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別稱,異稱,月份

solpee 2010. 1. 24. 17:08

1. 文房四友

가. 【紙】: 方潔

나. 【筆】 : 【붓】管城子,管翰, 刀筆,禿友, 毛潁, 毛錐子, 不律, 象管, 弱翰, 柔翰, 中書君,兎毫,筆翰, 黑頭公,

【몽당붓】掘筆,禿筆,禿毫,

【붓 끝】筆端, 筆鋒,筆毫,

【붓 뚜껑】筆帽

【붓 놀림새】筆路,筆意,筆趣,

2. 가족

가. 【우리 가족】

【자기】無似, 麋鹿之恣, 不肖, 鄙軀, 鄙夫, 鄙人, 迂生, 迂人,陳人,賤軀,賤躬, 賤子, 醜末, 鯫生,下愚,下走,寒生,

【어버이】所怙, 怙恃,

【자기 아버지】家公,家君, 家父, 家尊, 家親, 阿翁, 嚴親, 太公,

【자기어머니】家慈,聖善, 慈壼,慈親,

【남편의 아버지】阿公, 阿翁,

【남편의 어머니】慈姑

【아내의 아버지】氷翁,聘丈,嶽公,岳父, 岳翁, 嶽丈, 岳丈,丈人,

【아내의 어머니】嶽母, 岳母, 丈母,

【남편】佳人, 狂夫, 夫君,簫郞,拙夫,好人,

【아내】眷屬, 箕帚妾, 內子,萊妻, 配位,山妻, 室人, 愚妻, 拙妻, 寒荊,荊室, 荊妻,荊布, 荊釵布裙, 縞衣綦巾,

【아들】家豚, 家兒, 豚兒,息男, 弱息, 愚息, 子息, 賤息,

【딸】息女, 阿女, 女息,

【며느리】息婦, 子婦,

3. 나이

【15세】志學               .
【여성15세】笄年 .       【여성 16세】破瓜

【남성 20세】弱冠, 丁年

【30세】而立

【40세】不惑,强仕,

【48세】桑年

【50세】艾年, 艾服,艾人, 杖家,知天命,

【51세】望六

【60세】耳順,杖鄕,

【61세】華年,華甲,

【남성 64세】破瓜

【70세】古稀,杖國, 從心, 七耋(칠질), 下年, 稀年,

【77세】喜壽,

【80세】傘壽,杖朝,

【81세】望九,半壽,

【88세】米壽

【 90세】凍梨, 齯齒, 卒壽,

【91세】望百,

【99세】白壽,

【100세】期頤,

①破瓜-瓜(오이 과)를 둘로 破字(파자)하면 바르게 쓴 八과 거꾸로 쓴 八이 되므로 여성은 8+8=16 남성은 8×8=64이며 또한 오이는 남성의 상징물로 여성이 16세가 되면 오이를 깰 만큼 여성으로서의 힘이 있게 되고 남성은 64세면 남성의 힘을 상실하게 된다는 의미도 담겨 있다고 할 것이다.
②桑年-桑의 속자는 十자 셋(十十十) 밑에 木을 쓰는데 이를 破字하면 木은 十八이니 위 十자 셋과 합하여 48세라 한다.
③喜壽-喜(기쁠 희)를 초서로 쓰면 七十七이 되니 77세라 한다.
④傘壽-傘의 略字(약자)는 八 아래에 十을 쓰니 이를 破字하여 80세라 한다.
⑤半壽-半을 破字하면 八十一이 되니 81세라 한다.
⑥米壽-米(쌀 미)를 破字하면 八十八이 되니 88세라 한다.
⑦卒壽-卒의 略字는 九 아래에 十을 쓰니 이를 破字하여 90세라 한다.
⑧白壽-白은 百(100)에서 一이 모자라니 99세라 한다.
⑨고대에는 四杖制(사장제)라 하여 나이에 따라 지팡이를 사용하는 장소가 한정되어 있었는데 50살에는 집안에서만 허용되니 杖家라 하고 60살에는 마을에서만 허용되어 杖鄕이라 하며 70세는 나라 안까지 허용되니 杖國이 되고 80살이면 임금이 있는 조정에서까지 허용되니 杖朝라 하였다.

