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豳風

solpee 2010. 3. 27. 23:54

      豳風(빈풍)

 

豳(빈)은 陝西省(섬서성) 西北에 있는 周의 發祥地(발상지)다.

周나라는 漢族들이 그렇게 싫어하던 戎狄이다.당시만 해도 文字도 없던 야만족이었다.

周公이 지었다는 《七月》을 비롯하여 모두 周의 創業時代의 노래라고 傳하나 허구다.남국(양자강일대)의 월령가를 周公과 관련시켜 農業關係의 詩를 한데 묶은 것에 불과하다. 다른 風들이 제가끔 그 地方의 노래인데 비해 이 점 약간 성격이 다르다 하겠다.

 

 

                                       七月(칠월)        칠월 되면

 

      농사에 관한 月令歌. 周公이 지었다고 전하나 민간에서 생긴 노래.

 

               七月流火(칠월유화)                              七月 되면 大火星(대화성)이 기울고

               九月授衣(구월수의)                              九月에는 겨울옷 마련.

               一之日觱發(일지일필발)                        十一月 되면 매운 바람.

               二之日栗烈(이지일율렬)                        十二月엔 추위 오네.

               無衣無褐(무의무갈)                              옷과 털옷 없고서야

               何以卒歲(하이졸세)                              월동인들 어찌 하나?

               三之日于耜(삼지일우사)                        正月이면 보습 손질.

               四之日擧趾(사지일거지)                        二月에는 밭갈기.

               同我婦子(동아부자)                              며느리와 애 데리고

               饁彼南畝(엽피남묘)                              들점심 가져가면

               田畯至喜(전준지희)                              勸農(권농)도 기뻐하셔…….

 

 

               七月流火(칠월유화)                              七月 되면 大火星(대화성)이 기울고

               九月授衣(구월수의)                              九月에는 겨울옷 마련.

               春日載陽(춘일재양)                              봄날은 따뜻하고

               有鳴倉庚(유명창경)                              들리느니 꾀꼬리 울음.

               女執懿筐(여집의광)                              대바구니 옆에 끼고

               遵彼微行(준피미행)                              처녀들 종종걸음.

               爰求柔桑(원구유상)                              뽕나무에 햇뽕 따기.

               春日遲遲(춘일지지)                              봄날은 길기도 긴데

               采蘩祁祁(채번기기)                              또는 어울려서 들에 나가 흰쑥 뜯기.

               女心傷悲(여심상비)                              이런 때면 싱숭생숭

               殆及公子同歸(태급공자동귀)                 공자(公子) 따라 가고프고.

 

               七月流火(칠월유화)                              七月이면 대화성이 기울고

               八月雈葦(팔월환위)                              八月이면 물억새 베기.

               蠶月條桑(잠월조상)                              봄날이라 뽕을 딸 제

               取彼斧斨(취피부장)                              도끼를 손에 잡아

               以伐遠揚(이벌원양)                              높은 가진 찍어 내고

               猗彼女桑(의피여상)                              어린 가진 훑어 따고.

               七月鳴鵙(칠월명격)                              七月 되면 때까치 울고

               八月載績(팔월재적)                              八月이면 베를 짜서

               載玄載黃(재현재황)                              검고 노란 물들이기.

               我朱孔陽(아주공양)                              「붉디 붉은 이 베로는

               爲公子裳(위공자상)                              공자 바지 해 드릴까.」

 

 

               四月秀葽(사월수요)                              四月 되면 애기풀 열매

               五月鳴蜩(오월명조)                              五月이면 매미 울음.

               八月其穫(팔월기확)                              八月 되면 추수하기.

               十月隕蘀(시월운탁)                              十月에는 잎이 지고

               一之日于貉(일지일우학)                        十一月엔 담비 사냥.

               取彼狐貍(취피호리)                              여우 살쾡이 잡히며는

               爲公子裘(위공자구)                              우리 공자 갖옷 짓세.

               二之日其同(이지일기동)                        十二月엔 모두 모여

               載纘武公(재찬무공)                              병기 들고 사냥하기.

