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5년 5월 1일 오전 06:20

solpee 2015. 5. 1. 06:38

爽口作疾
송나라 때 陳錄이 엮은 '善誘文'은 선행을 권유하는 글을 모은 勸善書다. 그 첫머리에 송대 趙抃(1008~1084)의 '趙淸獻公座右銘'이 실려 있다. 모두 24칙의 짤막한 글을 싣고 그 아래에 설명을 달았다. 이 가운데 몇 가지를 읽어본다.

"구함이 없는 것이 보시보다 낫다(無求勝布施)." 보시에는 제 福을 구하려는 마음이 깔려 있다. 애초에 복을 향한 마음을 버리는 것만 못하다. 그 아래 "구함이 없으면 절로 편안하니 보시는 복을 탐하는 것이다(無求自安, 布施貪福)"란 설명을 달았다. "입에 맞는 음식을 너무 많이 먹으면 병이 된다(爽口味多須作疾)." 건강에 좋은 음식은 입에는 깔깔하다. 미식과 보양식만 찾아다니면 몸에 해롭다. 너무 맛난 음식은 오히려 질병을 부른다.

"마음에 통쾌한 일은 지나고 나면 꼭 재앙이 된다(快心事過必爲殃)." 한때의 통쾌함을 백일의 근심과 맞바꾸려 들지 마라. 잠깐 분을 풀어 시원하겠지만 여기서 늘 더 큰 재앙이 비롯된다. "마음에 맞는 곳은 두 번 가지 말라(得便宜處莫再去)." 너무 좋았던 곳은 다음에 가면 꼭 실망스럽다. 지난번엔 그렇게 멋있고 맛있었는데 이럴 수가 있을까? 차라리 아껴 간직했더라면 앞의 기억이 무색하지 않다. "남이 알까 겁나는 일은 아예 마음조차 먹지 말라(怕人知事莫萌心)." 할까 말까 하는 일은 대부분 안 하는 것이 좋다. 마음에 조금이라도 켕기면 제 스스로 합리화의 구실을 만들기 전에 손을 떼라.

"좋은 밭 1만 이랑을 지녔어도 하루에 먹는 것은 두 홉뿐이다(良田萬頃, 日食二升)." 바깥짝은 이렇다. "큰 집이 1000칸이라도 밤에 누울 때는 여덟 자면 충분하다(大廈千間, 夜臥八尺)." 두 홉 쌀이면 배가 부르고, 여덟 자 공간이면 몸을 뉠 수 있는데 인간의 탐욕은 끝 간데없다. "다만 좋은 일을 행할 뿐 앞길은 묻지 말라(但行好事, 莫問前程)." 좋은 일의 끝은 있는 법이다. 앞날에 대한 보험으로 좋은 일을 하는 것은 순서가 틀렸다. 요컨대 지는 게 이기는 것이고, 부족한 게 남는 거라는 말씀이다. 읽고 나니 개운하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寰鼎铭

隹廿又八年五月,既望庚寅,王才周康穆宫,旦,王各大室,即立,宰κ右,寰入门,立中廷,北卿(向)。史13■(□)受王令书,王乎史氵或册易寰玄衣黹屯,赤市朱黄,42■攸勒,戈雕46■纟高必彤矢,寰拜稽首,敢对扬天子不显休令,用乍朕皇考奠(郑),白<臣女>奠鼎,寰其迈年,子孙永宝用。(《钟鼎款识》。案新出土有《寰盘铭》同,惟铭末作「奠白奠<臣女>宝般,寰其迈年,子子孙孙永宝用」为异。)

 