4. 十二月의 月份,別稱,異稱


가. 【1월陬月,正月, 寅(孟)月, 孟春,上月,元春, 初春, 端月,上春,靑歲,建寅,他月, 監德, 始春,大鍮, 肇歲, 靑陽, 孟陽, 正陽,月正, 元月,泰月,太簇,開歲,首歲,陽春, 王(正)月, 新正, 新年,新元,新春,元正,三元,泰陽,早春,肇春(歲),芳歲,華歲,彎月,睦月,嚴月,初歲,春首,歲始,孟陽,初月,始春,謹月,新陽,孟春之月,孟陬,睦月,嚴月,鮮凍水, 發春,嫁樹, 發春。

 

【正月초하루】鷄旦, 鷄日, 四始,三始,三元,歲旦, 歲首, 元旦, 元朔,元辰, 元日,正朔,陬月,獻歲,三朝,正旦

 【正月 초이튿날】犬日.

【正月 초사흗날】豕日.

【正月 초나흗날】-羊日

【正月 초닷샛날】牛日.

【正月 초엿샛날】馬日

【正月 초이렛날】靈辰,人日

【正月 초여드렛날】穀日

【正月 대보름】上元,元宵節,元夜,燈節,湯圓,踏橋節,元夕,烏忌風


나. 【2월】 : 如月,如如, 麗月, 令月, 仲陽, 仲春 ,夾鐘, 華景(傾), 杏月,甲乙,太嘷,句芒,鱗族,角調,八,酸味,羶臭,戶神,脾,花月,絹更月,花更着,張月,氣更來,梅見月,酣春,大壯月,桃月,卯月,陽中,正春,華朝,花朝,惠風,春寒,餘寒,秒寒,春陽,春陰,春晴 ,中和月,跳月,氷泮月,四陽月,春中,婚月,媒月,


 

【陰曆2月1日】中和節

 

【陰曆2月12日】花朝(화조) -唐代엔 15일이었다.

다. 【3월】 :寎月,稧月,五陽月,桃李月,甲乙,太嘷,句芒,鱗,角,八,酸,羶,戶神,脾,桐始華,虹始見,萍始生,薦鮪(다랑어잡이),麥祈實,大合樂,遊牝于牧,嘉月, 季春, 姑洗, 暮春, 竹秋, 惠風 , 燕更來, 穀雨, 晩春, 送春, 蠶月, 載陽, 殿春, 辰月, 淸明, 花月, 喜月, 嘉桃節, 桃月, 芳辰, 韶華, 艶陽, 春和, 夬月,春暄, 春和, 春晩, 暄姸, 和風, 花雨, 秒春, 中和。

 

【陰曆3月3日】-踏靑節, 上巳, 元巳, 重三,令節,삼짓날

라. 【4월】 : 余月,淸和月,畏月, 夏首, 零月, 六陽, 翼, 婺女, 炎帝, 羽, 徵,天七地二, 焦, 竈, 肺, 螻蟈鳴, 蚯蚓出, 王瓜生, 苦菜秀, 靡草死, 麥秋(至)月, 孟夏, 圉余,  陰月, 除月, 呂, 仲呂, 乏月, 肇夏, 餘月, 初夏, 乾月, 槐夏, 巳月, 小滿, 始夏, 新夏, 維夏, 立夏, 正陽月, 麥月, 陽梅, 純陽, 愧薰, 愧夏, 麥凉, 農月, 梅月, 麥秋。

 

【陰歷4月초하루】淸和

 

【4月初파일】-灌佛會, 燈節, 浴佛日,燃燈節,

마. 【5월】 :皐月, 東井,亢,危,丙丁,徵,麥秋, 微陰, 惡月, 午月, 蕤賓, 榴月, 仲夏, 超下, 蒲月,梅月,梅天,梅夏,署月,雨月,長至,正夏,薰風 姤月, 蜩月(조월), 鶉月(순월), 鳴蜩(오조),郁月,肇炎,早炎,始炎,向炎,端炎,向熱,漸熱,溜熱,楢炎。