               言私其豵(언사기종)                              작은 돼진 제 것이요

               獻豣于公(헌견우공)                              공(公)에게는 큰 돼지를.

 

 

               五月斯螽動股(오월사종동고)                 五月 되면 메뚜기 뛰고

               六月莎雞振羽(유월사계진우)                 六月에는 베짱이가 날개짓. 

               七月在野(칠월재야)                              七月이면 들에 있던 귀뚜라미

               八月在宇(팔월재우)                              八月에는 처마 밑 옮겨 오고

               九月在戶(구월재호)                              九月 되면 문간께 다가들어

               十月蟋蟀入我牀下(시월실솔입아상하)    十月이라 내 침상 바로 밑에 들어와 우네.

               穹窒熏鼠(궁질훈서)                              구멍을 막아 쥐를 쫓고

               塞向墐戶(색향근호)                              북창(北窓) 바르고 문짝에 흙칠하기.

               嗟我婦子(차아부자)                             「아, 아내야 애들아,

               曰爲改歲(왈위개세)                              해가 또 바뀌려 하느니

               入此室處(입차실처)                              이 방에 모두 모여서 지내세.」

 

 

               六月食鬱及薁(유월식울급욱)                 六月 되면 아가위랑 머루랑 먹고

               七月亨葵及菽(칠월팽규급숙)                 七月에는 아욱과 콩을 삶세.

               八月剝棗(팔월박조)                              八月이면 대추 따기.

               十月穫稻(시월확도)                              十月 되면 벼 베기.

               爲此春酒(위차춘주)                              이것으로 봄술 빚어

               以介眉壽(이개미수)                              늙은이의 몸 보양.

               칠월식과(칠월식과)                              七月 되면 오이 먹고

               八月斷壺(팔월단호)                              八月에는 박 타고

               九月叔苴(구월숙저)                              九月이면 삼씨 줍기.

               采荼薪樗(채도신저)                              씀바귀 뜯어 북나무 장작으로

               食我農夫(사아농부)                              우리 일군 먹여 보세.

 

 

               九月築場圃(구월축장포)                       九月 되면 무밭에 마당 닦기.

               十月納禾稼(시월납화가)                       十月이라 곳집에 쌓는 곡식

               黍稷重穋(서직중륙)                              늦고 이른 기장쌀과

               禾麻菽麥(화마숙맥)                              벼와 삼에 콩과 보리.

               嗟我農夫(차아농부)                            아, 우리 일군들아.

               我稼旣同(아가기동)                              우리 추수는 끝이 났네.

               上入執宮功(상입집궁공)                        돌아가서 집일 하세.

               晝爾于茅(주이우모)                              낮에는 띠 베기

               宵爾索綯(소이삭도)                              밤이면 새끼 꼬기.

               亟其乘屋(극기승옥)                              지붕도 빨리 잇세.

               其始播百穀(기시파백곡)                        씨 뿌릴 때 다가오리.」


               二之日鑿冰沖沖(이지일착빙충충)           十二月 되면 얼음을 탕탕 깨어

               三之日納于凌陰(삼지일납우능음)           正月에는 빙고(氷庫)에 넣었다가

               四之日其蚤(사지일기조)                        二月이면 이른 아침 염소 부추 차려 놓고

               獻羔祭韭(헌고제구)                              치성 드려 꺼내 쓰세.       

               九月肅霜(구월숙상)                              九月 되면 찬 서리.

               十月滌場(시월척장)                              十月이면 마당 치고

               朋酒斯饗(붕주사향)                              두 통 술로 잔치할 제

               曰殺羔羊(왈살고양)                              염소 잡아 안주 하고

               躋彼公堂(제피공당)                              공당(公堂)에 올라앉아

               稱彼兕觥(칭피시굉)                              물소뿔 잔을 들어

               萬壽無疆(만수무강)                              만수무강 축원하세.

=============================================================================================

- 流火 : 朱子 「流는 내리는 것. 火는 大火星. 心星」. 大火星이 기우는 것. 朱子 「七月의 저녁이 되면, 내려와 西로 흐른다」.

