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八生法

solpee 2012. 6. 22. 10:06

八生法

글씨를 쓸 때 주의해야할 여덟 가지를 가르킨다.
淸代 張廷相과 魯一貞의 '玉燕樓書法'에서 나왔다.


八生法이란


夁; 一生筆. 첫째, 붓이 생하여야 하니 따뜻한 물로 숙묵을 제거하면 붓이 깨끗하여 운필하거나 먹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자유롭다.


㒃;二生墨. 둘째, 먹이 생하여야 하는데 새로 간 먹은 아교 기운이 뜨지 않아 붓이 막히지 않고 또 종이에 번져나가지도 않는다.


弎;三生硯. 셋째는 벼루가 생하여야 하니, 벼루가 물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먹을 갈 수 없기 때문에 석질이 견고하고 미세하더라도 혹 오래되면 씻기지 않으니 기름기와 먹의 아교가 서로 굳지 않도록 벼루를 자주 씻어야 한다.


亖.四生水.넷째는 늘 새로운 물을 사용해야지먼지가 많으면 用筆에 이롭지 않다.

㐅.五生目.다섯째는 잠을 자거나 쉬고 난 후에는눈이 정밀하고 밝으므로 글씨를 쓸만 하나 피곤할 때는 쓰지 않는 것이 좋다.

 
六.六生神.여섯째는 정신이 생하여야 하니 정신이 맑으면 마음과 손이 서로 응하여 운필이 자유로워진다.


柒,七生手.일곱째는 손이 생하여야 하니, 완력이 피곤하지 않아야 운필에 힘이 있다.

 
捌,八生景.여덟째는 날씨가 생하여야 하는데, 날이 맑고 밝으며 창과 책상이 밝고 깨끗할 때 종이를 펴고 글씨를 쓰면 자연 정신이 표일하게 된다.

 

☞.용어

*習氣; 이는 원래 佛家의 용어이다. 書藝에서는 주로 창작에서 존재하는 약간의 버릇이 되어버린(俗氣) 좋지 않은 習慣을 가리킨다.

 

*俗氣; 庸俗.鄙俗.媚俗한 氣를 가리킨다. 서예가는 속기를 피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는데 그러러면 먼저 넓고 깊은 학식과 수양을 증가시켜 흉중에 속기를 없애야 비로소 글씨에도 俗氣를 없앨 수 있다.

 

*行氣; 각 글자, 각 행, 그리고 작품 전체의 기세에 착안하여 각 필획을 잘 써서 앞과 뒤를 호응하고 기세를 관통하는 것.

 

*書卷氣; '士氣.卷軸之氣.書卷之味'라고도 한다. 서예가의 사상,정신, 학문과 지식, 임품,덕성,정조 등이 종합적으로 글씨 속에 드러난는 것. 文字香도 유사한 뜻으로 보면 된다.

 

*逸氣; 超脫.深遠.飄逸.孤高한 정신기질이 작품에 나타나는 것처럼 瀟灑한 정신풍모를 가리킨다.

 

*生氣; 운필에서 나타나는 훌륭한 정신과 생동하는 힘. 板.滯.陳.死와 상대적인 개념이다.

 

*逸韻; 逸은 飄逸瀟灑한  풍도, 韻은 逸을 포함하는 심미특징. 일운은 서예미학의 최고의 예술경지로 간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