【陰曆5月5日】수릿날,端陽月, 端午, 端五, 惡日, 午日, 重午, 重五, 天中節, 蒲節,朱索,蒲節,午節

 

【陰5月13日】竹醉日, 竹迷日,養壯佼,鹿角解,蟬始鳴,半夏生,木槿榮,

 

바.【6월】:且月,季夏,柳,火,心,奎,丙丁,祝融,羽,徵, 林鐘,七,苦,焦,竈,肺,溫風始至,蟋蟀居壁, 晩夏,秒夏,荷月,季夏,未月,伏月,常夏,小暑,流月,災陽,朝月,螢月,季月, 猖烈, 蒸烈, 猖蒸, 盛暑, 盛烈, 遼烈, 比烈, 霖濕, 早烈, 酷暑, 酷烈, 極暑, 劇炎, 暑雨, 毒炎, 庚烈, 庚炎, 重陰(6.6)。

 

 6월15일】流頭,梅雨,梅霖,微雨

 

사.【7월】:相月, 肇秋, 夷則, 孟秋, 上秋, 初秋, 新秋, 瓜月, 蘭月, 七夕月, 瓜月, 冷月, 桐月, 蟬月, 申月, 凉月, 流秋, 流火, 棗月, 處暑, 槐秋, 老炎, 晩烈, 殘炎, 新凉, 微凉, 梧秋, 三陰。 

【7월7일】七夕,星節

 

【7월15일】中元,百種,百衆,亡魂日

 

아.【8월】:壯月, 柘(자)月, 淸秋,仲律, 南呂, 桂月, 仲商, 葉月, 酉月, 佳月, 巧月, 白露,素月, 正秋, 寒旦, 鴈(來)月, 秋炎, 四陰月, 秋烈, 殘暑, 作凉, 秋陰, 秋霖, 秋晴。

 

【8월15일】한가위,中秋節,秋節,嘉俳日(節)

 

자.【9월】:玄月, 季秋, 無射(무역), 晩秋, 暮秋, 秒(묘)秋, 季商, 窮秋, 高秋, 菊月, 菊秋, 素秋, 戌月, 剝月, 霜辰, 授衣, 詠月, 殘秋, 霜月, 霜凉, 霜天, 菊辰, 霜令, 霜候, 霜冷, 霜風, 霜秋, 秋深, 朽月, 五陰月,菊辰。

 【9월9일】重陽節,重九,重力,菊花節

 

차.【10월】:陽月, 粗銅, 應鐘, 孟冬, 良月, 亥月, 坤月, 小陽春, 小春, 陽月, 立冬, 早冬, 冱寒, 始寒, 初寒, 肇寒, 初雪, 梢寒, 上冬, 玄冬。

 

 카.【11월】:辜月, 仲冬, 黃鐘(12律呂의 시작이자 陽律), 葭月, 祈寒, 南至, 復月, 雪寒, 新陽, 陽復, 凝冱, 至寒, 至冱, 暢月, 首歲, 亞歲,  初寒, 白菊, 霜寒, 子月, 天正, 一陽, 章月, 廣寒, 龍潛, 紙月, 陽祭, 參至, 穀月, 冬至月, 添線, 正冬, 仲冬, 至月, 雪冱, 猝寒, 極寒, 大雪, 甚寒, 冬暖, 虛寒, 霜月。  

 

타.【12월】:涂月, 嘉平, 窮陰, 嚴月, 丑月, 季冬, 晩冬, 暮冬, 秒(묘)冬, 極月, 三冬月,  季月,  除夕,  除夜月,  除月,  節季,  暮歲, 暮節,  殘冬, 末冬,  歲暮, 餘月, 除臘,  深冬, 酷(隆)寒, 窮冬, 氷冬, 隆冬, 隆寒, 氷月, 雪冱,  窮令,  窮冱,  臘月, 海初月,  蜡月, 星回節, 大呂(대려;율려의 두번째 음려), 儺禮, 臘寒, 臘冱, 嚴冱, 凝嚴, 殘臘, 歲殘, 殘冱, 歲秒, 四月, 地正月, 二陽月。

