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子絶四

solpee 2010. 12. 31. 09:14

家內木蛀盡 北方火不明 胡人歸塞漠 習木又催傾 

      子絶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

 

   孔子는 네 가지가 전혀 없었으니,

                               억측하지 않고

                               기필하지 않으며

                               고집하지 않고

                               아집을 부리지 않았다.

 

    論語에는 四와 관련된 성어가 많습니다.

    예를들면, (1)四敎 ; 공자가 제자를 가르쳤던 文 行 忠 信의

                                          네 가지 덕목이 있으며,

                   (2)四科 ; 공자의 門下에서 과목으로 삼은 德行 言語

                                          政事 文學의 네 가지 과목,

                   (3)四勿; 禮를 통해서 외부를 절제하여 속을 편하게 하는

                                         네 가지 방법을 이르는 것으로,

                                          1)非禮勿視 2)非禮勿聽

                                          3)非禮勿言 4)非禮勿動 등이며.

                   (4)四毋 ; 孔子가 속을 곧게 하고 외부를 방정하게 했던

                                          네 가지의 태도를 가리킵니다.

                                          四絶이라는 숙어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윗글의 사절을 풀어보면 이렇습니다.

    위에서 絶은 '끊는다'가 아니라.'전혀없다'로 풀이하고 毋는 無와 그 뜻을 같이하며

    禁하라는 뜻이 아닙니다. 

    意는 私意로 주관적으로 臆測하는 일을 가리키고,

    必은 期必로 반드시 관철하겠다고 무리하게 구는 일을 이름이고,

    固는 執滯로 완고하게 자기 자신을 지키려는 굳은 태도를 말함이고,

    我는 私己로 자기 것만 생각하는 我執을 말함입니다.

 

    意 必 固 我는 각각 하나의 병통이지만 서로 순한을 합니다.

    혹자는 意 必 固가 모두 我로부터 나오므로 我가 없으면 나머지 병통이 사라질 것이라 

    여겼으나,배우려 하는 자가 갑자기 我를 없애려 하면 道에 위배되고 맙니다.  

    최한기는 毋我를 최종 덕목으로 보고, 己란 하루아침에

    끊어 버릴 수 없는 것이므로 克己를 해야 한다고 하였으며, 

    정약용은 毋我를 舍己從人에서 찾았다 하였습니다.

    사실인즉, 본인의 부족한 것을 버리고 남의 좋은 점을 따르는 일이야말로,

    자신을 성숙시키는 근본 태도이겠습니다.

 

竹石

                                           鄭板橋

 

※ 판교(板橋) 정섭(鄭燮)의 <죽석도(竹石圖)>

 

咬定靑山不放鬆  立根原在破岩中
千磨萬擊還堅勁  任爾東西南北風
(교정청산불방송 입근원재파암중
 천마만격환견경 임이동서남북풍)


청산을 꽉 깨물어 느슨함이라곤 없이
바위를 깨뜨리고 그 가운데 뿌리 내렸네
천 번 깎이고 만 번 부딪치면서도 더 단단해지니
그대에게 동서남북의 바람을 다 맡기노라

 

☞ 정섭(鄭燮), <죽석(竹石)>


※ 任爾: 너에게 맡긴다
※ 放鬆: 느슨함(弛緩)

 

 

 ※ 청대(淸代) 서화가이자 양주팔괴(揚州八怪)의 한 사람인 판교(板橋) 정섭(鄭燮)의 <죽석도(竹石圖)>

 

※ 판교(板橋) 정섭(鄭燮)의 <죽석도(竹石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