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3년 2월 2일 오전 06:03

solpee 2013. 2. 2. 06:04

오늘은 壬辰年(단기4346) 癸丑月(12) 二十二日 土曜日 己亥 大寒節 末候 水澤腹堅(저수지 얼음이 굳는 절후) 네째날이다.

 

甘棠遗爱 gān táng yí ài

甘棠:木名,即棠梨;遗:留;爱:恩惠恩泽。旧时颂扬离去的地方官。

出处

诗经·周南·甘棠》:“蔽芾甘棠,勿翦勿伐,召伯所茇;蔽芾甘棠,勿翦勿拜,召伯所说。”

事例

这个异种,大约就是武则天留下的“~”。 ★清·李汝珍镜花缘》第五回

编辑本段成语故事

出自《诗经·周南》
周武王灭了殷商,建立了周朝。他死后,把江山传给了儿子周成王。周成王即位的时候年幼,幸好有两个贤臣辅佐他。这两个贤臣,一个是周公,一个是召公。召公配合周公做工作,他为辅佐周朝呕心沥血,政绩也非常显赫,因此大家又尊称召公为召伯。
召公有一个特点,就是喜欢到基层去,深入各地方去办公。有一次,召公到他的分地召地(在今陕西省岐山县城西南)去办公。当时天气炎热,召公就不在屋里待着,而是每天在一棵甘棠树(在今岐山县刘家塬村学校内)下办公。召公在当地待了不少天,处理民间事务;他办事非常认真公正,给老百姓解决了很多生活中的具体难题。他走了之后,老百姓十分怀念他,说:"这样的好官太少了。不仅到我们百姓中来,而且就在一棵甘棠树下办公。办完了公,也不吃我们老百姓的东西,也不喝我们老百姓的东西。如果天下的官员都像他这样的话,不就太好了吗?"
由于百姓非常怀念他,所以不许任何人动他曾经办公过的那棵甘棠树。《诗经》里有一段描述这件事情:"蔽芾甘棠,勿翦勿伐,召伯所茇;蔽芾甘棠,勿翦勿败,召伯所憩;蔽芾甘棠,勿翦勿拜。"什么意思呢?"蔽芾甘棠"是说甘棠树刚刚长出小树苗。由于召公是在一棵甘棠树下办公的,"召伯所茇",所以,在这些甘棠树还没长成大树的时候,不要把它伐了,也不要伤了它的树枝,这就是"勿剪勿伐"。第二句"蔽芾甘棠,勿翦勿败",就是说要把甘棠树好好养着,别让它枯死了。为什么?因为"召伯所憩",就是召公曾经在这个地方休息过。第三句,说"蔽芾甘棠,勿翦勿拜。",就是说一定要好好地侍弄这树,因为"召伯所说","说"在古时就是住宿,就是说召公曾经在这里住宿过。从《诗经》这几句诗,我们可以看出,召伯作为一个国家官员,在基层百姓中享有多么高的威望。召公通过认真替百姓做事,换来了百姓对他的爱戴,也留下了这条成语。
"甘棠遗爱",指的就是对离去之人的怀念,或赞颂离去官员的政绩。


입춘일에 지은 시[立春日作]

- 장유(張維 1587-1638), 계곡선생집(谿谷先生集) 제30권


설날 바로 다음날 찾아온 입춘 / 元日纔經一日來
이제 바야흐로 봄이 돌아오는구나 / 立春方是得春廻
초화* 잠깐 피자마자 얼어붙고 말았는데 / 椒花乍破嚴凝逼
매화며 버들이며 앞다투어 피어나리 / 梅柳行看次第催
전원에선 그런대로 오골**이 용납되었는데 / 湖海只堪容傲骨
풍진 세상 누가 다시 신선의 재질을 알아 보랴 / 風塵誰復識仙才
입춘첩(立春帖) 지어서 기원할 일 뭐가 있소 / 休煩善禱題新帖
남곽 선생*** 마음은 재로 벌써 변했는걸 / 南郭先生萬念灰

 

* 초화(椒花) : 산초나무 꽃으로 신년(新年)을 축하할 때 자주 쓰인다.
**오골(傲骨) : 남에게 굽히지 않는 자존심 강한 성격이다. 이백(李白)이 허리 사이에 오골을 갖고 있다[腰間有傲骨]는 평을 들었다.
***남곽 선생 …… 변했는걸 :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南郭先生 …… 心固可使如死灰乎”라는 말이 있다.

대한(大寒) 
 - 이익(李瀷, 1681~1763), 《성호전집(星湖全集)》 제1권

 
목 움츠리고 병 앓느라 늦도록 자리에 누웠으니 / 頸縮涔涔廢夙興
천시가 이 사실을 아는 양 대한이 찾아왔어라 / 天時知道大寒仍
역수(曆數)에 밝은 사람은 미리 헤아려 알았겠지만 / 推求巧曆應先卜
신음하는 백성들은 부질없이 대한을 싫어하누나 / 殿屎愚氓浪見憎
창호에 밝은 빛 생기니 그래도 햇살 사랑스럽고 / 戶牖明生猶愛日
벼루와 붓에 냉기 스미어 꽁꽁 얼음이 얼었어라 / 硏毫冷透亦堅冰
아침에 우스개로 장난삼아 말하노니 / 朝來戲語資歡笑
깊은 못 가에 안 가도 전전긍긍하노라 / 不是臨淵也戰兢 
 
蘭生幽谷兮 曄曄其芳   난초가 깊은 골짝에서 남이여 그 향기가 왕성하도다
賢人在野兮 其道則光   현인이 시골에 있음이여 그 도가 빛나도다.

명나라 宣宗章皇帝가 의란조(猗蘭操)를 지었는데 이 내용은 그 처음에 나오는 대목이다

 

猗兰操(明·宣宗章皇帝)

(宣德七年正月二十日,昔孔子自卫(衛)反鲁,隐居谷中,见兰(蘭)之茂,与众(衆)草为(爲)伍,自伤(傷)不逢时(時),而托为此操。予虑(慮)在野之贤有未出者,故拟(擬)作焉。)

兰(蘭)生幽谷兮 晔晔其芳,

贤人在野兮 其道则光。

嗟兰之茂兮众草为伍,

于乎贤人兮汝其予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