 

5.季節別稱

 

 ♠.春: 靑陽,蒼天,靑帝,靑皇,東帝,東君,甲乙,鱗,角,酸,羶,戶,脾,木,麥,羊,蒼

♠.夏 : 朱明,昊天,槐序,炎序,炎節,蕃季,火,丙丁,羽,徵,苦焦,竈,肺,朱,菽,鷄,

 

♠.長夏(六月 又 三伏),中央:戊己,嬴,宮,甘,香,中霤,心,土,黃,稷,牛, 

♠.秋 : 金,庚辛,毛,辛,腥,門,肝,白,麻,犬,白藏,旻天,收成,金商,素商,高商,精陽,商,金秋·金商·金素,商秋·商素·白商·素商 .

♠.冬 : 上天,玄英,嚴節,元冬,玄冥,閉藏,水,壬癸,介,羽,鹹,
朽(추),行,腎,水(黑),

黍,彘(체),

6.節候와 날의 다른 말*

 

1日; 朔(삭), 初吉(초길), 旣死魄(기사백)

2日; 再吉(재길)

3日; 哉生明(재생명)

10日; 旬日(순일)

14日; 幾望(기망)

15日; 望(망), 旣生魄(기생백)

16日; 旣望(기망), 哉生魄(재생백)

20日; 念日(염일), 念間(염간;20일 전후)

그믐,마지막 날; 晦日(회일)

섣달그믐;除夕,섣달 그믐,至節,至月

秋分;蟄忠坯戶

立冬;豺祭獸

小雪;地始凍

冬至;長至,添線

雨水;魚上負氷,鴻雁來

驚蟄;挑始華,獺祭魚,倉庚鳴,鷹化爲鳩

春分;同度量,均衡石,角斗甬(말섬),正權槪(저울과 평미래)

淸明;烟和柳嫩(어린 눈)

穀雨;虹(蟲兒,蟲帶,蟲東)始見

小暑;螳螂生,鵙始鳴,反舌無聲(개똥지바뀌)

夏至;日長至,陰陽爭,死生分

大寒;鵲始巢

 

二十四節氣 七十二候

 

 

24節氣 中 마지막 節候이며 一年 中 가장 추운 때..
                          時期 : 小寒 15日후부터, 立春前까지의 節氣

 

 

24節氣의 由來와 時期 
 
24절기는 태양의 운동에 근거한 것으로
춘분점(春分點,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해 적도를 통과하는 점)으로부터
태양이 움직이는 길인 황도를 따라 동쪽으로
15˚ 간격으로 나누어 24점을 정하였을 때,
태양이 각 점을 지나는 시기를 말합니다.

정확히 말하면 천구상에서 태양의 위치와 황도가 0˚ 일 때 춘분,
15˚ 일 때 청명, ....., 300˚ 일 때 대한으로 정한 것입니다.
(24 × 15 = 360)

 

  


1年 = 4季 / 1季 = 3月 / 1月 = 2氣 / 1氣 = 3候 / 1候 = 5日 

또 一年의 명칭도 堯임금 舜임금때는 載, 夏나라 때는 歲, 商(殷)나라 때는 祀, 周나라 이후에 年이라 하였다(唐虞曰載, 夏曰歲, 商曰祀, 周曰年 - 爾雅·釋天第八).


元의 초기에는 金의 大明曆이 쓰였는데, 원의 세조는 중국 전토를 평정하자, 1276년 郭守敬·王恂·許衡 등에게 새로운 역법을 편찬하도록 명하여, 1281년 授時曆(1년의 길이가 365.2425일임을 알았음)이 만들어졌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때인 1291년 忠烈王 17년 元의 사신 王通을 통하여 도입되었으며, 그 후 忠善王 때 崔誠之
(1265~1330, 자 純夫. 호 松坡)가 왕을 따라 원나라에 가서 수시력법을 얻어와 널리 쓰이게 되었다. 조선 세종 때 七政算內篇이 편찬되었는데(大統曆法), 이것은 수시력 법을 한국의 실정에 맞게 수정한 역법이다.

