無力);不宜傷短,短則似踏死蝦蟆(言其闊也)。此乃大忌,可不慎歟!
P,[+Dui
]*wbbs.8mhh.com

&u^8`Ui/P*y書法作品,繪畫作品,碑帖,拓片,書畫收藏,書畫展覽,臨摹,創作,古跡,故居
  ◎察論章第十一
(w2w"P n-EP+Tb8g書法作品,繪畫作品,碑帖,拓片,書畫收藏,書畫展覽,臨摹,創作,古跡,故居
? eR2hj1i        d$Sl書法|碑帖|收藏|交流|愛好者
  臨書安帖之方,至妙無窮。或有回鸞返鵲之飾,變體則於行中,或有生成臨穀之戈,虯龍踐於紙上。徹筆則鋒煙云起,如萬劍之相成;落紙則裨揩施張,蹙踏江波之錦。若不端嚴手指,無以表記心靈。吾務斯道,廢寢忘餐,懸曆歲華,乃令稍稱矣。
fJ/l"p}o s書法縱橫藝術論壇

  ◎譬成章第十二
1pKk0m$tR,?        t書法作品,繪畫作品,碑帖,拓片,書畫收藏,書畫展覽,臨摹,創作,古跡,故居

  凡學書之道有多種焉。初業書要類乎本,緩筆定其形勢,忙則失其規矩。若擬目前要急用之,厥理難成,但取形質快健,手腕輕便,方圓大小,各不相犯。莫以字小易而忙行筆勢,莫以字大難而慢展毫頭。如是則筋骨不等,生死相混。儻一點失所,若美人之病一目;一畫失節,如壯士之折一肱。予《樂毅論》一本書為家寶,學此得成,自然皆達,勿以難學而自惰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