虢季子白盤銘

“隹①十又二年,正月初吉丁亥,虢季子白乍寳盤② 。不③显子白,壮武于戎工,经维四方。搏伐猃狁,于洛之阳。折首五百,执讯五十,是以先行。桓桓子白,献聝于王,王孔加子白义。王各⑤周庙宣榭,爰飨⑥。王曰:“白父,孔显又⑦光。”王赐乘马,是用左⑧王;赐用弓彤矢,其央。赐用戉⑨(钺),用政⑩蛮方。子子孙孙,万年无疆。[1] 
① 隹,即“唯”。
② 乍寳盤,即“作宝盘”。
③“不”通“丕”,《说文解字》中:“丕,大也。“
④“加”通“嘉”。
⑤各,“各”典籍作“格”,《字汇》:“格,感通也。”《说文解字注笺》:“格,训为至,而感格之义生焉。”
⑥飨,即“乡”。
⑦“又”通“有”。
⑧“左”通“佐”,佐证。
⑨戉,即“钺”。
⑩政,即“征”。[4] 
译文:在十二年正月初吉期间的丁亥日,虢季子白制作了宝盘。显赫的子白,在军事行动中勇武有为,经营着天下四方。进击征伐玁狁,到达洛水之北。斩了五百个敌人的首级,抓获俘虏五十人,成为全军的先驱。威武的子白,割下敌人左耳献给了王,王非常赞赏子白的威仪。王来到成周太庙的宣榭,大宴群臣。王说:“白父,你的功劳显赫,无比荣耀。”王赐给子白配有四马的战车,以此来辅佐君王。赐给朱红色的弓箭,颜色非常鲜明。赐给大钺,用来征伐蛮夷。(子白作器以使)子子孙孙万年永远地使用。

 

 

 

☞.居安思危[jū ān sī wēi]

 

【解释】:居:处于;思:想。虽然处在平安的环境里,也想到有出现危险的可能。指随时有应付意外事件的思想准备。

【出自】

1.《左传·襄公十一年》:“居安思危,思则有备,有备无患。”

 

2,唐 魏征《全唐文·谏太宗十思疏》:“人君当神器之重,居域中之大,不念居安思危,戒奢以俭,斯亦伐根以求木茂,塞源而欲流长也。”
3,宋·郭茂倩《乐府诗集·隋元会大飨歌·皇复》:“居高念下,处安思危,照临有度,纪律无亏。”
4,宋·徐铉《颂德赋》:“疆事渐宁而备不可去,居安思危睹灾惧。”
5,梁·沈约《宋书·文五王传》:“今虽先天不违,动干休庆,龙舟所幸,理必利涉,然居安思虑,不可不惧。”
6,明·无名氏《白兔记·寇反》:“古人有言:‘得宠思辱,居安虑危。’”
7,清·钱彩《说岳全传》第六十回:“得宠思辱,居安思危。”
8,《明史·郑本公传》:“陛下居安思危,当远群小,节燕游,以防一朝之患。”

 

历史典故
这则成语故事讲的是处在安定的环境中要想到可能产生的危难祸害的情况。人们用居安思危这个词用来比喻要提高警惕,以防祸患。与“有备无患”近义。出自《左传·襄公十一年》:“思则有备,有备无患。”
春秋时期,有一次宋、齐、晋、卫等十二国联合出兵攻打郑国郑国国君慌了,急忙向十二国中最大的晋国求和,得到了晋国的同意,其余十一国也就停止了进攻。郑国为了表示感谢,给晋国送去了大批礼物,其中有:著名乐师三人、配齐甲兵的成套兵车共一百辆、歌女十六人,还有许多钟磬之类的乐器。 晋国的国君晋悼公见了这么多的礼物,非常高兴,将八个歌女分赠给他的功臣魏绛,说:“你这几年为我出谋划策,事情办得都很顺利,我们好比奏乐一样的和谐合拍,真是太好了。现在让咱俩一同来享受吧!”可是,魏绛谢绝了晋悼公的分赠,并且劝告晋悼公说:“咱们国家的事情之所以办得顺利,首先应归功于您的才能,其次是靠同僚们齐心协力,我个人有什么贡献可言呢?但愿您在享受安乐的同时,能想到国家还有许多事情要办。《书经》上有句话说得好:‘居安 思危,思则有备,有备无患。’现谨以此话规劝主公!”魏绛这番远见卓识而又语重心长的话,使晋悼公听了很受感动,高兴地接受了魏绛的意见,从此对他更加敬重。

 

☞.惡居下流

子貢曰: "紂之不善, 不如是之甚也. 是以君子惡居下流,

天下之惡皆歸焉."