중국에는 崇禎曆法 이후 가톨릭의 전래와 함께 서양문명이 들어와 역법에서도 독일의 선교사 아담 샬 폰벨(Adam Shall von Bell 湯若望, 1591~1666)이 기초로 편찬한 時憲曆을 채택하기에 이르렀다.

우리나라도 時憲曆이 1653년 이후 1910년까지 역법으로 쓰이었다.

1725년(영조 1)에는 新修時憲七政法으로 고쳐 썼고, 1782년(정조 6)에는 書雲觀 서 千歲歷을 작성하고, 1894년(고종 31)에 이르러 서양의 太陽曆을 사용하고 시헌력을 참고하게 하였다.

冬至를 기점으로 하여 1년을 24등분하여 24절기, 또한 각 節氣를 3개의 候로 세분하여 도합 72후로 하여, 이것에 각각 특색을 나타내는 이름을 붙였다. 우리나라 기후가 중국의 華北지방과 거의 같으므로 중국의 72후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태양의 黃道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황도에서 春分점(0°)을 기점으로 15° 간격으로 점을 찍어 총 24개의 절기로 나타낸다. 黃道는 하늘에서 해가 한 해 동안 지나는 길로, 地球의 公轉에 의해 생긴다. 황도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의 궤도면과 天球가 만나는 커다란 圓이며, 하늘의 赤道와 약 23.5˚기울어져 있다.


穹 蒼蒼 天也. 春爲蒼天,夏爲昊天,秋爲旻天,冬爲上天


正月爲?,二月爲如,三月爲?,四月爲余,五月爲皐,六月爲且,七月爲相,八月爲壯,九月爲玄,十月爲陽,十一月爲辜,十二月爲?


子(11월, 一陽生-地雷復), 丑(12월, 二陽長-地澤臨), 寅(1월, 三陽長-地天泰),

卯(2월, 四陽長-雷天大壯), 辰(3월, 五陽長-澤天?), 巳(4월, 六陽成-重天乾)

午(5월, 一陰生-天風?), 未(6월, 二陰長-天山遯), 申(7월, 三陰長-天地否),

酉(8월, 四陰長-風地觀), 戌(9월, 五陰長-山地剝), 亥(10월, 六陰成-重地坤)


(震下連) : 一陽生, (地雷)一陽之本. 重雷震.

(兌上切) : 二陽長, ?(澤天)之本. 重澤兌.

(乾三連) : 三陽成. 重天乾.

(巽下切) : 一陰生, ?(天風?)一陰之本. 重風巽.

(艮上連) : 二陰長, (山地)之本. 重山艮.

(坤三切) : 三陰成. 重地坤.

(坎中連) : 陽在中, 小過(雷山)之本. 重水坎.

?(?中切) : 陰在中, 中孚(風澤)之本. 重火?(離).


季節

(陰曆)

24

節氣

 72 候(5일 간격)

卦名

正月

(寅月,

地天泰)

  (孟春)

立春 

 (양력

 2/4)

初候

東風解凍(봄바람에 얼음이 풀린다. 양력 2.2. ± 1)

雷山小過

中候

蟄蟲始振(동면 벌레 움직이기 시작한다. 2.7. ± 1)

山水蒙

末候

魚上氷(물고기 얼음 밑에 돌아다닌다. 2.12. ± 1)

風雷益

雨水

 (2/19)

初候

獺祭魚(수달이 잡은 물고기 진설한다. 2.17. ± 1)

風山漸

中候

鴻雁北來(기러기 북으로 날아간다. 2.22. ±  1)

地天泰

末候

草木萌動(초목이 싹트기 시작한다. 2.27. ± 1)

水天需

二月

(卯月,

雷天大壯)

  (仲春)

驚蟄

 (3/5)

初候

桃始花(복숭아 꽃 피기 시작한다. 3.3. ±  1)

中候

倉庚鳴(꾀꼬리 운다. 3.8. ± 1)

澤雷隨

末候

鷹化爲鳩(매새끼가 비둘기로 변한다. 3.13. ±1)

火地晉

春分

 (3/20)

初候

玄鳥至(제비가 날아온다. 3.18. ± 1)

雷水解

中候

雷乃發聲(우레 소리 들리기 시작한다. 3.23. ± 1)

雷天大壯

末候

始電(번개치기 시작한다. 3.28. ± 1)

雷地豫

三月

(辰月,

澤天?)