- 授衣 : 冬服을 마련함.

- 一之日 : 十一月, 十을 생략하고, 十에서 하나가 남는 달의 날이라는 뜻. 당시에는 周曆과 夏曆이 倂用되었는 바, 이것은 하력을 기준으로 하여 11월이요, 주력으로는 정월이었다. 毛傳「一之日은 十의 나머지를 말한 것. 一之日은 周의 正月이다」.

- 二之日 : 十二月. 毛傳 「殷의 正月」.

- 觱發 : 毛傳 「바람이 찬 것」. 同母音의 의태어.

- 栗烈 : 毛傳 「차가운 기운」. 同子音의 의태어.

- 褐 : 鄭箋「毛布」.

- 卒 : 鄭箋「마치는 것」.

- 歲 : 朱子「夏曆의 해」.

- 三之日 : 「夏曆의 정월」이라고 毛傳.

- 于耜 : 毛傳「처음으로 보습을 손질함」. 于는 助字. 朱子는「往」이라고.

- 四之日 : 二月. 毛傳「周의 四月임」. 

- 擧趾 : 朱子 「발을 들어 밭 가는 것」. 우리 농부들은 씨를 뿌릴 때, 발꿈치로 씨가 들어갈 구멍을 파는데, 그런 행동인지도 모른다.

- 饁 : 毛傳「饋也」. 일하는 사람에게 밥을 날라다 주는 것.

- 田畯 : 毛傳「田大夫」.  朱子「勸農하는 官吏」.

- 載陽 : 鄭箋「載는 則과 같은 助字. 陽은 따뜻함」.

- 倉庚 : 毛傳「離黃」.  朱子「黃鸝」.  꾀꼬리.

- 懿筐 : 毛傳「깊숙한 대바구니」. 

 - 微行 : 毛傳「담밑의 좁은 길」.

- 爰 : 發語辭.

- 蘩 : 毛傳「白蒿」.  흰 쑥.

- 祁祁 : 毛傳「많은 것」.  의태어. 朱子「혹은 느릿한 모양이라고도 함」.

- 殆 : 원컨대. 毛傳에선「처음으로」.

- 同歸 : 이 歸에 남자를 따른다는 뜻이 있음은 물론이다.

- 雈 : 갈대의 종류.

- 葦 : 갈대. 이 두 식물은 來年에 쓸, 누에 치는 자리를 준비하려는 것.

- 蠶月 : 朱子「누에를 치는 달」.

- 條桑 : 鄭箋「가지째로 떨구어서 그 잎을 땀」.  條는「가지를 찍어낸다」는 動詞.

- 斧 : 朱子「구멍(자루를 박는)이 楕圓形인 도끼」.

- 斨 : 朱子「구멍이 四角形인 도끼」.

- 遠揚 : 毛傳「가지가 먼 것이 遠, 올라간 것이 揚」.

- 猗 : 毛傳「끌어당겨 이를 훑는 것」.  朱子「잎만 따고 가지는 남기는 것」.

- 女桑 : 毛傳「어린 뽕나무」.

- 鵙 : 때까치.

- 績 : 朱子「짜는 것」.

- 載玄載黃 : 載는 助字. 毛傳「검고 붉은 빛이 있는 것이 玄」.  黃은 노란 빛.

- 孔陽 : 孔은「매우」. 毛傳「陽은 鮮明함」.

- 秀 : 毛傳「꽃이 안 피고 열매만 맺는 것」.

- 葽 : 애기풀.

- 蜩 : 朱子「매미」.

- 隕蘀 : 毛傳「隕은 墜, 蘀은 落」.  낙엽이 지는 것.

- 于貉 : 鄭箋「가서 담비를 쳐서 잡는 것」. 貉은 '담비'의 뜻이나 '그를 사냥한다'는 동사롤 쓰인 것.

- 貍 : 살쾡이

- 同 : 함께 모임. 動詞.

- 載纘武功 : 武事(병기 쓰는 일)를 계승하여 익힘. 載는 助字. 毛傳「纘은 잇는 것. 功은 일」. 