자공이 말하였다: "殷나라의 마지막 왕 紂의 不善이 세평처럼 그토록 심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자신을 下流에 居하도록 처신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천하의 악이란 악은 다 하류로 흘러 들어오기 때문이다."

 

 

☞. 心則厲 淺則揭

論語憲問14-42.

子擊磬於衛, 有荷蕢而過孔氏之門者, 曰:有心哉, 擊磬乎,

(荷, 去聲.)

磬, 樂器. 荷, 擔也. 蕢, 草器也. 此荷蕢者, 亦隱士也. 聖人之心未嘗忘天下, 此人聞其磬聲而知之, 則亦非常人矣.

  旣而曰:鄙哉硜硜乎, 莫己知也, 斯己而已矣. ‘深則厲, 淺則揭.’

(硜, 苦耕反. 莫己之己, 音紀, 餘音以. 揭, 起例反.)

硜硜, 石聲, 亦專確之意. 以衣涉水曰厲, 攝衣涉水曰揭. 此兩句, 衛風匏有苦葉之詩也. 譏孔子人不知己而不止, 不能適淺深之宜.

 子曰:果哉! 末之難矣.

果哉, 歎其果於忘世也. 末, 無也. 聖人心同天地, 天下一家, 中國一人, 不能一日忘也. 故聞荷蕢之言, 而歎其果於忘世. 且言人之出處, 若但如此, 則亦無所難矣.

 

☞.草上之風 必偃

"季康子問政於孔子曰如殺無道 以就有道 如何 孔子對曰子爲政 焉用殺 子欲善 而民善矣 君子之德風 小人之德草 草上之風

必偃"

공자는 논어에서 계강자가 정치에 대하여 묻기를 만약 무도한 자를 죽여서 도있는 데로 나아가게 하면 어떻습니까?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그대가 정치를 하는데 어찌 죽임을 쓰겠는가? 그대가 선해지려고 하면 백성이 선해질 것이니 군자의 덕은 바람이오, 소인의 덕은 풀이라. 풀 위로 바람이 불면 반드시 눕느니라.라고 했다. "

☞. 斯遠鄙倍矣

論語 泰伯편에 "曾子有疾, 孟敬子問之. 曾子言曰: 鳥之將死, 其鳴也哀. 人之將死, 其言也善. 君子所貴乎道者三. 動容貌, 斯遠暴慢矣. 正顔色, 斯近信矣. 出辭氣, 斯遠鄙倍矣. 豆之事, 則有司存"

"증자가 병에 걸리자, 맹경자가 병문안을 왔다. 증자께서 말씀하셨다. '새가 죽을 때는 울음이 슬프고, 사람이 죽을 때는 그 말이 선하다. 군자는 도에서 귀하게 여기는 것이 세 가지 있다. 몸을 움직일 때는 조급함과 게으름을 멀리한다. 안색을 바룰 때는 믿음직하게 한다. 말을 할 때는 천박하고 이치에 어긋나는 것을 멀리한다. 대그릇과 나무그릇의 일에는 유사가 있다."

 

☞.學紹橫渠/ 횡거의 학맥을 잇다.

 

学:指学问。
绍:指连续,继承。
横渠:是人名,他是指明代的宋凤翔,陕西郿县横渠镇人,学者称横渠先生,著有《秋泾笔乘》一卷。


 

 

☞.董其昌은 趙孟頫의 鵲華秋色圖 文에서 『吳興此圖 兼右丞北苑二家畵法 有唐人之緻 去其纖有北宋之雄 去其獷故曰師法捨短 亦如書家以肖似古人 不能變體爲書奴也.』라 하였다.

「조맹부의 이 그림은 왕유와 동원 두 대가의 화법을 따른 것이다. 당의 치밀함을 갖추고 있으나 섬약함은 버렸으며 북송의 기세는 갖고 있으면서도 그 거친 표현은 버렸다. 이것이야말로 고인을 배우면서도 그 단점은 버린다고 하는 바로 그것이다. 따라서 서예가가 고인을 똑같이 따르기만 하고 변형을 잘하지 못하면 글씨의 노예라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