  (季春)

淸明

 (4/5)

初候

桐始華(오동나무 꽃 피기 시작한다. 4.2. ± 1)

中候

田鼠化爲(두더지가 매추라기(여)로 변한다. 4.7. ± 1)

天水訟

末候

虹始見(무지개가 처음 보인다. 4.12. ± 1)

山風蠱

穀雨

 (4/20)

初候

萍始生(부평초 싹 나기 시작함. 4.17. ± 1)

澤火革

中候

鳴鳩拂其羽(비둘기 깃 치며 운다. 4.22. ± 1)

澤天?

末候

戴勝降於桑(뻐꾸기 뽕밭에 내린다. 4.27. ± 1)

火山旅

四月

(巳月,

重天乾)

  (孟夏)

立夏

 (5/6)

初候

(땅강아지와 청개구리 운다. 5.2. ± 1)

中候

蚯蚓出(지렁이가 나온다. 5.7. ± 1)

地水師

末候

王瓜生(쥐 참외 나온다. 5.12.± 1)

水地比

小滿

 (5/21)

初候

苦菜秀(씀바귀(고들빼기) 이삭이 나온다. 5.17.±1)

風天小畜

中候

靡草死(냉이 잎이 시든다. 5.22. ± 1)

重天乾

末候

麥秋至(보리가을이 됨(익은 보리 수확). 5.28. ±1)

火天大有

五月

(午月,

 天風?)

  (仲夏)

芒種

 (6/6)

初候

螳螂生(사마귀가 나옴. 6.3. ±  1)

中候

始鳴(왜가리 울기 시작함. 6.8. ±  1)

風火家人

末候

反舌無聲(때까치 소리 없이 욺. 6.13.±  1)

水風井

夏至

 (6/21)

初候

鹿角解(사슴뿔 벗어버리고. 6.18. ±  1)

澤山咸

中候

始鳴(매미 첫울음 들리며 6.23. ±  1)

 天風?

末候

半夏生(반하 약초가 나온다. 6.28. ±  1)

火風鼎

六月

(未月,

 天山遯)

  (季夏)

小暑

 (7/7)

初候

溫風始至(뜨거운 바람 불기 시작함. 7.2. ± 1)

中候

蟋蟀居壁(귀뚜라미 벽속에서 운다. 7.7.  ± 1)

雷火豊

末候

鷹乃學習(매새끼 날개 짓 연습한다. 7.12. ±  1)

風水渙

大暑

 (7/22)

初候

腐草爲螢(썩은 풀 무덤에 반디난다. 7.17. ±  1)

天澤履

中候

土潤(땅이 습하고 무더웁다. 7.23. ±  1)

天山遯

末候

大雨時行(때때로 큰비 내린다. 7.31 .±  1)

雷風恒

 

七月

(申月,

 天地否)

  (孟秋)

立秋

 (8/8)

初候

凉風至(서늘한 바람이 이르름.  8.5. ±  1)

中候

白露降(흰 이슬 내리다. 8.10.±  1)

水澤節

末候

寒蟬鳴(가을매미 운다. 8.15.±  1)

天火同人

處暑

 (8/23)

初候

鷹祭鳥(매가 새 잡아 가을제사. 8.20. ±  1)

山澤損

中候

天地始肅(천지 비로소 숙연해진다. 8.25. ± 1)

天地否

末候

禾乃(벼가 익는다. 8.30. ± 1)

重風巽

八月

(酉月,

 風地觀)

  (仲秋)

白露

 (9/8)