- 言 : 助字. 「나」로 보아도 無妨. 

- 私 : 사유로 함.

- 豵 : 毛傳「돼지의 한 살 먹이」.

- 豜 : 毛傳「돼지의 세 살 먹이」.

- 公 : 君主.

- 斯螽 : 메뚜기.

- 動股 : 朱子「처음으로 뛰는 것」.  股는 발.

- 莎雞 : 베짱이.

- 七月在野 : 이하 四句는 귀뚜라미에 관한 것.

- 宇 : 朱子 「처마 밑」.

- 戶 : 門.

- 牀 : 침대.

- 穹窒 : 구멍을 막음. 朱子 「穹은 빈 구멍, 窒은 막는 것」.

- 熏 : 연기를 쐬는 것.

- 向 : 毛傳 「북으로 난 들창」.

- 墐戶 : 毛傳 「墐은 바르는 것. 庶人은 蓽門」. 나무로 엮은 문이므로 방풍하기 위해 바르는 것.

- 曰 : 發語辭.

- 處 : 거처함.

- 鬱 : 毛傳 「아가위의 종류」.

- 薁 : 정확하게는 「가마귀 머루」.

- 亨 : 찌는 것. 烹과 같음.

- 葵 : 아욱.

- 剝 : 毛傳 「치는 것」. 장대로 쳐서 땀.

- 棗 : 대추.

- 介 : 鄭箋 「돕는 것」.

- 眉壽 : 毛傳 「큰 눈썹」. 눈썹이 긴 늙은이. 눈썹이 긴 것은 長壽의 相.

- 斷壺 : 박을 타는 것. 毛傳 「壺는 瓠」.

- 叔苴 : 삼씨를 줍는 것. 毛傳 「叔은 拾, 苴는 麻子」.

- 采 : 뜯는 것. 採.

- 荼 : 씀바귀.

- 薪 : 장작 팬다는 동사.

- 樗 : 북나무.

- 食 : 먹이다. 朱子「音은 嗣」.

- 築場圃 : 곡식 떠는 데 쓰기 위해 야체밭이던 곳을 마당으로 만드는 것. 場은 곡식을 떠는 마당. 포는 야채밭. 毛傳 「春夏에는 圃를 삼고, 秋冬에는 場을 삼음」.

- 納 : 창고에 넣는 것. 朱子는 場에 넣음이라 해석.

- 禾稼 : 거둔 곡식.

- 重穋 : 毛傳 「뒤에 익는 것이 重, 앞서 익는 것이 穋」.

- 旣同 : 鄭箋 「이미 모았음을 말하는 것」. 同은 모아 들인다는 동사.

- 上 : 들에 있는 움막(농사를 위해 머물던)으로부터 집으로 돌아감. 毛傳 「들어가는 것을 上, 나오는 것을 下라 함」.

- 宮功 : 집안 일. 朱子 「宮은 邑에 있는 집」. 功은 일.

- 于 : 가는 것.

- 茅 : 갈대를 벤다는 동사.

- 索綯 : 새끼를 꼼.

- 亟 : 鄭箋 「급히」.

- 乘屋 : 지붕을 잇는 것. 毛傳 「乘은 오르는 것」. 지붕을 잇기 위해 올라가는 것.

- 始 : 이윽고.

- 鑿冰 : 얼음을 깸.

- 沖沖 : 毛傳 「얼음을 깨는 뜻」.  그 의성어.

- 凌陰 : 毛傳 「氷室」.

- 蚤 : 朱子 「이른 아침」.  

- 韭 : 부추.

- 滌 : 毛傳 「쓰는 것」.

- 朋 : 毛傳 「두 통의 술」.

- 斯饗 : 잔치를 여는 것. 斯는 助字.

- 躋 : 올라 감.

- 公堂 : 毛傳 「學校」. 朱子 「君主의 堂」.  공회당 같은 것.

- 稱 : 朱子 「드는 것」.

- 兕觥 : 물소의 뿔로 만든 잔.

- 萬壽無疆 : 만년이나 끝이 없이 살라는 祝福의 말. 毛傳 「疆은 竟」.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