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第3講(8/21)

solpee 2014. 8. 22. 09:49

第3講(8/21)

 

1. ○○先生新居落成書此領之

時甲午嘉俳節試鐵齋翁墨龍仁和融光源時年六十五

 

2. 歲次甲午春分雨打書窓乍暖還寒時節水原仁石書室 初試此紙揮(掃)豪(毫)

 

3. 詩有煙霞氣書兼龍虎姿

甲午年處暑過後眞如年六十八 □ □

 

 4. 勝蓮老人云詩書畵家當以

水歸器內各見方圓

人品有高下馬

甲午夏八月眞如尹泰東半白後作

 

 雨入花心自成甘苦,水归器内自现方圆。

 

上联谈水的内在质变。“雨入花心自成甘苦”,是指自天而降的雨露相同,渗入各异的花心后,只因花自身的特性而变化出或甘或苦的结果。

下联强调水的外在形变。“水归器内各现方圆”,是指同样的水,注入不同的器皿之内,只因器皿的不同特性而变化出或圆或方的形态。

5.신사임당 유폭병풍 중 제 2폭
輦路江楓暗 寒潮野草春 傷心庾開府 老作北朝臣
(唐 司空曙의 詩) *원문은 寒潮가 아니고 宮庭인데 위에는 宮潮

 

행차길 강가엔 단풍이 우거졌고
조수는 차건만 봄풀이 푸르구나.
유개부 생각자니  마음이 아픈데
늙어서 북조의 신하가 되란 말인가.

☞.이백과 두보의 교유

 

중국 고전 시가의 최고봉이라고 할 수 있는 이백과 두보는 동시대에 살았는데, 두보가 이백보다 11살 어렸다. 그들이 처음 만난 것은 744년 봄으로, 이백은 한림공봉으로 재직하다가 궁궐에서 물러나서 낙양을 노닐고 있을 때였고 두보는 젊은 시절 과거에 낙방하고 난 뒤에 천하를 돌아다니며 견문을 넓히고 있을 때였다. 따라서 이백은 이미 그의 문학적 재능으로 인해 천하에 이름을 떨치고 있을 때였으며, 두보는 아직 자신의 이름을 세상에 드러내지 못한 상황이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두 사람이 각자를 대하는 마음가짐은 완전히 달랐을 것이다. 두보는 이백을 거의 우상으로 숭배할 정도로 우러러 보았지만 이백에게 있어서 두보는 아직 한갓 문인에 불과했을 것이다. 하지만 두 사람은 의기투합하여 자주 술을 마시고 사방을 유람하면서 나이를 잊은 우정을 과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이듬해에 다시 한번 더 당시 유명한 문인이었던 고적 등과 함께 산동에서 만나서 어울려 노닌 후 헤어지고는 영영 만나지 못하였다. 하지만 두보는 항상 이백을 흠모하면서 그를 그리워하는 시를 지었다. 현재 그들이 서로를 위해 지은 시는 두보의 시가 10여 수 정도 남아있고 이백의 시는 3수가 남아있다. 그 중 일부를 살펴보면 그들이 얼마나 서로를 좋아하고 그리워했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魯郡東石門送杜二甫      노군 동쪽 석문에서 두보를 보내다 (이백)

 

醉別復幾日 /  취하여 이별한 지 또 며칠이 지났던가?

登臨徧池臺 /  못가의 누대를 두루 올라 굽어보았지.

何時石門路 / 어느 때 석문의 길가에서

重有金樽開 /  다시금 황금 술단지를 열 수 있을까?

秋波落泗水 / 가을이 되니 사수의 물결은 낮아지고

海色明徂徠 / 새벽빛으로 조래산은 환해졌네.

飛蓬各自遠 /  날리는 쑥처럼 각자 서로 멀어지니

且盡手中杯 / 손에 든 술잔이나 비우세.

 

戱贈杜甫      두보에게 농담조로 주다(이백)

 

飯顆山頭逢杜甫 / 반과산에서 두보를 만났는데

頂戴笠子日卓午 / 머리에는 삿갓을 썼으니 대낮이라네.

借問別來太瘦生 / 이별 한 뒤로 너무 말랐다고 물어보니

總爲從前作詩苦 / 여태까지 시 짓느라 고생해서 그렇다네.

 

贈李白      이백께 드리는 시 (두보)

 

秋來相顧尙飄蓬 / 가을 와 서로 돌아 보니 아직도 떠도는 쑥인데,

未就丹砂愧葛洪 / 단사를 이루지 못해 갈홍에게 부끄러워한다.

痛飮狂歌空度日 / 통음하고 미친 듯 노래 부르며 몇 날을 보내거니와

飛揚跋扈爲誰雄 / 날고 뛰어 넘으니 누구 위해 영웅인양 하는가.

 

春日憶李白      봄 날에 李白을 생각하며 (두보)

 

白也詩無敵 /  이백은 시가 무적이니

飄然思不群 / 표연하여 그 생각이 남들과 달라서,

淸新庾開府 /  청신함은 유신과 같고

俊逸鮑參軍 / 준일함은 포조와 같네.

渭北春天樹 / 위수 북쪽에는 봄 하늘의 나무

江東日暮雲 /  강 동쪽에는 해질 무렵의 구름.

何時一樽酒 /  언제나 한 동이 술로

重與細論文 / 다시 더불어 자세히 글을 논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