初候

鴻雁來(고니 기러기 찾아온다. 9.4. ± 1)

中候

玄鳥歸(제비 돌아간다. 9.9. ±  1)

澤地萃

末候

群鳥養羞(새떼 먹이를 모은다. 9.14.±  1)

山天大畜

秋分

 (9/23)

初候

雷始收聲(우레 소리 거둔다. 9.19. ±  1)

山火賁

中候

蟄蟲壞戶(동면 벌레 구멍 창을 막는다. 9.24.±1)

風地觀

末候

水始(물이 마르기 시작한다. 9.29. ± 1)

雷澤歸妹

九月

(戌月,

 山地剝)

  (季秋)

寒露 

 (10/9)

初候

鴻雁來賓(기러기 와서 인사한다. 10.4. ± 1)

中候

雀入大水爲蛤(참새 바다 조개 된다. 10.10. ± 1)

天雷无妄

末候

菊有黃華(국화 노랗게 핀다. 10.15.± 1)

地火明夷

霜降

(10/24)

初候

豺乃祭獸(승냥이 금수 잡아 제사. 10.20. ± 1)

澤水困

中候

草木黃落(초목 잎 시들다. 10.25. ± 1)

山地剝

末候

蟄蟲咸俯(벌레 틀어박혀 구부리고 잠자다. 10.30. ±1) 

重山艮

十月

(亥月,

重地坤)

  (孟冬)

立冬

 (11/8)

初候

水始氷(물이 처음 얼다. 11.4. ± 1)

中候

地始凍(땅이 처음 얼다. 11.9. ± 1)

水火旣濟

末候

入大水爲蜃(꿩숨어 바다에들어 대합된다. 11.14. ±1)

火雷??

小雪

(11/23)

初候

虹藏不見(무지개 숨어 보이지 않다. 11.19. ±1)

澤風大過

中候

天氣上騰地氣下降(天氣오르고 地氣내림. 11.24. ± 1)

重地坤

末候

閉塞成冬(문을 닫아거니 겨울이다. 11.29. ± 1)

火水未濟

十一

(子月,

地雷復)

  (仲冬)

大雪

 (12/7)

初候

旦不鳴(떼까치도 울지 않는다. 12.4. ± 1)

中候

虎始交(범이 짝짓기 시작한다. 12.9. ± 1)

水山蹇

末候

挺出(운초와 여정초가 싹이 튼다. 12.14.± 1)

山雷?

冬至

(12/22)

初候

蚓結(지렁이들이 한데 뭉친다. 12.19. ± 1)

風澤中孚

中候

角解(고라니의 뿔이 빠진다. 12.24. ± 1)

地雷復

末候

水泉動(샘물 속에서 움직인다. 12.29. ± 1)

水雷屯

十二

(丑月,

地澤臨)

  (季冬)

小寒

 (1/6)

初候

雁北鄕(기러기 북으로 향하다. 1.3. ± 1)

中候

鵲始巢(까치 둥우리 짖기 시작한다. 1.8. ± 1)

地山謙

末候

雉始(장끼(꿩)가 운다. 1.13. ± 1) 

火澤?

大寒

 (1/21)

初候

鷄始乳(닭이 알을 품는다. 1.18. ± 1)

地風升

中候

征鳥(새매 높고 날쌔다. 1.23. ± 1)

地澤臨

末候

水澤腹堅(못에 얼음 굳다. 1.28. ± 1)

雷山小過

  * 64괘에서 震(正東, 重雷震), 兌(正西, 重澤兌), 離(正南, 重火?), 坎(正北, 重水坎)은 빠짐.

 

 

  

 

 

 

24절기

계 절
절 기
특 징
음 력


입춘(立春)
우수(雨水)
봄의 문턱
봄비가 내림

정월
경칩(驚蟄)
춘분(春分)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깸
낮이 길어지기 시작함

이월
청명(淸明)
곡우(穀雨)
봄 농사의 준비
농삿비가 내림

삼월
여름

입하(立夏)
소만(小滿)
여름의 문턱
본격적인 농사의 시작

사월
망종(芒種)
하지(夏至)
씨뿌리기
낮이 연중 가장 긺

오월
소서(小署)
대서(大暑)
여름 더위 한 차례
여름 큰 더위

유월
가을

입추(立秋)
처서(處暑)
가을의 문턱
더위가 가샘

칠월
백로(白露)
추분(秋分)
맑은 이슬이 내림
밤이 길어지기 시작함

팔월
한로(寒露)
상강(霜降)
찬 이슬이 내리기 시작함
서리가 내리기 시작함

구월
겨울

입동(立冬)
소설(小雪)
겨울의 문턱
겨울 강설한 차례

시월
대설(大雪)
동지(冬至)
겨울 큰 눈이 옴
밤이 연중 가장 긺

동지
소한(小寒)
대한(大寒)
겨울 추위 한 차례
겨울 큰 추위

섣달


인간이 역을 만드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계절의 변화를 알기 위해서 이다. 특히 농경사회에서는 계절의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었다. 즉 농사를 짓기 위하여 씨를 뿌리고 추수를 하기에 가장 좋은 날씨를 알아야 하는 것이다.



▲ 하늘에서 태양이 1년을 통하여 지나가는 경로를 황도(the Ecliptic)라고 부른다. 이것은 지구의 공전운동으로 인해 태양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하루에 1도(°)씩 천구 상에서 이동하여 생기는 궤도이다. 따라서 실제로는 지구가 공간상에서 움직이는 길이 황도이다.
음력은 달의 운동에 근거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달의 변화는 잘 나타내 주지만 태양의 움직임은 잘 나타내 주지 않는다. 계절의 변화는 태양의 운동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음력 날짜와 계절의 변화는 잘 일치하지 않는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음력에서는 계절의 변화, 즉 태양의 운동을 표시하여 주는 24절기(또는 24기)를 도입하여 같이 사용한다. 따라서 음력은 태양의 움직임을 24절기로 표시하여 주기 때문에 태음태양력(우리가 흔히 음력이라 말하는 것은 원래 '태음태양력 太陰太陽曆'의 준말이다 여기서 '陰'은 '달'을 뜻하고 '陽'은 태양을 뜻한다)이라고 한다. 즉 달(태음)과 태양의 운동을 모두 고려하여 주는 역법이란 뜻이다.

24절기는 태양의 운동에 근거한 것으로 춘분점(春分點,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해 적도를 통과하는 점)으로부터 태양이 움직이는 길인 황도를 따라 동쪽으로 15˚ 간격으로 나누어 24점을 정하였을 때, 태양이 각 점을 지나는 시기를 말한다. 좀더 정확히 말하면 천구상에서 태양의 위치가 황도가 0˚ 일 때 춘분, 15˚ 일 때 청명, ....., 300˚ 일 때 대한으로 한다.
(24 × 15 = 360)

이들 24절기가 계절의 특성을 말해주지만 우리 나라의 기후가 정확하게 들어 맞는 것은 아니다. 24절기의 이름은 중국 주(周)나라 때 화북지방의 기상상태에 맞춰 붙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오늘날과 같이 생태계가 엄청나게 달라진 상황에서는 더욱이 들어맞기 어렵다.

절기는 이처럼 음력을 쓰는 농경사회에서 필요에 따라 양력과 관계없이 만들었지만, 태양의 운동을 바탕으로 한 탓에 결과적으로 양력의 날짜와 일치하게 된다. 실제로 달력을 놓고보면 24절기는 양력으로 매월 4∼8일사이와 19∼23일사이에 온다.
절기와 절기 사이는 대부분 15일이며, 경우에 따라 14일이나 16일이 되기도 한다. 이는 지구의 공전 궤도가 타원형이어서 태양을 15도 도는데 걸리는 시간이 똑같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절기를 쟀을까?
'농경사회에서는 태양, 별의 움직임을 재는 천문학이 아주 중요해 조선시대에는 혼천의, 간의 등으로 태양의 움직임을 관찰했고 이를 증보문헌비고나 칠정산내ㆍ외편에 기록했다'고 한다.